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ian Americans in LA Share Tea and Tradition, Boba Style
Asian Americans growing up in the United States have a very different experience from those who came before them. There is a growing sense of pride, or self-worth, among Asian Americans. For many of them, it is stylish to be Asian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in southern California.
VOA’s Elizabeth Lee visited with some families in the largely Asian areas of east Los Angeles. Karen Leggett has her report.
On any given night, college students and young workers crowd into the Factory Tea Bar. The room is filled with comfortable couches and other seating. The light is low.
The bar serves no alcoholic drinks. People come here for sweet tea. It is often served with ice, milk and boba from Taiwan. Boba are large, chewy balls of tapioca.
Tiffany Porter is an American-born Chinese college student. She visits the Factory Tea Bar often.
“The boba place is like unique to Asian people, and so if you want that Asian comfort you come to a boba of place, and so that you can feel at home with a lot of other Asian people.”
Sociologist Oliver Wang says Tiffany Porter is part of what he calls the boba generation.
“I think the boba generation, if you will, can span everything from today’s teenagers up through people probably of my generation. I’m in my early 40s now. And so it covers a good 40 years or so.”
Oliver Wang says the current generation of Asian-Americans grew up seeing more Asian faces on television locally and through satellite. He says Asians are no longer stereotypes. And now they can see how other Asians like to be seen, like in the music video “Boba Life,” created by comedians The Fung Brothers.
David Fung says boba is to the Asian-American community what Coca-Cola is to the rest of America.
“I know boba is even more ubiquitous in Taiwan than here, but they don’t have the same culture built around it.”
Boba cafes are supported by people from throughout Asia who live in southern California. Lina Yaore, an Indonesian-American, likes to socialize at boba cafes with her Indonesian friends.
“We like relaxing. We like chatting and then we like to enjoy the drink.”
Chatchawat Rienkhemaniyom is from Thailand, but he knew boba teas have international appeal. That is why he opened the Factory Tea Bar. He says the business is very healthy and growing.
“Boba has become life, become one of their life, like a part of their life.”
And that way of life is spreading across the United States, says Andrew Fung of the Fung Brothers.
“On every college campus, there’s enough Asian people. There’s enough Chinese people, there’s enough Taiwanese people, where they’re going to have one boba shop no matter how crappy it is, and all the Asians know about it.”
Boba cafes have become a sign of a cultural movement among Americanized Asians who are still connected with their ethnic identity, but proud to be Asian American.
VOA’s Elizabeth Lee visited with some families in the largely Asian areas of east Los Angeles. Karen Leggett has her report.
On any given night, college students and young workers crowd into the Factory Tea Bar. The room is filled with comfortable couches and other seating. The light is low.
The bar serves no alcoholic drinks. People come here for sweet tea. It is often served with ice, milk and boba from Taiwan. Boba are large, chewy balls of tapioca.
Tiffany Porter is an American-born Chinese college student. She visits the Factory Tea Bar often.
“The boba place is like unique to Asian people, and so if you want that Asian comfort you come to a boba of place, and so that you can feel at home with a lot of other Asian people.”
Sociologist Oliver Wang says Tiffany Porter is part of what he calls the boba generation.
“I think the boba generation, if you will, can span everything from today’s teenagers up through people probably of my generation. I’m in my early 40s now. And so it covers a good 40 years or so.”
Oliver Wang says the current generation of Asian-Americans grew up seeing more Asian faces on television locally and through satellite. He says Asians are no longer stereotypes. And now they can see how other Asians like to be seen, like in the music video “Boba Life,” created by comedians The Fung Brothers.
David Fung says boba is to the Asian-American community what Coca-Cola is to the rest of America.
“I know boba is even more ubiquitous in Taiwan than here, but they don’t have the same culture built around it.”
Boba cafes are supported by people from throughout Asia who live in southern California. Lina Yaore, an Indonesian-American, likes to socialize at boba cafes with her Indonesian friends.
“We like relaxing. We like chatting and then we like to enjoy the drink.”
Chatchawat Rienkhemaniyom is from Thailand, but he knew boba teas have international appeal. That is why he opened the Factory Tea Bar. He says the business is very healthy and growing.
“Boba has become life, become one of their life, like a part of their life.”
And that way of life is spreading across the United States, says Andrew Fung of the Fung Brothers.
“On every college campus, there’s enough Asian people. There’s enough Chinese people, there’s enough Taiwanese people, where they’re going to have one boba shop no matter how crappy it is, and all the Asians know about it.”
Boba cafes have become a sign of a cultural movement among Americanized Asians who are still connected with their ethnic identity, but proud to be Asian American.

tradition 전통 / pride 자부심 / comfortable 편안한 / generation 세대 / ubiquitous 어디에서나 볼수있는 / socialize 어울리다


보바 스타일로 차와 전통을 나누는 LA의 아시아계 미국인들
미국에서 자라고 있는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이전 세대의 사람들과는 매우 다른 경험을 하고 있다. 아시아계 미국인들 사이에서는 자부심, 즉 자아 존중감이 자라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에게 있어 미국에서, 특히 남가주(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아시아인으로 살아가는 것은 멋진 일이다.
VOA의 엘리자베스 리(Elizabeth Lee) 기자가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동부에 크게 자리잡은 아시아인 거주 지역에서 몇몇 가족들을 방문하였다. 카렌 레게뜨(Karen Leggett) 기자가 보도한다.
어느 정해진 밤, 대학생들과 젊은 직장인들은 팩토리 티 바(Factory Tea Bar)에 모여든다. 방안은 편안한 소파를 비롯한 좌석들로 가득 차 있고 조명은 어둡다.
이 바는 무알콜 음료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달콤한 차를 마시러 이곳에 오는데, 이 차는 종종 얼음과 우유, 그리고 대만에서 온 ‘보바’와 함께 제공된다. ‘보바’란 크고 쫄깃쫄깃한 타피오카(tapioca) 볼이다.
티파니 포터(Tiffany Porter) 씨는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대학생이다. 그녀는 팩토리 티 바를 자주 찾는다.
“보바 가게는 아시아인들에게 특별한 곳입니다. 그래서 아시아의 편안함을 느끼고 싶다면 보바 가게로 가면 됩니다. 그곳에서는 다른 여러 아시아인들과 함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회학자 올리버 왕(Oliver Wang) 씨는 티파니 포터 씨가 보바 세대의 일원이라고 말한다.
“보바 세대는 오늘날의 십대들부터 제 세대의 사람들까지, 폭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제 40대 초반입니다. 그러니까 약 40년의 기간이 걸쳐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올리버 왕 씨는 현재의 아시아계 미국인 세대는 텔레비전에서 또는 위성방송으로 아시아인들의 얼굴을 더 자주 보며 자랐다고 한다. 아시아인들은 더 이상 정형화된 이미지가 아니라고 그는 말한다. 그리고 이제 코메디언 출신인 더 펑 브라더스(The Fung Brothers)가 만든 “보바 인생(Boba Life)”이라는 뮤직 비디오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아시아인들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고 싶어하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아시아계 미국인 사회에서의 보바는 나머지 미국 사회에서의 코카콜라의 존재와 같다고 데이빗 펑(David Fung) 씨는 말한다.
“보바는 이곳에서보다 대만에서 더욱 흔히 볼 수 있지만 보바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문화는 그곳에는 없습니다.”
보바 카페는 남가주에 거주하고 있는 아시아 전역에서 온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계 미국인인 리나 야오레(Lina Yaore) 씨는 인도네시아 친구들과 보바 카페에서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저희는 편히 쉬는 걸 좋아해요. 수다 떠는 것을 좋아하고 음료를 즐기는 것도 좋아합니다.”
차차왓 리엔케마니욤(Chatchawat Rienkhemaniyom) 씨는 태국 출신이지만 보바 티가 국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팩토리 티 바를 열었다. 그는 사업이 매우 잘 돌아가고 있으며 성장하고 있다고 말한다.
“보바는 삶이 되었습니다. 그들 삶의 일부, 즉 삶의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삶의 방식은 미국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고 더 펑 브라더스의 앤드류 펑(Andrew Fung) 씨가 말한다.
“모든 대학 캠퍼스에는 이미 충분히 많은 아시아인들이 있습니다. 중국인들도 충분히 있고, 대만인들도 충분히 있죠. 따라서 그 가게가 얼마나 후졌든지 간에 이 모든 캠퍼스에는 보바 가게가 하나씩 자리 잡게 될 것이며, 모든 아시아인들이 이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보바 카페들은 민족의 정체성과 아직 이어져 있는, 그러나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있는 미국화된 아시안들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VOA의 엘리자베스 리(Elizabeth Lee) 기자가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동부에 크게 자리잡은 아시아인 거주 지역에서 몇몇 가족들을 방문하였다. 카렌 레게뜨(Karen Leggett) 기자가 보도한다.
어느 정해진 밤, 대학생들과 젊은 직장인들은 팩토리 티 바(Factory Tea Bar)에 모여든다. 방안은 편안한 소파를 비롯한 좌석들로 가득 차 있고 조명은 어둡다.
이 바는 무알콜 음료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달콤한 차를 마시러 이곳에 오는데, 이 차는 종종 얼음과 우유, 그리고 대만에서 온 ‘보바’와 함께 제공된다. ‘보바’란 크고 쫄깃쫄깃한 타피오카(tapioca) 볼이다.
티파니 포터(Tiffany Porter) 씨는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대학생이다. 그녀는 팩토리 티 바를 자주 찾는다.
“보바 가게는 아시아인들에게 특별한 곳입니다. 그래서 아시아의 편안함을 느끼고 싶다면 보바 가게로 가면 됩니다. 그곳에서는 다른 여러 아시아인들과 함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회학자 올리버 왕(Oliver Wang) 씨는 티파니 포터 씨가 보바 세대의 일원이라고 말한다.
“보바 세대는 오늘날의 십대들부터 제 세대의 사람들까지, 폭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제 40대 초반입니다. 그러니까 약 40년의 기간이 걸쳐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올리버 왕 씨는 현재의 아시아계 미국인 세대는 텔레비전에서 또는 위성방송으로 아시아인들의 얼굴을 더 자주 보며 자랐다고 한다. 아시아인들은 더 이상 정형화된 이미지가 아니라고 그는 말한다. 그리고 이제 코메디언 출신인 더 펑 브라더스(The Fung Brothers)가 만든 “보바 인생(Boba Life)”이라는 뮤직 비디오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아시아인들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고 싶어하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아시아계 미국인 사회에서의 보바는 나머지 미국 사회에서의 코카콜라의 존재와 같다고 데이빗 펑(David Fung) 씨는 말한다.
“보바는 이곳에서보다 대만에서 더욱 흔히 볼 수 있지만 보바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문화는 그곳에는 없습니다.”
보바 카페는 남가주에 거주하고 있는 아시아 전역에서 온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계 미국인인 리나 야오레(Lina Yaore) 씨는 인도네시아 친구들과 보바 카페에서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저희는 편히 쉬는 걸 좋아해요. 수다 떠는 것을 좋아하고 음료를 즐기는 것도 좋아합니다.”
차차왓 리엔케마니욤(Chatchawat Rienkhemaniyom) 씨는 태국 출신이지만 보바 티가 국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팩토리 티 바를 열었다. 그는 사업이 매우 잘 돌아가고 있으며 성장하고 있다고 말한다.
“보바는 삶이 되었습니다. 그들 삶의 일부, 즉 삶의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삶의 방식은 미국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고 더 펑 브라더스의 앤드류 펑(Andrew Fung) 씨가 말한다.
“모든 대학 캠퍼스에는 이미 충분히 많은 아시아인들이 있습니다. 중국인들도 충분히 있고, 대만인들도 충분히 있죠. 따라서 그 가게가 얼마나 후졌든지 간에 이 모든 캠퍼스에는 보바 가게가 하나씩 자리 잡게 될 것이며, 모든 아시아인들이 이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보바 카페들은 민족의 정체성과 아직 이어져 있는, 그러나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있는 미국화된 아시안들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