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6-19 09:21

Skylab’s Legacy

For more than 40 years, scientists have sought to learn how well human beings can adapt to long periods in space.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continues to provide valuable knowledge about spaceflight. But an earlier space station, Skylab, helped make the current space project possible. Kelly Jean Kelly has the story.

The music you are hearing came from space --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o be exact.

Canadian astronaut Chris Hadfield’s music video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The astronaut plays his own version of David Bowie’s song “Space Oddity.” He performed while floating weightlessly, with images of planet earth and space appearing in the window behind him.

Chris Hadfield recently returned home after nearly five months on the space station. For him, the long flight produced a hit video on YouTube and no major physical problems. But 40 years ago, scientists did not know how humans would react to long-term spaceflight.

To find out, NASA, the American space agency, launched Skylab in May 1973. Over nearly a year, three teams of astronauts visited Skylab for stays of between 28 to 84 days. They learned how people react to extended periods in space.

Gerald Carr commanded Skylab 4. He spoke at a NASA event marking the 40th anniversary of Skylab’s launch. He told VOA that the loss of the body’s muscle mass was a main concern.

“What we learned was that simple exercise takes care of the problem, and there’s no reason why a person can’t stay in a weightless environment for a long, long time.”

Astronauts on Skylab used exercise equipment to stay strong. The astronauts spent their workdays carrying out experiments, including biomedical research. The early space station also served as an observatory for the sun and the earth.

Owen Garriott was the science pilot of Skylab 3. He is happy with what NASA did with the early space station.

“Forty years out, I think we’re still impressed with the amount of work that was accomplished and the foresight of the investigators in planning the experiments.”

Marshall Porterfield is the director of NASA’s Space Life and Physical Sciences Division. He says the Skylab astronauts’ understanding of their own ability to deal with long-term spaceflight continues to help current astronauts.

“Now we’ve built on that, and what they found in terms of bone and muscle health changes that occur in space, and those are still significant areas in our research portfolio now.”

NASA says the next step for life away from Earth is a year-long space station mission, set for 2015. I’m Kelly Jean Kelly.

Finally, May 29 is the birthdate of American revolutionary leader Patrick Henry. He was born in 1736. Henry is famous for making a speech in support of ending British colonial rule. He said the words, “Give me liberty, or give me death.”
valuable 귀중한 / space station 우주정거장 / space flight 우주비행 / weightless 무중력 상태 / ovservatory 관측소 / astronaut 우주비행사
스카이랩이 남긴 유산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과학자들은 인간이 우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적응하며 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다. 국제 우주 정거장은 우주 비행에 대한 귀중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초창기의 우주 정거장인 스카이랩이 현재의 우주 프로젝트가 가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캘리 진 캘리(Kelly Jean Kelly)가 이 이야기를 보도한다.

당신이 지금 듣고 있는 음악은 우주, 정확히 말하자면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온 것이다.

캐나다 우주 비행사 크리스 해드필드(Chris Hadfield) 씨의 뮤직비디오는 엄청난 유명세를 탔다. 이 우주 비행사는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의 노래 “특이한 우주”(Space Oddity)를 자신만의 형태로 연주한다. 그는 자신의 뒤에 위치한 창문 사이로 지구와 우주의 모습이 보이도록 하며 무중력 상태로 떠다니면서 연주하였다.

크리스 해드필드 씨는 우주 정거장에서 거의 5개월을 지낸 후 최근 집으로 돌아왔다. 그는 긴 비행을 하는 동안 유튜브에서 히트 비디오를 만들어 냈고 그동안 건강상에도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40년 전 과학자들은 인간이 장시간의 우주 비행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알지 못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미 항공 우주국(NASA)은 1973년 5월에 스카이랩을 발사했다.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세 팀으로 구성된 우주 비행사들은 짧게는 28일에서 길게는 84일 사이의 기간 동안 스카이랩에서 지냈다. 그들은 오랜 기간 동안 사람이 우주에서 지내게 되면 어떤 반응이 나타날지 알게 되었다.

제랄드 카(Gerald Carr) 씨는 스카이랩 4를 지휘했다. 그는 스카이랩 발사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던 나사(NASA)의 행사장에서 연설하였다. 그가 VOA에게 말하길, 우주에서 주된 걱정은 몸의 근육량 감소였다고 한다.

“우리는 간단한 운동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아주 오랜 기간 동안 무중력 상태로 지낼 수 없을 만한 이유는 없다는 사실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스카이랩의 우주 비행사들은 운동 기구를 이용하며 몸의 건강을 유지했다. 그들은 생체 의학 연구를 포함한 여러 실험을 진행하며 근무 시간을 보냈다. 초창기의 우주 정거장은 해와 지구의 관측소 역할도 하였다.

오언 게리엇(Owen Garriott) 씨는 스카이랩 3의 과학 조종사였다. 그는 초창기의 우주 정거장을 만든 나사(NASA)에 매우 만족한다고 한다.

“40년이 지난 지금 아직도 우리는 그때 이루어 낸 업무의 양과 업적에, 그리고 여러 실험을 계획했던 조사관들의 예지력에 감명 받았습니다.”

마셜 포터필드(Marshall Porterfield) 씨는 나사(NASA)의 우주생명 및 자연과학 부서를 이끌고 있다. 그는 장기간 우주 비행에서의 대처하는 스카이랩의 우주 비행사들의 지식이 현재의 우주 비행사들에게 지속적으로 도움을 준다고 한다.

“현재 우리는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더 많은 것들을 알아가고 있으며, 우주에서 발생하는 뼈와 근육의 건강 변화와 관련하여 그들이 알아낸 것들은 아직까지도 현재의 연구 자산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구로부터 떨어진 삶을 위한 다음 단계는 2015년에 착수될 1년짜리 우주 정거장 미션이라고 나사(NASA)는 밝혔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81 Iranian Presidential Candidate… sim 06-21 5856
80 Nigeria Struggles to Control V… sim 06-20 6593
79 Skylab’s Legacy… sim 06-19 6568
78 A Call for Citizen Scientists … sim 06-18 5870
77 Words and Their Stories: Liste… sim 06-17 6969
76 Rebuilding in Moore After Dead… sim 06-14 5800
75 Angelina Jolie Removes Breasts… sim 06-13 5823
74 Illegal Logging Threatens West… sim 06-12 5855
73 Good Government Economic Repor… sim 06-11 5968
72 Words and Their Stories: Prove… sim 06-10 662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