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9-23 09:14

Hackerspaces: Workshops for Creative Cooperation

The word “hacker” is most commonly known as someone who breaks into computer systems.

“Our original name had the word ‘hack’ in it. Those of us in the know knew what it meant, felt like it was a positive term, but it was not perceived that way on the outside.”

That was Justin Burns. He helped establish a hackerspace in Olympia Washington. The meetings are social gatherings for people who like to work on activities to improve devices, share machines or ideas. Some groups simply call themselves “maker spaces”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Justin Burns’s group is called Olympia Makers, Engineers, Geeks and Artists, or OlyMEGA. He describes how the group began.

“We started out and have generally been focused on just being a resource for people. Being a space where quirky individuals, people who are creative, can come together and make stuff, make stuff they couldn’t make on their own.”

Recently, around 25 people gathered around a common area talking while they shared tools to work on partially completed projects. One member performed on a steel guitar he rebuilt.

Members pay fees to support the group. They have discovered that it is more fun to work on projects when you work with other people. While hackerspaces started as social gatherings, some members use them to develop machines or devices they plan to sell. OlyMEGA is organized as a non-profit. But some maker spaces are businesses designed to earn a profit.

One maker space that is a business is the company Metrix Create. It is based Seattle Washington. Owner Matt Westervelt supervises a room crowded with tool stations.

People pay Metrix Create by the minute or the hour to use devices such as a laser cutter, a room to melt metals, or a machine to create things with cloth. Mr. Westervelt says he did not start Metrix Create as a business, but that is what it has become.

“Every single day I come in here I am surprised at what is going on. I like to make introductions when possible, but it’s not from an ‘incubator’ sort of sense. We’re not taking a slice out of any new company that starts up here, other than what we charge for the services.”

Hackerspaces may have different business models, but they all hope to gain from having people interacting and working together to create something special.

Chris Coward is with Shift Labs, a company that started as a project in a hackerspace. He says creativity and invention is really a team effort.

“There is this thing I would call the ‘lone thinker myth,’ that people have these Eureka moments on their own, kind of like the Gauguin statue. That’s largely a myth. What the research says is that most good ideas, creativity and invention come out of the collision of ideas when people are able to interact - mostly in physical environments.”
in the know 잘 알고 있는 / perceive 인지하다 / misunderstanding 오해 / geek 괴짜 / quirky 꾀바른, 괴짜의 / partially 부분적으로 / incubator 기업 인큐베이터 / interact 상호 작용하다 / lone 혼자의 / myth 신화 / invention 발명 / collision 충돌
해커스페이스 : 창의적인 협력을 위한 작업장
“해커”라는 단어는 가장 흔히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의 원래 명칭에는 ‘핵(hack : 난도질하다)’이라는 단어가 들어있었습니다. 우리 중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것이 긍정적인 용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외부에는 그처럼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저스틴 번스(Justin Burns) 씨의 이야기다. 그는 워싱턴 주 올림피아에 ‘해커스페이스(hackerspace)’를 설립하는 작업을 도왔다. 이 모임은 기기를 발전시키거나 기계나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친목 모임이다. 일부 단체는 일체의 오해를 사지 않기 위해 스스로를 가리켜 그저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s)”라고 부른다.

저스틴 번스 씨의 그룹은 “올림피아 메이커스, 엔지니어스, 괴짜들, 그리고 예술가들(Olympia Makers, Engineers, Geeks and Artists), 줄여서 “올리메가(OlyMEGA)”로 불린다. 그는 이 그룹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설명한다.

“우리는 이 모임을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자원(resource for people)이 되는 데만 집중해 왔습니다. 괴짜 같은 사람들, 즉 창의적인 사람들이 함께 모일 수 있고 그들이 스스로 만들 수 없는 것을 만드는 장소가 되는 것 말입니다.”

최근, 약 25명의 사람들은 공유지에 둘러 모여 부분적으로 완료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위한 도구를 공유하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구성원 중 한 명은 자신이 재조립한 금속 기타를 연주했다.

구성원들은 이 그룹의 후원을 위해 회비를 낸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할 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일이 더욱 즐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록 ‘해커스페이스’가 친목 모임으로 시작되었지만, 일부 구성원들은 자신이 판매를 계획하는 기계 또는 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한다. ‘올리메가’는 비영리단체로 조직되었다. 그러나 일부 ‘메이커 스페이스’들은 수익을 얻기 위한 상업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매트릭스 크리에이트(Metrix Create)”라는 회사도 비즈니스 목적의 ‘메이커 스페이스’ 중 하나다. 이 회사는 워싱턴 주 시애틀에 기반을 두고 있다. 회사의 소유주인 매트 웨스터벨트(Matt Westervelt) 씨는 도구 선반들로 복잡한 한 방을 감독한다.

이용객들은 레이저 커터와 같은 기기나 금속을 녹이는 방, 또는 직물로 물건을 만드는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매트릭스 크리에이트’에 분 혹은 시간 단위로 비용을 지불한다. 웨스터벨트 씨는 자신이 ‘매트릭스 크리에이트’를 상업적인 목적으로 시작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제는 그렇게 되었다고 말한다.

“저는 매일 이곳에 와서 일어나는 일에 놀랍니다. 가능하다면 소개를 하고 싶지만, 그것이 일종의 ‘기업 인큐베이터’의 의미로부터 기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요금을 받는 것 외에는 여기서 설립되는 어떤 신생 기업으로부터도 대가를 취하지 않습니다.”

‘해커스페이스’들은 아마도 각기 다양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사람들이 무언가 특별한 것을 창조하기 위해 상호작용하고 함께 일하는 것으로부터 얻기를 희망한다.

크리스 코워드(Chris Coward) 씨는 ‘해커스페이스’에서 하나의 프로젝트로 시작된 회사인 “시프트 랩스(Shift Labs)”에서 일한다. 그에 의하면 창의성과 발명은 실제로 팀의 노력이라고 말한다.

“제가 ‘홀로 생각하는 이의 신화(lone thinker myth)’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고갱의 조각상과 같은 종류로, 자신만의 유레카(Eureka)의 순간(번뜩이는 발견의 순간)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대체로 신화입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좋은 아이디어와 창의성, 그리고 발명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환경하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을 때 생각의 충돌로부터 나온다고 합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1 The World’s Biggest Private Su… sim 09-27 5079
150 South American Diplomats Criti… sim 09-26 5115
149 United States Justice Departme… sim 09-25 6028
148 Egyptians Mourn Victims of Rec… sim 09-24 5279
147 China’s New Lenders… sim 09-23 5567
146 Hackerspaces: Workshops for Cr… sim 09-23 5138
145 Program Helps First Time Paren… sim 09-17 5165
144 Writer Captures Flavor of Life… sim 09-17 5523
143 The High Price of an Arctic Ic… sim 09-17 5701
142 WHI Helps Victims of Trafficki… sim 09-16 5513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