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 South Korea, Japan Plan to Discuss North Korea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are meeting in Washington Thursday.
A senior official in Seoul said Monday they are to discus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envoys are expected to share their ideas on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also are expected to discuss ways to revive diplomatic efforts to resolve disputes over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The official who made the statement did not want to be named.
The official said the envoys are also likely to reaffirm the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cently, North Korea demanded a peac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munist country.
The United States rejected the idea, saying North Korea must end its nuclear weapons program before a treaty can be considered.
The U.S. State Department says the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Policy -- Sung Kim -- and South Korean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ecurity Affairs -- Hwang Joon-kook --- will take part.
Japanese Director General for Asian and Oceanian Affairs Kimihiro Ishikane will also attend the talks on Thursday.
This will be the first trilateral meeting of the envoys in nearly seven months. It takes place as relations between the Koreas improve. Last week, the two Koreas agreed to hold rare high-level talks next week.
Chang Yong-suk, a senior research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He said the envoys will try to find out if progress in ties between the Koreas will affect the nuclear issue.
Another expert who follows the nuclear issue closely said the trilateral meeting will address North Korea’s efforts to develop its missile technology.
Last week, North Korea reportedly carried out a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test. U.N. sanctions ban North Korea from conducting any launches using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The trilateral meeting follows a visit by the South Korean envoy to China. Hwang traveled to Beijing last week and met with China’s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Affairs Wu Dawei to discuss North Korea.
On Monday, North Korea criticized South Korea for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North Korea’s state-run newspaper Rodong Shinmun accused South Korea of creating, what it called, an “anti-DPRK nuclear racket” with the U.S. and other forces.
Six-party talks aimed at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not taken place since December 2008.
A senior official in Seoul said Monday they are to discus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envoys are expected to share their ideas on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also are expected to discuss ways to revive diplomatic efforts to resolve disputes over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The official who made the statement did not want to be named.
The official said the envoys are also likely to reaffirm the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cently, North Korea demanded a peac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munist country.
The United States rejected the idea, saying North Korea must end its nuclear weapons program before a treaty can be considered.
The U.S. State Department says the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Policy -- Sung Kim -- and South Korean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ecurity Affairs -- Hwang Joon-kook --- will take part.
Japanese Director General for Asian and Oceanian Affairs Kimihiro Ishikane will also attend the talks on Thursday.
This will be the first trilateral meeting of the envoys in nearly seven months. It takes place as relations between the Koreas improve. Last week, the two Koreas agreed to hold rare high-level talks next week.
Chang Yong-suk, a senior research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He said the envoys will try to find out if progress in ties between the Koreas will affect the nuclear issue.
Another expert who follows the nuclear issue closely said the trilateral meeting will address North Korea’s efforts to develop its missile technology.
Last week, North Korea reportedly carried out a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test. U.N. sanctions ban North Korea from conducting any launches using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The trilateral meeting follows a visit by the South Korean envoy to China. Hwang traveled to Beijing last week and met with China’s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Affairs Wu Dawei to discuss North Korea.
On Monday, North Korea criticized South Korea for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North Korea’s state-run newspaper Rodong Shinmun accused South Korea of creating, what it called, an “anti-DPRK nuclear racket” with the U.S. and other forces.
Six-party talks aimed at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not taken place since December 2008.

revive 활기를 되찾다 / diplomatic 외교의 / dispute 분쟁, 분규 / denuclearization 비핵화 / treaty 조약 / trilateral 3자의, 3개국간의 / envoy 사절, 특사 /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 sanction 제재


북한에 대한 논의를 계획하는 한, 미, 일
목요일 워싱턴에서는 미국, 한국, 일본 대표들이 회의를 가진다.
서울에서 온 한 고위관료는 월요일에 북한의 핵 이슈에 대해 논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특사들은 한반도의 안보 상황에 대한 생각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들은 또한 북한의 핵무기 보유와 관련된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재점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실을 밝힌 관계자는 자신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기를 요구했다.
또한, 관계자는 특사들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약속을 재확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최근 북한은 그들과 미국 사이의 평화 조약을 요청하였다.
미국은 북한이 조약을 고려하기 전에 먼저 핵무기 프로그램을 끝내야 한다며 이 제안을 거절했다.
미 국무부는 미국의 북한 정책 문제 대표인 성김(Sung Kim) 특사와 한국의 한반도 평화교섭본부 대표인 황준국(Hwang Joon-kook) 특사가 이에 참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목요일 회담에는 일본의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문제 본부장인 키미히로 이시카네(Kimihiro Ishikane) 또한 참가할 것이다.
이 회담은 약 7개월여 만에 처음 이루어지는 3자 회담이 될 것이다. 이는 남북한의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개최되는 것이다. 지난주, 남북한은 드물게 다음 주에 고위급 회담을 열기로 합의하였다.
서울대학교 평화통일연구원 장용석(Chang Yong-suk) 수석 연구원은 특사들이 남북한 관계 개선이 핵 문제에 영향을 줄 것인지 밝혀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핵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전문가에 따르면 3자 회담에서는 북한의 무기 기술 개발 노력에 대해서도 다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지난주, 북한에서는 반복적으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였다. U.N. 제재에 따르면 북한은 탄도 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어떠한 발사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3자 회담은 남한 사절의 중국 방문에 뒤이은 것이다. 황준국 특사는 지난주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 외교부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 우다웨이(Wu Dawei) 씨와 함께 북한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월요일에 북한은 남한의 회담 참가에 대해 비판했다. 북한 국영 보도 매체인 노동신문은 한국이 미국 및 기타 세력과 함께 소위 “반북 핵 라켓”을 만드는 것에 대해 비난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 회담은 2008년 12월 이후로 열리지 않았다.
서울에서 온 한 고위관료는 월요일에 북한의 핵 이슈에 대해 논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특사들은 한반도의 안보 상황에 대한 생각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들은 또한 북한의 핵무기 보유와 관련된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재점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실을 밝힌 관계자는 자신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기를 요구했다.
또한, 관계자는 특사들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약속을 재확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최근 북한은 그들과 미국 사이의 평화 조약을 요청하였다.
미국은 북한이 조약을 고려하기 전에 먼저 핵무기 프로그램을 끝내야 한다며 이 제안을 거절했다.
미 국무부는 미국의 북한 정책 문제 대표인 성김(Sung Kim) 특사와 한국의 한반도 평화교섭본부 대표인 황준국(Hwang Joon-kook) 특사가 이에 참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목요일 회담에는 일본의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문제 본부장인 키미히로 이시카네(Kimihiro Ishikane) 또한 참가할 것이다.
이 회담은 약 7개월여 만에 처음 이루어지는 3자 회담이 될 것이다. 이는 남북한의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개최되는 것이다. 지난주, 남북한은 드물게 다음 주에 고위급 회담을 열기로 합의하였다.
서울대학교 평화통일연구원 장용석(Chang Yong-suk) 수석 연구원은 특사들이 남북한 관계 개선이 핵 문제에 영향을 줄 것인지 밝혀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핵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전문가에 따르면 3자 회담에서는 북한의 무기 기술 개발 노력에 대해서도 다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지난주, 북한에서는 반복적으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였다. U.N. 제재에 따르면 북한은 탄도 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어떠한 발사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3자 회담은 남한 사절의 중국 방문에 뒤이은 것이다. 황준국 특사는 지난주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 외교부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 우다웨이(Wu Dawei) 씨와 함께 북한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월요일에 북한은 남한의 회담 참가에 대해 비판했다. 북한 국영 보도 매체인 노동신문은 한국이 미국 및 기타 세력과 함께 소위 “반북 핵 라켓”을 만드는 것에 대해 비난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 회담은 2008년 12월 이후로 열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