작성일 : 13-03-27 09:36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uld Memorials Honor -2

Other memorials to Civil War forces are currently a subject of dispute. Like parks named after Confederate soldiers.

Nathan Bedford Forrest was a famous fighter for the Confederacy. A park in the city of Memphis, Tennessee, has a statue of him sitting on a horse. The park is named in honor of Forrest, whom many southerners have praised for his defense of the South in the Civil War. Others have criticized his slave-trading past and ties to the secretive Ku Klux Klan.

Earlier this week, the Memphis City Council voted to remove Forrest’s name from the park and call it Health Sciences Park. Council members also voted to rename Confederate Park as Memphis Park, and Jefferson Davis Park as Mississippi River Park. The latter was named for a leader of the Confederacy.

The changes have won praise from those who said the Old South is gone. But critics have likened the Council’s actions to rewriting history.

Kenneth Van Buren is a local African-American civil rights activist. He agrees with changing park names tied to the Confederacy. In his words, “how can we have unity in the nation when we have one city, right here in Memphis, which fails to be unified?”

Most of the emotion over the council’s action has involved Nathan Bedford Forrest. Many of his defenders are white. They note his successes as a government official, businessman and military leader. But his critics, white and black, say honoring Forrest celebrates his days as a slave trader and membership in the Ku Klux Klan.

Katherine Blaylock lives in Memphis and opposes the name changes. She says the city has always been racially divided. She accuses city officials of wanting to rewrite history.

Forrest lived in Memphis before the Civil War. He worked as a cotton farmer and slave trader. He lacked traditional military training, but rose to the position of lieutenant general in the Confederate Army. He became famous for fast horseback raids that broke the Union’s supply line and communications.

Forrest later joined the Ku Klux Klan, which threatened southern blacks. His level of involvement in the Klan is a source of argument. He is believed to have helped break the earliest version of the group in 1869.

Supporters praise him for offering to free 45 of his own slaves if they would serve in the Confederacy. They also say he was unwilling to divide families when he bought slaves.

Forrest died in 1877. His body was moved to Forrest Park in the early 1900s. The park is filled with trees and about the size of a city street. It is just a short distance from the old Lorraine Hotel, where civil rights leader Martin Luther King Jr. was murdered in 1968.

This is not the first time Forrest Park has led to a heated debate. Memphis officials rejected an effort to rename it in 2005.
Ku Klux Klan 사회 변화와 흑인의 동등한 권리를 반대하며 폭력을 휘두르는, 미국 남부 주들의 백인 비밀 단체 / liken 비유하다 / unity 통합, 통일 / unify 통합하다 / involve in 연관되다 / oppose 반대하다 / racially 인종적으로 / divide 나뉘다 / accuse 비난하다 / cotton 목화 / lieutenant general (육군)중장 / horseback 말을 타고 하는 / raid 습격 / threaten 협박하다 / be filled with ~로 가득 차다 / heated debate 열띤 논의
미국의 남북전쟁 : 기념비는 누구를 예우해야 하는가?(2)
남부의 남북전쟁 기념 공원들

남부연합 군인들의 이름을 딴 공원들과 같이 남북전쟁 참전 군인들을 기리는 다른 기념비들이 현재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다.

“네이든 베드포드 포레스트(Nathan Bedford Forrest)” 씨는 남부연합의 유명한 전사였다. 테네시 주 멤피스의 한 공원에는 그가 말 위에 앉은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이 공원은 포레스트 씨를 기려 명명되었는데, 그는 남북전쟁 중에 남부를 방어해 낸 공로로 남부의 많은 주민들이 칭송해 왔다. 반면 어떤 이들은 그가 노예를 거래했던 과거와 더불어, 비밀스런 “큐 클랙스 클랜(Ku Klux Klan)”과의 연계되었다는 점을 비난해 왔다.

이번 주 초, 멤피스 시티의 시의회는 이 공원 명칭에서 포레스트의 이름을 지우는 안을 투표에 부쳐 “건강 과학 공원(Health Sciences Park)”으로 부르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의회 구성원들은 남부연합 공원(Confederate Park)을 멤피스 공원(Memphis Park)으로, 제퍼슨 데이비스 공원(Jefferson Davis Park)을 미시시피 강 공원(Mississippi River Park)으로 개명하는 안을 투표에 부쳤다. 제퍼슨 데이비스 공원은 남부연합의 지도자의 이름에서 따 온 명칭이다.

이 같은 개명 작업은 옛 남부 시절은 지났다고 주장하던 이들로부터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비평가들은 시의회의 활동을 “역사 고쳐쓰기”에 비유해 왔다.

케네스 밴 뷰런(Kenneth Van Buren) 씨는 현지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 운동가다. 그는 남부 연합과 연관된 공원의 이름을 바꾸는 데 찬성한다. 그는 ‘우리가 바로 여기 멤피스라는 한 도시에서도 하나가 되지 못한다고 한다면, 어떻게 통합된 국가를 이룰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한다.

시의회의 행동에 대한 감정들의 대부분은 네이든 베드포드 포레스트와 관련이 있다. 그의 옹호자들은 대부분 백인이다. 이들은 그가 정부 관료로서, 사업가로서, 그리고 군 사령관으로서 성공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백인 및 흑인 비평가들은 포레스트 씨를 기리는 것은 그가 노예 매매상과 큐 클랙스 클랜의 구성원으로서 보냈던 날들을 기리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멤피스에서 살고 있는 캐서린 블레이록(Katherine Blaylock) 씨는 명칭 변경에 반대한다. 그녀는 이 도시가 항상 인종 간 갈등을 겪어왔다고 말한다. 그녀는 이 도시의 공무원들이 역사를 고쳐 쓰기를 원한다는 점을 비판한다.

포레스트 씨는 남북전쟁 이전, 멤피스에 살았었다. 그는 목화 농부이자 노예상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군대 훈련을 받지 못했지만, 남부연합군에서 중장의 직위로 진급했다. 그는 말을 타고 빠르게 (연합군을) 습격하여 그 보급망과 의사소통을 차단함으로써 유명해졌다.

이후 포레스트는 남부의 흑인들을 위협하던 큐 클랙스 클랜에 가입했다. 그가 이 단체에 관여했던 정도는 논쟁 거리다. 그는 1869년 이 단체의 초기 형태를 와해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여겨진다.

그의 지지자들은 그가 45명의 노예들에게 이들이 남부연합군에서 복무할 경우, 자유롭게 풀어주겠다는 제안을 한 점을 높이 산다. 그들은 또한 그가 노예들을 사 올 때 가족들이 헤어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말한다.

포레스트 씨는 1877년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1900년대 초, 포레스트 공원으로 이장되었다. 이 공원은 나무들로 뒤덮여 있는데 한 도시의 거리 규모로서, 1968년 민권 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살해된 곳인 역사 깊은 로렌 호텔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포레스트 공원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5년에는, 멤피스 고위 관료들이 명칭 교체 노력을 거부했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 Words and Their Stories: Get Y… sim 04-01 6771
20 Pope Francis Represents Firsts… sim 03-29 6769
19 New Internet Rules Offer Windo… sim 03-28 6740
18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 sim 03-27 7143
17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 sim 03-26 6669
16 Venezuela Mourns President Hug… james 03-25 6402
15 Words and Their Stories Grapev… james 03-22 6475
14 New Orleans, Havre de Grace: A… sim 03-21 6682
13 Famous New York Train Station … sim 03-20 6715
12 Words and Their Stories: A Chi… sim 03-19 6632
   81  82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