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5-02 09:03

Origami Therapy

We look at how the art of origami might be useful in the mental health field.

Origami is the Japanese art of folding a piece of paper. The folded paper can be made to look like anything -- a bird or a boat, a box, a flower or even a face. Some people do origami as a way to ease the day’s tensions. Others are serious artists. But Ken Fowler of Colorado used origami to help himself recover from a mental illness and launch a new career.

Several years ago, Ken Fowler suffered from extreme depression. Anti-depressant drugs were ineffective. The Colorado man felt so sad and unbalanced that he entered a mental hospital.

“I was in a really super-depressed state and it got to the point where I had two doctors recommending electro-convulsive therapy.”

While Ken Fowler was considering that treatment, an art therapist at the hospital suggested he experiment with origami.

“My hands were shaking so much I couldn’t get it. But I just kept persisting and it gave me something to focus on, other than TV. It helped me steady my hands.”

Mr. Fowler decided against having electroshock treatment. His mental condition began to improve and, in time, he was well enough to leave the hospital. He still takes anti-depressants. But he is sure that origami helped him recover.

“You can really relax with it. There’s no hurry. It’s not competitive. And it’s a little [raise to] self-esteem.”

After Ken Fowler left the hospital, he continued working with origami. He joined a group of origami lovers in the city of Boulder. They call themselves “The Boulder Folders.” Barbara Gardner leads the group.

The Boulder Folders includes children as young as six to retirees in their seventies. Barbara Gardner says Ken Fowler is a valued member.

“Ken is motivated. He is a good learner. He’s done a lot of things to figure out how to fold things. He’s become a wonderful teacher.”

Like to Katherine, an eighth grade student.

“Right now I’m making a bunch of paper cranes, a whole bunch of really small ones.”

Katherine says she likes how origami exercises her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art skills.

Ken Fowler tells his students that if they do not like how one of their creations is shaped, they should unfold it, study the folds and change them or start anew. He says the same is true in mental health.

“So, if you can’t figure out where you’re at, and you’re wondering where you’re at in your life, just unfold it.”

After folding and unfolding, everyone ends up with a paper rose. And then they sing a poem Ken Fowler wrote about origami.

These days, Mr. Fowler has been asked to teach origami classes in public schools. He hopes to someday do the same for patients in psychiatric hospitals.
depression 우울증 / anti-depressant 항울성의 / unbalanced 약간 미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 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기 충격 요법 / persist 집요하게 계속하다 / steady 흔들리지 않다 / against 반대하여 / self-esteem 자부심 / a bunch of 수많은 / crane 학 / anew 다시, 새로 / ends up with 결국 ~하게 되다 / psychiatric hospital 정신병원
오리가미(Origami) 치료
정신 건강 분야에서 오리가미(종이 접기) 공예이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오리가미는 종이를 접는 일본 공예이다. 접힌 종이는 새 또는 배, 박스, 꽃, 심지어 얼굴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그럴싸하게 보이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어떤 이들은 하루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오리가미를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진지한 예술가로서 오리가미를 한다. 그러나 콜로라도의 켄 팔러(Ken Fowler) 씨는 오리가미를 이용하여 정신병에서 회복하고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받았다.

수 년 전, 켄 팔러 씨는 극도의 우울증에 시달렸다. 항울제는 효과가 없었다. 이 콜로라도 남성은 너무나 슬프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어 정신과를 찾았다.

“전 정말 굉장히 우울한 상태였고 두 명의 의사들이 제게 전기 충격 요법을 추천할 지경까지 이르렀습니다.”

켄 팔러 씨가 전기 충격 요법을 고려할 당시, 이 병원의 한 예술 치료사가 오리가미를 이용한 실험을 제안했다.

“전 손이 너무 떨려서 오리가미를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저 끈질기게 계속했고, 오리가미는 저에게 TV가 아닌 집중할 무언가를 주었습니다. 제 손을 떨지 않게 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팔러 씨는 전기 충격 요법 수행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의 정신 상태는 호전되기 시작했고, 이윽고 병원을 떠나기 충분할 정도로 호전되었다. 그는 여전히 항울제를 복용 중이지만 오리가미가 그의 회복을 도왔다고 확신한다.

“정말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급할 것이 없습니다. 오리가미는 경쟁적이지도 않고 약간의 자부심도 세워 줍니다.”

퇴원 이후, 팔러씨는 오리가미를 계속 하고 있다. 그는 볼더(Boulder) 시에서 오리가미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가입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더 볼더 폴더스(The Boulder Folders)”라고 부른다. 바바라 가드너(Barbara Gardner) 씨가 이 모임의 대표다.

“더 볼더 폴더스” 회원들은 6살 어린이부터 70대 은퇴자까지 있다. 바바라 가드너씨는 켄 팔러 씨가 소중한 회원이라고 말한다.

“켄 씨는 동기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그는 훌륭한 학생이죠. 그는 사물을 접어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그는 훌륭한 강사가 되었습니다.”

8학년 학생인 캐서린(Katherine) 양도 마찬가지다.

“전 지금 수많은 종이학을 접고 있어요. 엄청난 양의 아주 작은 학들이죠.”

캐서린 양은 수학 및 예술 능력에 대한 자신의 지식이 오리가미에서 발휘되는 방식이 좋다고 말한다.

켄 팔러 씨는 자신의 학생들에게 만약 스스로 만든 작품의 모양이 맘에 들지 않으면 접힌 작품을 풀고, 접는 방법을 익혀 작품을 변화시키거나 새로 접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이는 정신 건강에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한다.

“즉, 여러분 자신이 있는 곳을 알 수 없고, 스스로 인생의 어느 지점에 있는지 궁금하다면, 한번 풀어 보세요.”

종이를 접고 풀기를 반복한 후에 모든 이들이 종이 장미를 완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들은 켄 팔러 씨가 오리가미에 대해 쓴 시를 낭송한다.

요즘 팔러 씨는 공립 학교 수업에서 오리가미를 지도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왔다. 그는 언젠가 정신병원의 환자들을 위한 수업도 진행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 Billy Joel, Jill Scott and Oth… sim 05-14 6038
50 Boston Bombings Investigation … sim 05-10 5909
49 Could Waste Plastic Reduce Our… sim 05-09 6240
48 YouTube’s latest efforts to gr… sim 05-08 5903
47 Music Would Not Be The Same Wi… sim 05-07 5832
46 Nicknames for Los Angeles… sim 05-06 6173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Urge… sim 05-03 5587
44 Origami Therapy… sim 05-02 5772
43 Presidential Inauguration… sim 05-02 5903
42 California Seeks China's … sim 04-30 5649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