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 York Celebrates the Arts of Cambodia
Most of Cambodia’s artists -- an estimated 80 percent -- were killed when the Khmer Rouge ruled the country in the 1970s. The artists were among about two million victims of Khmer Rouge rule. Their skills and knowledge were lost because Cambodian culture is largely oral, passing from person to person through word of mouth.
In the past 20 years, a new generation of Cambodians has sought to reclaim those traditions and invent new forms of art. Steve Ember tells about a cultural program designed to help support that effort.
The program, called “Season of Cambodia,” is taking place all around New York City. It began with a gathering of Buddhist religious workers. There have been musical performances, films, art shows and dance by more than 120 visiting Cambodian artists.
Phlouen Prim leads Cambodian Living Arts, the group that organized the festival.
“It’s one step further to fulfill the organization’s vision, which is having that, you know, kind of dream of re-imagining Cambodia being seen in the world for its arts and culture, and not just for the killing field.”
Dance is the most-popular Cambodian art form. At the Guggenheim Museum, seven male dancers performed a new dance called “Khmeropédies III.” The dancers were trained at an early age to perform the part of the monkey. The animal often represents something important in traditional Cambodian stories.
Choreographer Emmanuèle Phuon worked with Eric Sargis, a specialist on primates, to study monkeys and apes.
“Such as in Africa chimpanzees, bonobos, gorillas, and Eric explained how these particular animals move or how they behave, and we observed that and we made a dance out of that.”
Khema Wright was a child when her family fled Cambodia.
“So to see my culture actually here in the United States, in New York, it’s amazing.”
Her friend Chhaya Chhoum directs a community group for Southeast Asian immigrants.
“You know, a lot of our community members talk about how, you know, they just want to live to die, because they’ve suffered so much. And I think the art really rejuvenates and awaken peoples’ sense of community, trust and love for one another again.”
Members of Chhaya Chhoum’s group helped to connect flowers to a work by Cambodian artist Leang Seckon. The image of a soldier was made with a parachute that fell to earth in the American bombing of Cambodia during the Vietnam War. The work was used in a “ceremony of reconciliation,” that included Cambodians and former American soldiers.
Arn Chorn-Pond helped to launch Cambodian Living Arts. He told the group how playing his musical instrument, a flute, saved his life -- first by protecting him from the guards at the work camp where he was sent, and then from his desire to punish his captors. Now, he says, he is using his art to help Cambodians heal.
“I never thought that the flute and speaking is power. I thought that only the burial of guns that’s power. But I was wrong.”
In the past 20 years, a new generation of Cambodians has sought to reclaim those traditions and invent new forms of art. Steve Ember tells about a cultural program designed to help support that effort.
The program, called “Season of Cambodia,” is taking place all around New York City. It began with a gathering of Buddhist religious workers. There have been musical performances, films, art shows and dance by more than 120 visiting Cambodian artists.
Phlouen Prim leads Cambodian Living Arts, the group that organized the festival.
“It’s one step further to fulfill the organization’s vision, which is having that, you know, kind of dream of re-imagining Cambodia being seen in the world for its arts and culture, and not just for the killing field.”
Dance is the most-popular Cambodian art form. At the Guggenheim Museum, seven male dancers performed a new dance called “Khmeropédies III.” The dancers were trained at an early age to perform the part of the monkey. The animal often represents something important in traditional Cambodian stories.
Choreographer Emmanuèle Phuon worked with Eric Sargis, a specialist on primates, to study monkeys and apes.
“Such as in Africa chimpanzees, bonobos, gorillas, and Eric explained how these particular animals move or how they behave, and we observed that and we made a dance out of that.”
Khema Wright was a child when her family fled Cambodia.
“So to see my culture actually here in the United States, in New York, it’s amazing.”
Her friend Chhaya Chhoum directs a community group for Southeast Asian immigrants.
“You know, a lot of our community members talk about how, you know, they just want to live to die, because they’ve suffered so much. And I think the art really rejuvenates and awaken peoples’ sense of community, trust and love for one another again.”
Members of Chhaya Chhoum’s group helped to connect flowers to a work by Cambodian artist Leang Seckon. The image of a soldier was made with a parachute that fell to earth in the American bombing of Cambodia during the Vietnam War. The work was used in a “ceremony of reconciliation,” that included Cambodians and former American soldiers.
Arn Chorn-Pond helped to launch Cambodian Living Arts. He told the group how playing his musical instrument, a flute, saved his life -- first by protecting him from the guards at the work camp where he was sent, and then from his desire to punish his captors. Now, he says, he is using his art to help Cambodians heal.
“I never thought that the flute and speaking is power. I thought that only the burial of guns that’s power. But I was wrong.”

Khmer Rouge 크메르 루즈(1967년 결성된 캄보디아의 급진좌파 무장단체) / largely 대체로 / oral 구전의, 구두의 / word of mouth 구전 / seek to 추구하다 / reclaim 되찾다 / choreographer 안무가 / parachute 낙하산 / reconciliation 화해, 조화 / rejuvenate 활기를 되찾게 하다 / work camp 강제 노동 수용소 / captor 포획자, 포로 / burial 매장


뉴욕, 캄보디아 예술을 기념하다
약 80%에 달하는 캄보디아 예술가의 대부분이 크메르 루주(Khmer Rouge)가 이 나라를 통치하던 1970년대 사망했다. 이들은 크메르 루주 정권에 의해 희생된 약 2백만 명 중 일부다. 캄보디아 문화는 대체로 말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구전되기 때문에 이들의 기술과 지식은 잃어버린 바 되었다.
지난 20년 간, 캄보디아의 신세대들은 이러한 전통을 되찾고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창조하기 위한 시도를 해왔다. 이러한 노력의 지원을 돕기 위해 계획된 한 문화 프로그램에 대해 스티브 엠버(Steve Ember) 기자가 보도한다.
“시즌 오브 캄보디아(Season of Cambodia)”로 불리는 이 프로그램은 뉴욕 시 도처에서 열리고 있으며, 불교 종교인들의 모임을 필두로 시작되었다. 120명이 넘는 캄보디아 초청 예술인들이 음악 공연, 영화 상영, 예술 쇼와 춤을 선보였다.
플로엔 프림(Phlouen Prim) 씨는 이번 행사를 기획한 “캄보디아 생활 예술(Cambodian Living Arts)”의 대표다.
“이번 행사는 캄보디아가 킬링 필드(killing field)로서가 아니라 이 나라의 예술과 문화로 세계에 보여지도록 재인식되었으면 하는 우리 단체의 비전 달성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 할 수 있죠.”
춤은 캄보디아의 예술 가운데 가장 인기가 좋은 유형이다. 7명의 남성 무용수들은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크메로페디3(Khmeropédies III)”라는 새로운 춤을 선보였다. 이들 무용수는 원숭이 분을 공연하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훈련을 받아왔다. 이 동물은 보통 캄보디아 전통 이야기에서 중요한 무언가를 상징한다.
안무가인 엠마누엘 폰(Emmanuèle Phuon) 씨는 영장류 춤 전문가인 에릭 살기스(Eric Sargis) 씨와 함께 원숭이와 유인원을 연구했다.
“에릭 씨는 아프리카 침팬지, 난쟁이 침팬지(bonobo), 고릴라와 같은 각각의 동물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행동하는 지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관찰했고, 거기서 춤을 창조해 냈습니다.”
키마 라이트(Khema Wright) 씨의 가족이 캄보디아를 떠나올 때 그녀는 어린 아이였다.
“이곳 미국 뉴욕에서 우리나라의 문화를 실제 볼 수 있다니, 놀랍네요.”
그녀의 친구인 차야 쵸음(Chhaya Chhoum) 씨는 동남아 이주자 단체를 이끌고 있다.
“우리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그냥 죽기 위해 사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너무 많은 고통을 겪어왔기 때문입니다. 저는 예술이 진정 이 사람들에게 활기를 되찾게 하고, 소속감과 서로에 대한 신뢰, 그리고 사랑을 다시 일깨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차야 쵸음 씨의 단체 구성원들은 캐나다 예술가인 레앙 세콘(Leang Seckon) 씨의 작품에 꽃을 연결하는 작업을 도왔다. 한 군인 조각상은 낙하산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낙하산은 베트남 전쟁 중 캄보디아에 대한 미국의 폭탄 공격 때 지면으로 떨어진 것이다. 이 작품은 캄보디아인들과 미군의 퇴역 군인들이 참여한 “회복의 세레모니(ceremony of reconciliation)”에서 사용되었다.
안 촌 폰드(Arn Chorn-Pond) 씨는 캄보디아 생활 예술의 출범을 도운 인물이다. 그는 이 단체에 자신의 플루트 연주가 어떻게 자신의 목숨을 구했는지 이야기 했다. 이 악기는 첫 번째, 그가 파견되었던 강제 수용소의 경비자들로부터, 두 번째 자신을 억류한 자들을 벌하고 싶은 욕구로 부터 그를 보호했다. 그는 이제 캄보디아인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의 악기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저는 플루트와 말하는 것이 힘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저 총의 매장이 힘이라고 생각했었죠. 하지만 제 생각이 틀렸었습니다.”
지난 20년 간, 캄보디아의 신세대들은 이러한 전통을 되찾고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창조하기 위한 시도를 해왔다. 이러한 노력의 지원을 돕기 위해 계획된 한 문화 프로그램에 대해 스티브 엠버(Steve Ember) 기자가 보도한다.
“시즌 오브 캄보디아(Season of Cambodia)”로 불리는 이 프로그램은 뉴욕 시 도처에서 열리고 있으며, 불교 종교인들의 모임을 필두로 시작되었다. 120명이 넘는 캄보디아 초청 예술인들이 음악 공연, 영화 상영, 예술 쇼와 춤을 선보였다.
플로엔 프림(Phlouen Prim) 씨는 이번 행사를 기획한 “캄보디아 생활 예술(Cambodian Living Arts)”의 대표다.
“이번 행사는 캄보디아가 킬링 필드(killing field)로서가 아니라 이 나라의 예술과 문화로 세계에 보여지도록 재인식되었으면 하는 우리 단체의 비전 달성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 할 수 있죠.”
춤은 캄보디아의 예술 가운데 가장 인기가 좋은 유형이다. 7명의 남성 무용수들은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크메로페디3(Khmeropédies III)”라는 새로운 춤을 선보였다. 이들 무용수는 원숭이 분을 공연하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훈련을 받아왔다. 이 동물은 보통 캄보디아 전통 이야기에서 중요한 무언가를 상징한다.
안무가인 엠마누엘 폰(Emmanuèle Phuon) 씨는 영장류 춤 전문가인 에릭 살기스(Eric Sargis) 씨와 함께 원숭이와 유인원을 연구했다.
“에릭 씨는 아프리카 침팬지, 난쟁이 침팬지(bonobo), 고릴라와 같은 각각의 동물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행동하는 지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관찰했고, 거기서 춤을 창조해 냈습니다.”
키마 라이트(Khema Wright) 씨의 가족이 캄보디아를 떠나올 때 그녀는 어린 아이였다.
“이곳 미국 뉴욕에서 우리나라의 문화를 실제 볼 수 있다니, 놀랍네요.”
그녀의 친구인 차야 쵸음(Chhaya Chhoum) 씨는 동남아 이주자 단체를 이끌고 있다.
“우리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그냥 죽기 위해 사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너무 많은 고통을 겪어왔기 때문입니다. 저는 예술이 진정 이 사람들에게 활기를 되찾게 하고, 소속감과 서로에 대한 신뢰, 그리고 사랑을 다시 일깨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차야 쵸음 씨의 단체 구성원들은 캐나다 예술가인 레앙 세콘(Leang Seckon) 씨의 작품에 꽃을 연결하는 작업을 도왔다. 한 군인 조각상은 낙하산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낙하산은 베트남 전쟁 중 캄보디아에 대한 미국의 폭탄 공격 때 지면으로 떨어진 것이다. 이 작품은 캄보디아인들과 미군의 퇴역 군인들이 참여한 “회복의 세레모니(ceremony of reconciliation)”에서 사용되었다.
안 촌 폰드(Arn Chorn-Pond) 씨는 캄보디아 생활 예술의 출범을 도운 인물이다. 그는 이 단체에 자신의 플루트 연주가 어떻게 자신의 목숨을 구했는지 이야기 했다. 이 악기는 첫 번째, 그가 파견되었던 강제 수용소의 경비자들로부터, 두 번째 자신을 억류한 자들을 벌하고 싶은 욕구로 부터 그를 보호했다. 그는 이제 캄보디아인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의 악기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저는 플루트와 말하는 것이 힘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저 총의 매장이 힘이라고 생각했었죠. 하지만 제 생각이 틀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