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10-08 10:08

Washington Mark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ream" Speech

Tens of thousands of people gathered on America’s National Mall last Saturday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March on Washington. The march is where Martin Luther King Jr. gave his famous “I Have a Dream” speech.

VOA’s Pam Dockins watched the event last weekend. She says its speakers expressed support for a number of social issues. Kelly Jean Kelly has her report.

“Yes, we will. Yes, we will. Yes, we will.”

It was a chance for many people to relive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1960s. Some speakers had experienced the movement themselves as young people. They spoke of the sacrifice needed to make big changes in society. Sometimes, these are changes in the law, such as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hat law barred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based on a person’s race or sex. Several pieces of major legislation came out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1960s.

Activities on Saturday took place near the Lincoln Memorial, where Martin Luther King gave his famous “I Have a Dream” speech 50 years ago. Speakers brought attention to many social causes including civil rights, women’s rights, immigration reform and ending gun violence. The main reason for the gathering was to honor King and his sacrifice. A gunman shot and killed the civil rights leader on April 4, 1968.

But, the observance was also a place to ask questions about the direction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today. The crowd listened to Myrlie Evers-Williams. She was married to Medgar Evers, another civil rights leader who was killed.

“As I look out at the crowd, I find myself saying, ‘What are we doing today? Where have we come from? What has been accomplished? And, where do we go from this point forward?’”

Congressman Steny Hoyer is from Maryland and a leading member of the Democratic Party. He said the United States had moved forward on the subject of race. He pointed to the election of President Barack Obama as proof.

“The historic election of President Obama testifies to the progress we have made which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except for the millions who sacrificed and raised their voices for change.”

The 50th anniversary events included African Americans, Asian Americans, immigrants and young people.

Janet Murguia heads the National Council of La Raza, the nation’s largest Hispanic civil rights group. She said Hispanics consider themselves a part of Martin Luther King’s dream.

“Millions of Latinos were watching that day in 1963. When we heard Dr. King proclaim, ‘I have a dream,’ we knew he was talking to us too.”

One of King’s sons, Martin Luther King, III, also spoke. He said his father’s dream has yet to be realized. He noted that unemployment and poverty remain high among African Americans.

“Today with 12 percent unemployment rates in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and 38 percent of all children of color in this country living below the level of poverty, we know that the dream is far from being realized.”

But he added that, if Americans do their part to support freedom at home, in school, on the job and in organizations, then change will come.
anniversary 기념일 / gather 모이다 / speech 연설 / immigration 이민 / reform 개혁 / sacrifice 희생 / civil rights 인권 / proclaim 선포하다 / poverty 빈곤 / support 지지
“꿈” 연설 50주년을 기념한 워싱턴
수만 명의 사람들이 워싱턴 행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토요일, 미국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에 운집했다. 이 행진이 바로 마틴 루서 킹 주니어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했던 곳이다.

VOA의 팸 도킨즈(Pam Dockins) 기자는 지난주에 열렸던 이 행사를 지켜보았다. 행사의 연사들은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고 그녀는 말한다. 캘리 진 캘리(Kelly Jean Kelly) 기자가 그녀의 이야기를 보도한다.

“네, 우리는 그렇게 할 것입니다. 네, 우리는 그렇게 할 것입니다. 네, 우리는 그렇게 할 것입니다.”

이것은 많은 사람이 1960년대의 시민 평등권 운동을 다시 체험할 기회였다. 몇몇 연사들은 젊은 시절에 직접 이 운동을 경험했었다. 그들은 사회에서의 큰 변화를 만드는 데 필요했던 희생에 관해 이야기했다. 때로 이러한 희생은 1964년의 시민적 권리에 관한 법률과 같은 법의 변화이다. 이 법은 사람의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고용차별을 금지했다. 여러 개의 주요 제정법들은 1960년대의 인권운동에서 나왔다.

토요일의 행사들은 마틴 루서 킹 목사가 50년 전,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했던 링컨 기념관(Lincon Memotial) 근처에서 열렸다. 연사들은 인권, 여성의 권리, 이민법 개혁, 그리고 총기 폭력의 종결을 포함한 여러 사회적 대의에 관심을 유도했다. 이 모임의 주된 목적은 킹 목사와 그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서였다. 이 인권지도자는 1968년 4월 4일, 한 총기범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그러나 이 기념행사는 오늘날의 인권운동 방향에 대해 질문하기 위한 장소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군중은 멀리 에버스 윌리엄스(Myrlie Evers-Williams) 씨의 이야기를 경청했다. 그녀는 암살당한 또 다른 인권지도자, 메드가 에버스(Medgar Evers) 씨의 아내이다.

“제가 여러분들을 바라보며, ‘우리는 오늘 무엇을 하고 있는 건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떠한 것들이 성취되었는가? 그리고 이 시점에서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라고 말하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매릴랜드 주가 지역구인 스테니 호이어(Steny Hoyer) 국회의원은 민주당의 원내대표이다. 그는 미국은 인종과 관한 문제에서는 전진했다고 말했다. 그는 증거로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의 당선을 가리켰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역사적 당선은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냈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희생이 아니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진보를 증명해 줍니다.”

이 50주년 기념행사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 이민자 그리고 젊은이들이 참여했다.

자넷 무르귀아(Janet Murguia) 씨는 국내에서 가장 큰 히스패닉 인권 단체인 라 라자(La Raza) 협의회의 대표이다. 그녀는 히스패닉계 사람들은 자신들이 마틴 루서 킹의 꿈의 일부라고 믿고 있다고 한다.

“수백만 명의 라틴 아메리카계 사람들은 1963년의 그날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킹 박사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고 선포하였을 때, 우리는 그가 우리에 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킹 목사의 아들 중 한 명인 마틴 루서 킹 3세 또한 연설했다. 그는 아버지의 꿈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의 실업률과 가난은 여전히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서의 실업률은 현재 12%이며 이 나라의 유색인종 자녀 중 38퍼센트가 빈곤 수준 이하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를 보면, 그 꿈이 실현되려면 아직 멀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미국인들이 가정 내, 학교 그리고 회사와 여러 단체 내에서 자유를 지지하기 위해 자신의 역할을 한다면 변화는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1 India Expands Solar Power… sim 10-11 5892
160 Obama: Economic Justice Is Unf… sim 10-10 6134
159 Washington Marks the 50th Anni… sim 10-08 5704
158 Mapping Foreign Language Speak… sim 10-08 6231
157 Scientists Discover New Animal… james 10-07 5493
156 California Parks May Be In Dan… james 10-04 5382
155 Intelligence Leaker Gets 35-Ye… james 10-02 5336
154 Senator Supports Taiwan for th… james 10-02 5853
153 Teens Learn About Service and … sim 10-01 5571
152 Getting Close to Tornadoes… sim 09-30 5454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