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3-26 10:02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uld Memorials Honor

We talk about efforts to remember the many Americans killed in the nation’s Civil War in the 1860s. And we tell about efforts against some of the Civil War memorials that already exist.

The Civil War was the bloodiest war i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From 1861 to 1865, at least 620,000 soldiers died in the fighting. It began after several southern states broke away from the North, mainly over the issue of slavery. The southern states declared independence and set up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also known as the Confederacy.

Now, 150 years later, a living memorial is being created to honor the war dead. Jim Tedder has more on the project.

The non-profit group Journey through Hallowed Ground is leading the effort. It plans to plant a tree, or recognize an existing tree, for each soldier killed in the war. The memorial will come to life along an almost 300 hundred kilometer road that passes through four states. It will start in Gettysburg, Pennsylvania, where the most famous Civil War battle took place. It will end at the Charlottesville, Virginia, home of Thomas Jefferson, America’s third president.

Beth Erickson is with Journey through Hallowed Ground.

“As you see these trees, one after another, it will truly make an impact.”

The first trees were planted in November on the grounds of a large, old Virginia home and farm called Oatlands. An historic trust now owns the former plantation. Andrea Mc Gimsey is the Executive Director of Oatlands. She says the former plantation was a good place to start.

“Oatlands has some very old trees and they were here during the civil war time. Many of them are actually going to be adopted as part of the project.”

She adds that Oatlands is a part of Civil War history.

“Oatlands had 128 slaves in 1860, right before the Civil War started. And also the family who lived here had two sons who joined the Confederate Army.”

Richard Williams is a member of the last family to live at Oatlands. His family still owns property next to the home. And they are involved in planting the trees.

“We’re hoping that as private landowners we can also show it’s a great success and encourage some other private landowners.”

Private donations are expected to pay for the 65 million dollar tree planting project. The cost of an individual tree donation is 100 dollars.

The trees will be especially interesting for Smart Phone users. Special markings on the trees can connect users with the stories of individual Civil War soldiers.

Beth Erickson explains.

“These trees will be able to have a number associated with a person. They can use GPS technology to be able to find out who these people were.”

Eleanor Adams has donated a tree in honor of her ancestor Joseph McGowan. He was from Alabama and fought for the South. He was 23 when he was shot and killed. Eleanor Adams says the young soldier wrote letters to his family about life on the battlefield.

“He talks about sickness, the heat in the summertime, the bad food – really a tough time being a soldier in those days.”

She says she hopes other family members will join her in planting trees for other McGowans who died in the Civil War.
memorial 기념비 / bloody 피비린내 나는 / confederate 연맹에 속한, 연합한 / the Confederacy 남부 연합 / hallowed ground 성지 / recognize 인정하다, 공인하다 / come to life 활기를 띄다, 살아 움직이다 / take place 일어나다 / make an impact 영향을 주다, 충격을 주다 / trust 신뢰, 신임 / next to 바로 옆의 / donation 기부 / marking 표시
미국의 남북전쟁 : 누가 기념비를 예우해야 하는가(1)
남북전쟁 나무

우리는 1860년대 발발했던 미국의 남북전쟁에서 희생당한 많은 미국인을 기리는 노력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리고 이미 존재하는 일부 남북전쟁 기념지에 반대하는 노력에 대해 이야기 한다.

남북전쟁은 미국 역사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쟁이었다. 1861년 부터 1865년 사이 적어도 62 만 명의 군인들이 전사했다. 남북전쟁은 남부의 여러 주들이 주로 노예제에 관한 이슈로 인해 북부로부터 독립해 나온 이후 발발했다. 이들 남부의 주들은 독립을 선언하고 “더 컨페더레이시(the Confederacy)”로 알려진 “남부연합(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을 설립했다.

150년이 지난 오늘날, 전사자들을 기리는 살아있는 기념비가 세워지고 있다. 짐 테더(Jim Tedder) 씨를 통해 이 프로젝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성지를 지나는 여정(Journey through Hallowed Ground)”이라는 한 비영리단체가 이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전쟁에서 사망한 각각의 군인들을 위해 나무를 심거나, 기존의 나무를 공인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기념 활동은 4개의 주를 지나는 약 3만 킬로미터의 도로를 따라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이 길은 가장 유명한 남북 전쟁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인 펜실베니아 주 게티스버그에서 시작되어 미국의 3대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의 고향인 버지니아 주 샤로테스빌에서 마무리된다.

베스 에릭슨(Beth Erickson)은 성지를 지나는 여정(Journey through Hallowed Ground) 소속이다.

“보시다시피 이 나무들 하나 하나가 (보는 이들에게) 진심으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맨 첫 나무들은 지난 11월, “오틀랜즈(Oatlands)”라는 광활하고 오래된 버지니아 주의 농장에 심겨졌다. 역사의 신뢰는 이제 이전의 농장을 품고 있다. 안드레아 맥 김지(Andrea Mc Gimsey) 씨는 오틀랜즈의 대표다. 그녀는 이전에 농장부지였던 이곳은 프로그램을 시작하기에 좋은 장소였다고 말한다.

“오틀랜즈에는 상당히 오래 된 나무들이 있는데 이 나무들은 남북전쟁 기간 동안에도 여기 있었습니다. 이들 나무의 대부분 실제로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옮겨 심겨질 것입니다.”

그녀는 오틀랜즈가 남북전쟁 역사의 일부라고 덧붙여 말한다.

“남북전쟁 발발 직전인 1860년, 오틀랜즈에는 128명의 노예들이 있었습니다. 이곳에 살았던 가정엔 두 아들이 있었고, 이들은 남부연합군에 입대했습니다.”

리차드 윌리암스(Richard Williams)는 오틀랜즈에 살았던 마지막 가구의 일원이다. 그의 가족은 아직도 집 바로 옆에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은 나무 심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는 개별 토지주로서 이것이 커다란 성공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다른 개인 토지주들도 독려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6,500 만 달러 규모의 나무 심기 프로젝트에 개인들의 기부활동도 기대된다. 개인들의 나무 기부 비용은 100 달러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겐 이 나무들이 특별히 더 흥미로울 것이다. 나무에 있는 특별한 표시는 스마트폰 사용자들과 남북전쟁 참전 용사들의 이야기를 연결해 줄 수 있다.

베스 에릭슨(Beth Erickson)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나무들은 한 인물과 관련된 숫자 하나씩을 가지고 있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들은 GPS 기술을 이용하여, 이 인물들이 누구였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엘리너 애덤스(Eleanor Adams) 씨는 그녀의 선조인 조셉 맥고완(Joseph McGowan) 씨를 기리며 나무 한 그루를 기부했다. 그는 앨라배마 출신으로 남부를 위해 싸웠는데, 23세의 나이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엘리너 애덤스 씨는 이 젊은 군인이 그의 가족에게 전장의 삶에 관해 편지를 썼다고 말한다.

“그는 (편지에서) 질병과 여름철의 더위, 형편없는 음식 등 당시 군인으로서 겪고 있었던 정말 힘겨운 시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남북전쟁 중에 사망한 또 다른 맥고완 씨를 위한 나무 심기에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동참 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 Words and Their Stories: Get Y… sim 04-01 6771
20 Pope Francis Represents Firsts… sim 03-29 6770
19 New Internet Rules Offer Windo… sim 03-28 6741
18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 sim 03-27 7143
17 The American Civil War Who Sho… sim 03-26 6670
16 Venezuela Mourns President Hug… james 03-25 6403
15 Words and Their Stories Grapev… james 03-22 6476
14 New Orleans, Havre de Grace: A… sim 03-21 6682
13 Famous New York Train Station … sim 03-20 6715
12 Words and Their Stories: A Chi… sim 03-19 6633
   81  82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