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SM-5 Debate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s often called the bible of psychiatrists and psychologists. The book is also used by others, including insurance companies to help decide what health care services to pay for. The last version came out in 1994.
The DSM is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t is put together with the help of experts around the world.
David Kupfer is a professor of psychiatr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He led the international team that reworked the guide. It took ten years to complete.
“We’re quite excited about putting out the DSM-5 as a revision.”
But not everyone likes the changes. For example, the new DSM has removed Asperger’s syndrome as an individual disorder. This developmental disorder has been absorbed into a larger group called autism spectrum disorder. People with autism have problems with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Asperger’s was considered a mild form of autism.
Dr. Kupfer considers the change in Asperger’s identification in the DSM to be minor. But Alycia Halladay does not. She is a director of Autism Speaks, an advocacy group for people with autism. Ms. Halladay says her group is worried that the change may keep people from receiving treatment or other services.
“We’re concerned about individuals that may have shown symptoms of Asperger’s not meeting the criteria for what is now called autism, and therefore not receiving services.”
Another change in the DSM-5 that critics have targeted is its new definition of depression. The old diagnosis called for a patient to show signs of unhappiness or lack of pleasure for a long time.
Now the manual suggests as little as two weeks of sadness could qualify as depression. Critics say simple grief can cause this.
“To diagnose major depression after bereavement is medicalizing a normal human reaction – that is, the grief of losing a loved one.”
That is Bruce Cuthbert from the Research Domain Criteria Project, or RDoC,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RDoC is collecting the latest research to identify the biological causes of mental disorders like depression.
Bruce Cuthbert says another problem is that mental health research generally follows definitions provided by the DSM.
“That’s what we need to change, because we now know that these categories are very complicated. There are many different mechanisms of brain functioning and behavior that are involved with any one of these disorders.”
Some new disorders to the manual are also raising questions. Disruptive Mood Disregulation Disorder is an example. The DSM-5 says signs of the disorder include explosions of anger at least three times a week that do not seem in balance with the cause. The manual says to receive this diagnosis, the patient would have to be at least six years of age and the signs would have to show before ten years of age.
But critics say such behavior does not necessarily mean a mental disorder. They argue that angry outbursts are normal behavior in young kids.
Allen Frances is the former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at Duke University. He also led the team that produced the fourth version of the DSM. Dr. Frances has been extremely critical of the new manual. In a blog on the Huffington Post website, he said the DSM-5 could, for example, “turn temper tantrums into a mental disorder.”
The DSM is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t is put together with the help of experts around the world.
David Kupfer is a professor of psychiatr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He led the international team that reworked the guide. It took ten years to complete.
“We’re quite excited about putting out the DSM-5 as a revision.”
But not everyone likes the changes. For example, the new DSM has removed Asperger’s syndrome as an individual disorder. This developmental disorder has been absorbed into a larger group called autism spectrum disorder. People with autism have problems with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Asperger’s was considered a mild form of autism.
Dr. Kupfer considers the change in Asperger’s identification in the DSM to be minor. But Alycia Halladay does not. She is a director of Autism Speaks, an advocacy group for people with autism. Ms. Halladay says her group is worried that the change may keep people from receiving treatment or other services.
“We’re concerned about individuals that may have shown symptoms of Asperger’s not meeting the criteria for what is now called autism, and therefore not receiving services.”
Another change in the DSM-5 that critics have targeted is its new definition of depression. The old diagnosis called for a patient to show signs of unhappiness or lack of pleasure for a long time.
Now the manual suggests as little as two weeks of sadness could qualify as depression. Critics say simple grief can cause this.
“To diagnose major depression after bereavement is medicalizing a normal human reaction – that is, the grief of losing a loved one.”
That is Bruce Cuthbert from the Research Domain Criteria Project, or RDoC,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RDoC is collecting the latest research to identify the biological causes of mental disorders like depression.
Bruce Cuthbert says another problem is that mental health research generally follows definitions provided by the DSM.
“That’s what we need to change, because we now know that these categories are very complicated. There are many different mechanisms of brain functioning and behavior that are involved with any one of these disorders.”
Some new disorders to the manual are also raising questions. Disruptive Mood Disregulation Disorder is an example. The DSM-5 says signs of the disorder include explosions of anger at least three times a week that do not seem in balance with the cause. The manual says to receive this diagnosis, the patient would have to be at least six years of age and the signs would have to show before ten years of age.
But critics say such behavior does not necessarily mean a mental disorder. They argue that angry outbursts are normal behavior in young kids.
Allen Frances is the former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at Duke University. He also led the team that produced the fourth version of the DSM. Dr. Frances has been extremely critical of the new manual. In a blog on the Huffington Post website, he said the DSM-5 could, for example, “turn temper tantrums into a mental disorder.”

association 협회 / professor 교수 / syndrome 증후군 / autism 자폐증 / treatment 치료 / symptom 증상 / depression 우울증 / bereavement 사별


DSM-5 논쟁
DSM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정신장애에 대한 진단 및 통계 편람)은 종종 정신과 의사들과 심리학자들의 바이블이라 불린다. 다른 이들 또한 이 책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한 예로, 보험회사가 어떤 의료 서비스에 지불을 해줘야 할지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가장 최근 판은 1994년에 나왔다.
DSM 은 미국 정신과 협회에서 출판하며, 전 세계의 여러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만들어 진다.
데이비드 쿱퍼(David Kupher) 씨는 피츠버그 대학교(the University of Pittsburgh)의 정신 의학 교수이다. 그는 책을 재작업했던 국제적인 팀을 이끌었다. 그것을 완성하는 데에는 10년이 걸렸다.
“저희는 개정판인 DSM-5를 선보이게 되어 매우 들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변화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새로운 DSM은 개인적인 장애로 아스퍼거 장애를 제거하였다. 이 발달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커다란 그룹에 합쳐졌다. 자폐증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 및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문제를 갖고 있다. 아스퍼거 장애는 약한 형태의 자폐증으로 인식됐었다.
쿱퍼 박사는 DSM에서의 아스퍼거의 식별에 대한 변화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알리샤 할라데이(Alycia Halladay) 씨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녀는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시민 단체인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의 책임자이다. 그녀의 그룹은 이 변화로 인해 사람들이 치료나 다른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걱정을 하고 있다고 할라데이 씨는 말한다.
“저희는 아스퍼거 장애의 증상을 보이지만 이제 자폐증이라고 불리는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사람들이 그로 인해 더 이상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걱정이 됩니다.”
비평가들이 겨냥한 DSM-5의 또 다른 변화는 우울증의 새로운 정의이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슬픔의 증상을 보이거나 기쁨을 느끼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에게 내리는 진단이다.
현재의 편람에 따르면 겨우 2주 동안 느끼는 슬픔도 우울증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한다. 비평가들은 새 편람에 따르면 단순한 비탄도 우울증으로 진단될 수 있다고 말한다.
“사별 이후에 주우울증을 진단하는 것은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것에 대한 슬픔인 정상적인 인간의 반응을 의학적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정신 건강 의학회의 RDoC(Research Domain Criteria Project:연구 영역 기준 프로젝트)의 브루스 쿠스버트(Bruce Cuthbert) 씨의 말이다. RDoC는 현재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의 생물학적인 원인을 발견하기 위한 최신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브루스 쿠스버트 씨는 정신 건강 연구가 일반적으로 DSM이 제공하는 정의를 따른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범주들이 매우 복잡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뇌의 작동 및 행동의 여러 다양한 구조들이 이러한 장애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편람에 추가된 여러 새로운 장애들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 예로는 분열적 기분 조절 장애가 있다. DSM-5는 이유 없이 적어도 1주일에 3번 이상 폭발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 이 장애의 증상에 포함된다고 한다. 이 편람에 의하면, 이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6살이 되어야 하며 증상은 10세가 되기 이전부터 나타났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이러한 행동이 꼭 정신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들은 어린이들 사이에서의 분노 표출이 정상적인 행동이라고 반박한다.
알렌 프란시스(Allen France) 씨는 듀크 대학교(Duke University)의 정신과 대학의 전 학과장이다. 그는 또한 DSM의 4번째 판을 만든 팀을 이끌기도 했다. 프란시스 박사는 새로운 편람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허핑턴 포스트(the Huffington Post) 웹사이트 상의 블로그에서 그는 DSM-5가 이를테면 “분노 발작을 정신 질환으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DSM 은 미국 정신과 협회에서 출판하며, 전 세계의 여러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만들어 진다.
데이비드 쿱퍼(David Kupher) 씨는 피츠버그 대학교(the University of Pittsburgh)의 정신 의학 교수이다. 그는 책을 재작업했던 국제적인 팀을 이끌었다. 그것을 완성하는 데에는 10년이 걸렸다.
“저희는 개정판인 DSM-5를 선보이게 되어 매우 들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변화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새로운 DSM은 개인적인 장애로 아스퍼거 장애를 제거하였다. 이 발달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커다란 그룹에 합쳐졌다. 자폐증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 및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문제를 갖고 있다. 아스퍼거 장애는 약한 형태의 자폐증으로 인식됐었다.
쿱퍼 박사는 DSM에서의 아스퍼거의 식별에 대한 변화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알리샤 할라데이(Alycia Halladay) 씨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녀는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시민 단체인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의 책임자이다. 그녀의 그룹은 이 변화로 인해 사람들이 치료나 다른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걱정을 하고 있다고 할라데이 씨는 말한다.
“저희는 아스퍼거 장애의 증상을 보이지만 이제 자폐증이라고 불리는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사람들이 그로 인해 더 이상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걱정이 됩니다.”
비평가들이 겨냥한 DSM-5의 또 다른 변화는 우울증의 새로운 정의이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슬픔의 증상을 보이거나 기쁨을 느끼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에게 내리는 진단이다.
현재의 편람에 따르면 겨우 2주 동안 느끼는 슬픔도 우울증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한다. 비평가들은 새 편람에 따르면 단순한 비탄도 우울증으로 진단될 수 있다고 말한다.
“사별 이후에 주우울증을 진단하는 것은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것에 대한 슬픔인 정상적인 인간의 반응을 의학적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정신 건강 의학회의 RDoC(Research Domain Criteria Project:연구 영역 기준 프로젝트)의 브루스 쿠스버트(Bruce Cuthbert) 씨의 말이다. RDoC는 현재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의 생물학적인 원인을 발견하기 위한 최신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브루스 쿠스버트 씨는 정신 건강 연구가 일반적으로 DSM이 제공하는 정의를 따른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범주들이 매우 복잡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뇌의 작동 및 행동의 여러 다양한 구조들이 이러한 장애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편람에 추가된 여러 새로운 장애들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 예로는 분열적 기분 조절 장애가 있다. DSM-5는 이유 없이 적어도 1주일에 3번 이상 폭발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 이 장애의 증상에 포함된다고 한다. 이 편람에 의하면, 이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6살이 되어야 하며 증상은 10세가 되기 이전부터 나타났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이러한 행동이 꼭 정신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들은 어린이들 사이에서의 분노 표출이 정상적인 행동이라고 반박한다.
알렌 프란시스(Allen France) 씨는 듀크 대학교(Duke University)의 정신과 대학의 전 학과장이다. 그는 또한 DSM의 4번째 판을 만든 팀을 이끌기도 했다. 프란시스 박사는 새로운 편람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허핑턴 포스트(the Huffington Post) 웹사이트 상의 블로그에서 그는 DSM-5가 이를테면 “분노 발작을 정신 질환으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