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na Expands Reach with Military Base in East Africa
China plans to build its first overseas military base in the east African nation of Djibouti.
Experts say the move is part of a global economic strategy and reflects growing ties with Africa.
China says the naval base in Djibouti will be a logistics and supply center. It is China’s first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Japan also have bases in Djibouti. The small East African country is close to areas of conflict in Africa like Somalia and the Sahel, the southern border area of the Sahara Desert. It is on the Gulf of Aden, which is an important global trade route linking the Red Sea to the Indian Ocean.
Peking University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ng Dong says the installation will be needed to protect China’s shipping routes. He says it will be used for resupply.
China has increased its military activity in Africa over several years. The nation deployed U.N. peacekeeping troops to South Sudan this year. China has provided ships to anti-piracy patrols in the Gulf of Aden since 2008. But, the country’s foreign policy has been based on non-interference in other countries’ internal affairs.
Alex Vines is head of the Africa program at London-based Chatham House. He says the Chinese are experimenting with this new base.
“They still want to emphasize that China is different from other powers in Africa, so it’s not like France, that has military bases in various places, or the U.S. that has a military base at Camp Lemonnier. So they’re framing this as just a naval facility. In effect, though, this is about Chinese experimentation, longer term, how will African governments react?”
Alexander Neil is a senior fellow at the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Asia office in Singapore. He says the Chinese are enlarging their footprint in Africa in other ways.
China has been developing a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strategy known as “one belt, one road.” It refers to setting land and maritime trade routes. It is like a modern-day version of the historical Silk Road between China and the West that existed more than 500 years ago.
Neil says in the past, China only sought to extract raw materials from Africa. In a shift, he says, China has been building infrastructure, providing interest-free loans and building business ties and partnerships.
Every three years, China has doubled its financial support for Africa: from $5 billion in 2006 to $10 billion in 2009 and then to $20 billion in 2012. When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was in South Africa last week, he promised $60 billion in loans and aid to Africa.
That followed announcements of $156 million in emergency food aid for drought-stricken nations. And a further $60 million for an African Union military rapid-response force was also promised.
Experts say the move is part of a global economic strategy and reflects growing ties with Africa.
China says the naval base in Djibouti will be a logistics and supply center. It is China’s first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Japan also have bases in Djibouti. The small East African country is close to areas of conflict in Africa like Somalia and the Sahel, the southern border area of the Sahara Desert. It is on the Gulf of Aden, which is an important global trade route linking the Red Sea to the Indian Ocean.
Peking University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ng Dong says the installation will be needed to protect China’s shipping routes. He says it will be used for resupply.
China has increased its military activity in Africa over several years. The nation deployed U.N. peacekeeping troops to South Sudan this year. China has provided ships to anti-piracy patrols in the Gulf of Aden since 2008. But, the country’s foreign policy has been based on non-interference in other countries’ internal affairs.
Alex Vines is head of the Africa program at London-based Chatham House. He says the Chinese are experimenting with this new base.
“They still want to emphasize that China is different from other powers in Africa, so it’s not like France, that has military bases in various places, or the U.S. that has a military base at Camp Lemonnier. So they’re framing this as just a naval facility. In effect, though, this is about Chinese experimentation, longer term, how will African governments react?”
Alexander Neil is a senior fellow at the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Asia office in Singapore. He says the Chinese are enlarging their footprint in Africa in other ways.
China has been developing a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strategy known as “one belt, one road.” It refers to setting land and maritime trade routes. It is like a modern-day version of the historical Silk Road between China and the West that existed more than 500 years ago.
Neil says in the past, China only sought to extract raw materials from Africa. In a shift, he says, China has been building infrastructure, providing interest-free loans and building business ties and partnerships.
Every three years, China has doubled its financial support for Africa: from $5 billion in 2006 to $10 billion in 2009 and then to $20 billion in 2012. When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was in South Africa last week, he promised $60 billion in loans and aid to Africa.
That followed announcements of $156 million in emergency food aid for drought-stricken nations. And a further $60 million for an African Union military rapid-response force was also promised.

tie 유대 관계 / naval 해군의 / logistics center 군수본부 / installation 설치, 설비 / peacekeeping 평화 유지의 / troop 병력, 군대 / patrol 순찰을 돌다, 순찰 / senior fellow 선임연구원 / maritime 바다의, 해양의 / stricken 고통 받는, ~에 시달리는


중국이 동아프리카의 군사 기지를 통해 세력을 확장하다
중국이 동아프리카 지부티(Djibouti)에 중국 최초의 해외 군사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움직임이 세계 경제 전략의 일환이며, 아프리카와의 유대 강화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중국은 지부티의 해군 기지가 군수 및 보급본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중국 최초의 해외 군사설비이다.
미국, 프랑스, 일본도 지부티에 기지를 두고 있다. 이 작은 동아프리카 국가는 소말리아나 사하라 사막 남쪽 경계인 사헬 지역처럼 분쟁 지역과 인접해 있다. 지부티는 홍해와 인도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세계 무역 통로인 아덴 만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징대학교의 왕동(Wang Dong)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의 무역 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기지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이 기지가 보급품의 재보충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한다.
중국은 지난 몇 년간 아프리카에서 군사적 활동을 확장시켜 왔다. 중국은 올해 남수단에 U.N. 평화유지군을 파병했다. 중국은 아덴 만에서 2008년부터 대해적(anti-piracy) 순찰선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중국의 대외 정책은 외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기조를 지켜 왔다.
알렉스 바인스(Alex Vines) 씨는 런던에 근거한 채텀 하우스(London-based Chatham House)의 아프리카 프로그램 책임자이다. 그는 중국이 새로운 기지를 통해 실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여러 곳에 군사 기지를 둔 프랑스나 캠프 르모니에(Camp Lemonnier)에 군사 기지를 둔 미국과 같은 아프리카 내의 여러 세력과 다르다는 것을 여전히 강조하고 싶어 합니다. 중국은 이 기지를 일컬어 단순한 해군 시설이라는 프레임을 짜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중국의 실험입니다. 아프리카의 정부에서 어떻게 반응할까요?”
알렉산더 닐(Alexander Neil) 씨는 국제전략연구소 싱가포르 지부의 선임연구원이다. 그는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좀 다른 방식으로 발자국을 넓혀 나가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원 벨트, 원 로드” 전략으로 알려진 해외 무역 및 투자 전략을 개발해 왔다. 이는 육상 무역과 해상 무역 루트를 말한다. 그것은 마치 500년도 더 전에 중국과 서방을 연결했던 실크로드의 현대판 버전과 같다.
닐 씨는 중국이 과거에는 아프리카에서 단지 원자재를 뽑아내는 것만 추구해 왔다고 말한다. 이러한 방침의 변화로, 이제 그들은 기반시설을 건설하고, 무이자 융자를 제공하고, 업무 제휴와 파트너쉽을 만들어오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3년마다 아프리카에 대한 금융 지원을 두 배로 늘려왔다. 2006년 50억 달러에서 2009년 100억 달러, 그리고 2012년엔 200억 달러가 되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주 남아프리카를 방문했을 때, 아프리카에 600억 달러의 차관과 원조를 하기로 약속했다.
이 약속은 가뭄으로 고통받는 국가들에 1억 5,600만 달러의 비상식량 원조를 제공하기로 발표한 것에 뒤이은 것이었다.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군사 신속 대응부대에 대한 600억 달러의 추가 지원을 약속하였다.
전문가들은 이 움직임이 세계 경제 전략의 일환이며, 아프리카와의 유대 강화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중국은 지부티의 해군 기지가 군수 및 보급본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중국 최초의 해외 군사설비이다.
미국, 프랑스, 일본도 지부티에 기지를 두고 있다. 이 작은 동아프리카 국가는 소말리아나 사하라 사막 남쪽 경계인 사헬 지역처럼 분쟁 지역과 인접해 있다. 지부티는 홍해와 인도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세계 무역 통로인 아덴 만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징대학교의 왕동(Wang Dong)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의 무역 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기지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이 기지가 보급품의 재보충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한다.
중국은 지난 몇 년간 아프리카에서 군사적 활동을 확장시켜 왔다. 중국은 올해 남수단에 U.N. 평화유지군을 파병했다. 중국은 아덴 만에서 2008년부터 대해적(anti-piracy) 순찰선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중국의 대외 정책은 외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기조를 지켜 왔다.
알렉스 바인스(Alex Vines) 씨는 런던에 근거한 채텀 하우스(London-based Chatham House)의 아프리카 프로그램 책임자이다. 그는 중국이 새로운 기지를 통해 실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여러 곳에 군사 기지를 둔 프랑스나 캠프 르모니에(Camp Lemonnier)에 군사 기지를 둔 미국과 같은 아프리카 내의 여러 세력과 다르다는 것을 여전히 강조하고 싶어 합니다. 중국은 이 기지를 일컬어 단순한 해군 시설이라는 프레임을 짜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중국의 실험입니다. 아프리카의 정부에서 어떻게 반응할까요?”
알렉산더 닐(Alexander Neil) 씨는 국제전략연구소 싱가포르 지부의 선임연구원이다. 그는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좀 다른 방식으로 발자국을 넓혀 나가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원 벨트, 원 로드” 전략으로 알려진 해외 무역 및 투자 전략을 개발해 왔다. 이는 육상 무역과 해상 무역 루트를 말한다. 그것은 마치 500년도 더 전에 중국과 서방을 연결했던 실크로드의 현대판 버전과 같다.
닐 씨는 중국이 과거에는 아프리카에서 단지 원자재를 뽑아내는 것만 추구해 왔다고 말한다. 이러한 방침의 변화로, 이제 그들은 기반시설을 건설하고, 무이자 융자를 제공하고, 업무 제휴와 파트너쉽을 만들어오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은 3년마다 아프리카에 대한 금융 지원을 두 배로 늘려왔다. 2006년 50억 달러에서 2009년 100억 달러, 그리고 2012년엔 200억 달러가 되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주 남아프리카를 방문했을 때, 아프리카에 600억 달러의 차관과 원조를 하기로 약속했다.
이 약속은 가뭄으로 고통받는 국가들에 1억 5,600만 달러의 비상식량 원조를 제공하기로 발표한 것에 뒤이은 것이었다.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군사 신속 대응부대에 대한 600억 달러의 추가 지원을 약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