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7-25 09:11

Washington Monument Repairs Continue

The Washington Monument rises 169 meters over the National Mall in Washington, D.C. The grayish white stone structure is called an obelisk, with the top shaped similar to that of a pyramid. The obelisk honors George Washington. He led colonial forces that helped America win independence from England and served as the new country’s first president from 1789 to 1797.

For many years, the marble and granite structure has been a favorite of the public. Millions of people have visited the monument, which had its first stone placed on July 4th, 1848. Its image in photographs and on postcards travels around the world.

On a warm summer day in 2011, an earthquake of 5-point-8 strength shook the Washington, D.C. area. The quake was centered in Virginia, and was felt in several other states. Two tall landmark structures in the District of Columbia suffered major damage. One was the Washington National Cathedral. The other was the Washington Monument.

Cracks opened in the obelisk as pieces of stone shook loose from the quake. One crack was large enough so that from the inside, daylight could be seen through it. Soon after the quake, workers took off some pieces near the top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Carol Bradley Johnson is a spokesperson for the National Park Service, the NPS. The agency operates the monument and other memorials on the Mall. She was at the NPS headquarters when the earth started to shake. She remembers that NPS staff members went into action quickly.

“We were concerned about all our memorials. And immediately we went out and checked to see what had happened. And obviously, particularly the Washington monument because we knew there was quite a bit of debris falling at the very top. We knew pretty quickly that that was going to be a problem.”

The weather did not cooperate with efforts to find all the damage to the monument. Just days after the earthquake, on August 29, Washington suffered the effects of the storm that had been Hurricane Irene. The inside of the monument had to be protected from rainwater.

When the winds died, inspections showed that the worst damage took place above 122 meters. Since those early post-earthquake days, about 50 patches – small pieces of material – have been fixed onto broken places to reinforce them. Several months ago, workers placed thousands of pieces of scaffolding on the high structure. The scaffolding is made of aluminum and steel, and was used inside as well as outside to protect the stone.

Now almost two years of inspections and preparations have made possible a push toward complete restoration. The Washington Monument is expected to open to the public again next spring.
monument 기념탑 / obelisk 오벨리스크, 방첨탑 / marble 대리석 / granite 화강암 / cathedral 성당 / crack 금 / spokesperson 대변인 / go into action 행동을 취하다 / debris 파편, 쓰레기 / post-earthquake 지진 후 / scaffolding 비계(건축 공사시 설치되는 임시 가설물)
계속되는 워싱턴 기념비 보수
워싱턴 기념비(Washington Monument)는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 건너편에 169미터 높이로 솟아 있다. 회색빛이 도는 백석 구조물은 오벨리스크라 불리며, 그 꼭대기의 모양은 피라미드와 비슷하다. 이 오벨리스크는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을 기념한다. 그는 영국의 식민 통치로부터 미국이 독립하도록 독립군을 이끌었으며, 1789년부터 1797년까지 이 새로운 국가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사람이다.

대리석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이 구조물은 수년 간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지금까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방문한 이 기념비는 1848년 7월 4일에 처음으로 건설에 착수되었다. 기념비의 사진과 엽서들은 전 세계에 펴져 있다.

2011년 어느 따뜻한 여름날, 워싱턴 D.C. 지역에 강도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 지진의 진원지는 버지니아 주였고, 다른 몇몇 주에도 지진이 느껴졌다. 워싱턴 D.C.의 랜드마크인 두 개의 고층 건축물이 큰 피해를 입었다. 그 중 하나는 워싱턴 국립 대성당(Washington National Cathedral)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워싱턴 기념비였다.

지진으로 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오벨리스크에 금이 갔다. 한 부분에 생긴 금은 안쪽에서 금 사이로 햇빛이 보일 정도로 크게 생겼다. 지진 발생 후 곧 작업자가 꼭대기 주변에서 조각들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몇몇 조각들을 철거하였다.

캐롤 브래들리 존슨(Carol Bradley Johnson) 씨는 국립공원관리청(NPS)의 대변인이다. 관리청은 내셔널 몰 안의 기념비와 기타 기념물들을 관리한다. 그녀는 지진이 시작될 당시 국립공원관리청의 본사에 있었다. 그녀는 관리청의 직원들이 신속하게 조치를 취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우리는 모든 기념비들에 대해 걱정했어요. 그리고 즉시 나가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확인했죠. 분명, 특히 워싱턴 기념비가 걱정이었는데 맨 꼭대기에서 꽤 많은 파편들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그것이 문제가 될 거란 것을 꽤 빨리 알았어요.”

기념탑에 생긴 모든 손상들을 알아내는 데 날씨가 도움이 되지 않았다. 지진이 있고 얼마 지나지 않은 8월 29일에 워싱턴은 허리케인 아이린의 영향권 아래 들었다. 기녑비의 내부는 빗물로부터 보호되어야 했다.

태풍이 소멸했을 때, 검사 결과 122미터 위로 치명적 손상을 입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지진 발생 후 초기 며칠이 지난 뒤부터 약 50여개의 패치들(파손된 부분을 때우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조각의 재료)이 기념탑을 보강하기 위해 부서진 곳에 고정되었다. 몇 달 전 작업자들이 이 높은 구조물에 수천 조각의 비계를 설치했다. 비계는 알루미늄과 철강으로 만들어 졌으며, 바깥쪽에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것처럼 내부에도 설치되었다.

현재 거의 2년 간 진행된 검사와 준비로 완벽한 복구에 대한 추진이 가능해지고 있다. 워싱턴 기념비는 내년 봄에 대중들에게 다시 개방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 Crocodile Attacks Increase… sim 08-01 5887
110 DSM-5 Debate… sim 07-31 7459
109 Gratitude Ceremony… sim 07-30 6600
108 Protests in Brazil… sim 07-29 6108
107 Snowden Case Tests US-China Re… sim 07-26 5823
106 Washington Monument Repairs Co… sim 07-25 6263
105 Tax Havens… sim 07-24 5685
104 Urban Parks… sim 07-23 5292
103 Dragon Boat Racers… sim 07-22 5838
102 Reformer Wins Surprise Victory… sim 07-19 5348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