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5-20 10:03

Bangladesh Building Collapse Kills More Than 500

Labor groups, businesse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are condemning the human cost of a building collapse in Bangladesh. More than 500 people are confirmed dead after the building failure on April 24th. In the capital, Dhaka, tens of thousands of textile workers ended a week-long protest and reported to their jobs on Thursday. The collapsed building had housed several clothing factories. The workers had launched the protest to dem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The $20 billion dollar textile industry in Bangladesh makes up 80 percent of the country’s exports. Bangladesh’s Garment Manufacturers and Exporters Association says it is working to prevent future incidents. Association representative Shahidullah Azim says his group is working with government officials. He says the team will move immediately to report unsafe conditions to the government.

However, clothing workers and activists say they have heard similar promises before. Just six months ago, more than 100 people were killed in a factory fire in Dhaka.

The day before the building collapse, an engineer warned of cracks in the structure. Some concerned business owners had sent workers home.

Alonzo Suson works with the Bangladesh Center for Workers’ Solidarity. He is not sure whether working conditions will change when most textile workers earn less than $50 a month. He tells of a 16-year-old who was told she would lose a week’s pay if she failed to enter the factory.

Doctors had to remove the young woman’s arm after she was severely injured in the collapse. Alonzo Suson says clothing workers cannot refuse to work in unsafe conditions. He says some workers know the place where they work is unsafe. But the workers need the job to survive.

Mr. Suson says Bangladesh’s clothing industry needs more inspectors and laws for building safety. He says only 25 to 30 factories have labor unions, and most were organized in the past six months.

In Dhaka, police have detained the owner of the collapsed building. Some protesters say he should be sentenced to death. Police have also arrested factory owners and building engineers for ignoring safety issues.

Activists say people overseas must also take responsibility -- both those who sell clothing and buyers of the clothes made in unsafe factories.

On Thursday, the European Union said it may change its trade agreement with Bangladesh. The EU called on Bangladeshi officials to ensure that the country’s factories obey international labor rules.

Europe is Bangladesh’s largest trading partner. Ineke Zeldenrust is with the activist Clean Clothes Campaign in Europe. She says western clothing stores have ignored warnings about the dangerous conditions in foreign factories. She says Western businesses must promise to pay more to clothing manufacturers and demand safer factories.
condemn 규탄하다 / human cost 인간비용, 인명의 희생 / textile worker 직물 작업자 / house 수용하다, 거처를 제공하다 / incident 일, 사건 / solidarity 연대 / detain 구금하다, 억류하다 / take responsibility 책임을 지다
방글라데시의 건물 붕괴로 500명이 넘는 사망자 발생
전 세계 노동 단체와 기업 및 세계인들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로 인한 인명피해를 규탄하고 있다. 4월 24일 건물 붕괴 이후 500명이 넘는 이들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도인 다카(Dhaka)에서는 수만 명의 직물 작업자들이 일주일 간 지속된 시위를 끝내고 목요일 그들의 직장으로 돌아갔다. 붕괴된 건물에는 몇 개의 의류 공장이 입주해 있었다. 노동자들은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요구하기 위해 이번 시위를 시작했다.

2백 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방글라데시의 섬유 산업은 이 나라 수출의 80%를 차지한다. “방글라데시 의류 생산자 및 수출인 연합(Bangladesh’s Garment Manufacturers and Exporters Association)”은 향후 사고 방지를 위해 조치를 취하는 중이라고 말한다. 이 단체의 대표인 샤히둘라 아짐(Shahidullah Azim) 씨는 자신의 단체가 정부 관료들과 협의 중이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팀이 위험한 근로 환경을 정부에 보고하는데 즉각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의류 노동자들과 활동가들은 이와 비슷한 약속들은 이전에도 들어왔다고 말한다. 단지 6개월 전에만 해도, 다카의 한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건물이 붕괴되기 전날, 한 엔지니어가 건물의 균열에 대해 경고했었다. 이를 염려한 일부 업주들은 자사의 근로자들을 집으로 돌려보냈다.

알론조 수존(Alonzo Suson)씨는 “노동자 연대를 위한 방글라데시 센터(Bangladesh Center for Workers’ Solidarity)”에서 일하고 있다. 그는 대부분의 섬유 노동자들이 월 50달러 이하를 버는 상황에서 근로 환경이 변할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공장에 출근하지 않으면 일주일 치 주급을 받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은 16세 소녀의 이야기를 전해 주었다.

그녀가 건물 붕괴로 인해 심각하게 부상을 입자 의사들은 이 여성의 팔을 절단할 수밖에 없었다. 알론조 수존 씨는 의류 노동자들이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을 거부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일부 근로자들의 경우 자신의 근무지가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들에게는 생존을 위해 이 직업이 필요하다.

수존 씨는 방글라데시의 의류 산업에는 건물 안전을 위해 더 많은 조사관과 법령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노동조합을 보유한 공장의 수는 25개에서 30개에 불과하며, 이들 대부분이 지난 6개월 내 설립되었다고 한다.

경찰은 다카에서 붕괴된 건물의 건물주를 구속했다. 일부 시위자들은 그에게 사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찰은 안전 문제를 무시했다는 이유로 공장주와 엔지니어들 역시 구속했다.

운동가들은 안전치 못한 공장에서 생산된 옷에 대한 해외의 판매업자들과 소비자들 모두 마찬가지로 책임을 져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

목요일, 유럽연합(UN)은 방글라데시와의 무역 협정을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방글라데시 관료들에게 방글라데시의 공장들이 국제 노동 규정을 준수할 것을 보장하도록 요구했다.

유럽은 방글라데시의 최대 교역 파트너이다. 이네커 젤덴루스트(Ineke Zeldenrust) 씨는 사회 운동 단체인 유럽의 “깨끗한 옷 캠페인(Clean Clothes Campaign)”에서 일하고 있다. 그녀는 서구의 의류 업체들이 해외 공장의 위험한 노동 환경에 대한 경고를 무시해 왔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서양 업체들이 의류 제조업체들에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 “안전한 공장”을 요구할 것을 약속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1 Clothing Swaps… sim 05-27 6106
60 Smithsonian Craft Show… sim 05-24 6385
59 How Sea Levels Are Rising Arou… sim 05-23 6039
58 Senators Try to Change America… sim 05-22 5891
57 Florence Fights Hate Crimes Ag… sim 05-21 5853
56 Words and Their Stories: Write… sim 05-20 5857
55 Bangladesh Building Collapse K… sim 05-20 5723
54 Nicknames for New York City… sim 05-16 5795
53 Phone App to Assist Alzheimer’… sim 05-16 5856
52 Newest Presidential Library in… sim 05-14 584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