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ippine Government Destroys Tons of Ivory
The Philippine government recently destroyed more than five tons of elephant tusks it had seized. The Philippines is one of the main stops on the travel route of the unlawful ivory trade from Africa to China.
The long, valuable teeth of the elephants were part of a supply collected over 17 years ending through 2009. But this is only about half the amount of what was seized at first. Officials say the search and investigation continues for nearly eight tons of ivory that are missing.
Ramon Paje is the Philippines’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secretary. He says he hopes that destroying the tusks in a very public way will help stop the illegal trade.
“This act is a strong statement to the rest of the world that the Philippines is serious and will not deal with illegal wildlife trade.”
Last October,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published an investigative story about the trade. The story, by Bryan Christy, said the Philippines was not just a major transport point for raw ivory. Instead, it reported that the country is also a major buyer of religious objects made from the material.
Mr. Christy gave a presentation about his investigation before the tusk destruction. He said there is very little punishment for the crime of wildlife trafficking.
“Wildlife trafficking is among the most profitable forms, perhaps the most profitable form, of illegal transnational crime because of the penalties. The profits are good. But the penalties are close to zero.”
Mr. Christy noted that in 1989, Kenya burned 13 tons of ivory tusks. At that time,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banned the ivory trade worldwide. He says the ban worked until the convention let some ivory be sold in Japan in 1999 and again in China in 2008. The reporter says China’s demand for ivory goes along with its rising economy.
The National Geographic investigation found that ivory is mainly used for religious carvings in China, the Philippines, Malaysia, Thailand and Vietnam. Mr. Christy says the ivory trade is a 50-million-dollar-a-year industry and may be much larger, because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trade has been discovered.
Still, the representative of the Lusaka Agreement Task Force expressed hope about the public destruction of ivory in Manila. Bonaventure Ebayi said it could bring about a bigger change than the one in Kenya in 1989. He sai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consuming country decides voluntarily to destroy the ivory. It is a stronger message.”
Philippine environmental officials say the current price for raw ivory is about 200 dollars per kilogram.
The long, valuable teeth of the elephants were part of a supply collected over 17 years ending through 2009. But this is only about half the amount of what was seized at first. Officials say the search and investigation continues for nearly eight tons of ivory that are missing.
Ramon Paje is the Philippines’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secretary. He says he hopes that destroying the tusks in a very public way will help stop the illegal trade.
“This act is a strong statement to the rest of the world that the Philippines is serious and will not deal with illegal wildlife trade.”
Last October,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published an investigative story about the trade. The story, by Bryan Christy, said the Philippines was not just a major transport point for raw ivory. Instead, it reported that the country is also a major buyer of religious objects made from the material.
Mr. Christy gave a presentation about his investigation before the tusk destruction. He said there is very little punishment for the crime of wildlife trafficking.
“Wildlife trafficking is among the most profitable forms, perhaps the most profitable form, of illegal transnational crime because of the penalties. The profits are good. But the penalties are close to zero.”
Mr. Christy noted that in 1989, Kenya burned 13 tons of ivory tusks. At that time,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banned the ivory trade worldwide. He says the ban worked until the convention let some ivory be sold in Japan in 1999 and again in China in 2008. The reporter says China’s demand for ivory goes along with its rising economy.
The National Geographic investigation found that ivory is mainly used for religious carvings in China, the Philippines, Malaysia, Thailand and Vietnam. Mr. Christy says the ivory trade is a 50-million-dollar-a-year industry and may be much larger, because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trade has been discovered.
Still, the representative of the Lusaka Agreement Task Force expressed hope about the public destruction of ivory in Manila. Bonaventure Ebayi said it could bring about a bigger change than the one in Kenya in 1989. He sai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consuming country decides voluntarily to destroy the ivory. It is a stronger message.”
Philippine environmental officials say the current price for raw ivory is about 200 dollars per kilogram.

tusk 상아(=ivory) / seize 압수하다, 붙잡다 / travel route 이동 경로 / unlawful 불법의 / wildlife 야생 동물 / trafficking 밀매 / give a presentation 보고하다, 발표하다 / profitable 수익성이 있는 / transnational 국제적인 / carving 조각품 / discover 발견하다 / bring about 야기하다 / voluntarily 자발적으로


필리핀 정부, 상아 다량 폐기
필리핀 정부는 최근 압수한 5톤 이상의 코끼리 상아를 폐기 처분 했다. 필리핀은 아프리카에서 중국으로 가는 불법 상아 무역의 이동 경로 상에 있어 주요 기착지 중 하나다.
길이가 길고 가치가 높은 이 코끼리 이빨들은 채취가 중단된 2009년까지 17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수집된 공급량의 일부였다. 하지만 이는 처음 압수된 양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고위 관료들에 따르면 약 8톤에 이르는 분실된 상아에 대한 수색과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라몬 파헤(Ramon Paje) 씨는 필리핀의 환경 자원부(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장관이다. 그는 아주 공개된 방법으로 상아를 폐기하는 것이 불법 무역을 중단 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이번 조치는 필리핀이 이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으며 불법 야생 동물 무역을 다루지 않겠다는 뜻을 담아 전 세계를 상대로 보내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지난 10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Magazine)은 이 (불법) 무역에 관한 탐사 보도를 실었다. 브라이언 크리스티(Bryan Christy) 기자가 쓴 이 기사는 필리핀이 단순히 가공되지 않은 상아의 주요 무역 거점이었을 뿐만 아니라, 상아로 제작된 종교 물품들의 주요 소비자이기도 하다고 보도했다.
상아 폐기 조치가 있기 전, 크리스티 기자는 자신이 수행한 조사에 대해 발표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야생 동물 밀매 범죄에 대한 처벌은 있으나 마나 한 수준이라고 한다.
“야생 동물 밀매는 처벌이 약하기 때문에 수입이 가장 짭짤한, 아마도 불법 국제 범죄 중 가장 수익이 좋은 형태일 것입니다. 수익은 높지만 처벌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크리스티 기자는 1989년 케냐가 13톤의 상아를 불태워 버린 사건을 언급했다. 당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은 전세계의 상아 무역을 금지했다. 그는 이 협약이 1999년 일본에서, 그리고 다시 2008년 중국에서 일부 상아의 구매를 허용할 때 까지는 효과를 보았다고 이야기 한다. 기자는 중국의 상아 수요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상승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아는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그리고 베트남에서 주로 종교 조각품의 재료로 사용된다고 한다. 크리스티 기자는 상아 무역은 연간 5,000만 달러 규모의 산업이며, 이보다 훨씬 큰 규모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밝혀진 교역 규모가 약 1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사카 협약 테스크포스(LATF)”의 대표는 마닐라에서 시행된 상아의 공공 폐기 조치에 기대를 나타냈다. 보나벤쳐 이바이(Bonaventure Ebayi) 씨는 이번 사건이 1989년 케냐에서 있었던 폐기 조치에 비해 더 많은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국이 자발적으로 상아 폐기를 결정한 최초의 사건으로, 이것은 더 강력한 메시지 입니다.’라고 언급했다.
필리핀 환경 관료들에 따르면 가공되지 않은 상아의 현재 가격은 킬로그램(kg)당 약 200 달러라고 한다.
길이가 길고 가치가 높은 이 코끼리 이빨들은 채취가 중단된 2009년까지 17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수집된 공급량의 일부였다. 하지만 이는 처음 압수된 양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고위 관료들에 따르면 약 8톤에 이르는 분실된 상아에 대한 수색과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라몬 파헤(Ramon Paje) 씨는 필리핀의 환경 자원부(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장관이다. 그는 아주 공개된 방법으로 상아를 폐기하는 것이 불법 무역을 중단 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이번 조치는 필리핀이 이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으며 불법 야생 동물 무역을 다루지 않겠다는 뜻을 담아 전 세계를 상대로 보내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지난 10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Magazine)은 이 (불법) 무역에 관한 탐사 보도를 실었다. 브라이언 크리스티(Bryan Christy) 기자가 쓴 이 기사는 필리핀이 단순히 가공되지 않은 상아의 주요 무역 거점이었을 뿐만 아니라, 상아로 제작된 종교 물품들의 주요 소비자이기도 하다고 보도했다.
상아 폐기 조치가 있기 전, 크리스티 기자는 자신이 수행한 조사에 대해 발표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야생 동물 밀매 범죄에 대한 처벌은 있으나 마나 한 수준이라고 한다.
“야생 동물 밀매는 처벌이 약하기 때문에 수입이 가장 짭짤한, 아마도 불법 국제 범죄 중 가장 수익이 좋은 형태일 것입니다. 수익은 높지만 처벌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크리스티 기자는 1989년 케냐가 13톤의 상아를 불태워 버린 사건을 언급했다. 당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은 전세계의 상아 무역을 금지했다. 그는 이 협약이 1999년 일본에서, 그리고 다시 2008년 중국에서 일부 상아의 구매를 허용할 때 까지는 효과를 보았다고 이야기 한다. 기자는 중국의 상아 수요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상승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아는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그리고 베트남에서 주로 종교 조각품의 재료로 사용된다고 한다. 크리스티 기자는 상아 무역은 연간 5,000만 달러 규모의 산업이며, 이보다 훨씬 큰 규모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밝혀진 교역 규모가 약 1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사카 협약 테스크포스(LATF)”의 대표는 마닐라에서 시행된 상아의 공공 폐기 조치에 기대를 나타냈다. 보나벤쳐 이바이(Bonaventure Ebayi) 씨는 이번 사건이 1989년 케냐에서 있었던 폐기 조치에 비해 더 많은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국이 자발적으로 상아 폐기를 결정한 최초의 사건으로, 이것은 더 강력한 메시지 입니다.’라고 언급했다.
필리핀 환경 관료들에 따르면 가공되지 않은 상아의 현재 가격은 킬로그램(kg)당 약 200 달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