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tists Discover New Animal
Today we tell about a new animal species native to South America. We tell how agricultural chemical products are harming frogs in northern California. And we have a report about elephants and how the night sky could affect the timing of their raids on farms.
Meet the new mammal! The olinguito is new to science, although it has been living in the cloud forests of South America for some time, unknown to researchers.
Scientists say the olinguito is the first new carnivore discovered in the Americas in more than 30 years. It is a hairy orange-brown creature with a sweet face and big eyes. The animal has small, rounded ears and lives in the trees. An adult weighs one kilogram and measures about 75 centimeters, with half of those centimeters taken up by its ringed tail.
The olinguito shares its family roots with raccoons and kinkajous. Most of the time, it likes to eat fruit, although it also eats meat. Active at night, the animal has lived in Colombia and Ecuador for a long time. But the olinguito did not exist in science books before now.
Kristofer Helgen is the curator of mammals at the Smithsonian Institution’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Washington. He led the research team tha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olinguito. It had been mistaken more than a century ago for a look-alike animal -- a similar but larger olingo.
“Think about these cloud forests. This animal, like so many animals in the rain forest, only comes out at night. It doesn’t come out of the trees. It’s wet. It’s dark. It’s socked-in with cloud. It’s hard to find these animals.”
But his team succeeded in making the discovery. In the forest, they observed that the olinguito was not just another olingo.
Mr. Helgen had been studying olingos in a museum 10 years ago. At that time, he observed a difference in the size and shape of the heads and teeth. That led him on an effort to prove he was looking at an animal never before described by science.
About 10 years of work led Kristofer Helgen from museum storage areas to cloud forests in South America. He got lucky when he communicated with a zoologist in Ecuador. The animal expert there made a short video that scientists say shows an olinguito in the trees. The video confirms that the olinguito is different from the olingo. Mr. Helgen says even people who live near the olinguitos’ forests do not see it as different from similar animals.
But it seems the world knew an olinguito long before 2013, without knowing it. A female of the species from Colombia was even kept at zoo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But zoo officials thought they were showing an olingo, the similar animal.
Kristofer Helgen spoke with the keeper of that olinguito, who told him a sad story. She said the animal was moved from one zoo to the next because she refused to mate with male olingos.
Mr. Helgen says that mating was impossible. The olinguito and the olingo are totally different species. So she was not just choosy. Mr. Helgen says tens of thousands of olinguitos live in the wild and are not in danger of disappearing forever. Human beings, however, are moving closer to the olinguito habitat in the Andean cloud forests. The research team estimates that 42 percent of historic olinguito habitat has been removed.
The finding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ZooKeys.
Meet the new mammal! The olinguito is new to science, although it has been living in the cloud forests of South America for some time, unknown to researchers.
Scientists say the olinguito is the first new carnivore discovered in the Americas in more than 30 years. It is a hairy orange-brown creature with a sweet face and big eyes. The animal has small, rounded ears and lives in the trees. An adult weighs one kilogram and measures about 75 centimeters, with half of those centimeters taken up by its ringed tail.
The olinguito shares its family roots with raccoons and kinkajous. Most of the time, it likes to eat fruit, although it also eats meat. Active at night, the animal has lived in Colombia and Ecuador for a long time. But the olinguito did not exist in science books before now.
Kristofer Helgen is the curator of mammals at the Smithsonian Institution’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Washington. He led the research team tha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olinguito. It had been mistaken more than a century ago for a look-alike animal -- a similar but larger olingo.
“Think about these cloud forests. This animal, like so many animals in the rain forest, only comes out at night. It doesn’t come out of the trees. It’s wet. It’s dark. It’s socked-in with cloud. It’s hard to find these animals.”
But his team succeeded in making the discovery. In the forest, they observed that the olinguito was not just another olingo.
Mr. Helgen had been studying olingos in a museum 10 years ago. At that time, he observed a difference in the size and shape of the heads and teeth. That led him on an effort to prove he was looking at an animal never before described by science.
About 10 years of work led Kristofer Helgen from museum storage areas to cloud forests in South America. He got lucky when he communicated with a zoologist in Ecuador. The animal expert there made a short video that scientists say shows an olinguito in the trees. The video confirms that the olinguito is different from the olingo. Mr. Helgen says even people who live near the olinguitos’ forests do not see it as different from similar animals.
But it seems the world knew an olinguito long before 2013, without knowing it. A female of the species from Colombia was even kept at zoo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But zoo officials thought they were showing an olingo, the similar animal.
Kristofer Helgen spoke with the keeper of that olinguito, who told him a sad story. She said the animal was moved from one zoo to the next because she refused to mate with male olingos.
Mr. Helgen says that mating was impossible. The olinguito and the olingo are totally different species. So she was not just choosy. Mr. Helgen says tens of thousands of olinguitos live in the wild and are not in danger of disappearing forever. Human beings, however, are moving closer to the olinguito habitat in the Andean cloud forests. The research team estimates that 42 percent of historic olinguito habitat has been removed.
The finding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ZooKeys.

species 종 / raid on ~에 급습하다 / mammal 포유동물 / cloud forest 운무림 / carnivore 육식 동물 / hairy 털이 많은 / rounded 둥근 / most of the time 보통, 일반적으로 / rain forest 다우림 / sock in (안개 따위가) 뒤덮다 / zoologist 동물학자 / keeper 사육사(관리사) / mating 짝짓기 / choosy 까다로운 / habitat 서식지 / Andean 안데스 산맥의


새로운 동물을 발견하는 과학자들
우리는 오늘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새로운 동물 종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우리는 캘리포니아 북부에 있는 개구리들에게 농업용 화학제품들이 어떤 해를 입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우리는 코끼리들과 이 코끼리들의 농장 급습 타이밍에 밤하늘이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포유동물을 만나보라! “올링귀토(olinguito)”는 비록 연구자들 모르게 남아메리카의 운무림에서 일정 기간 살아오고 있긴 하지만 학계에는 신종이다.
과학자들은 이 올링귀토가 30년이 넘는 기간 만에 미 대륙에서 발견된 최초의 신종 육식 동물이라고 말한다. 이 녀석은 상냥한 얼굴과 큰 눈을 가진, 털이 많은 주황-갈색의 동물이다. 이 동물은 작고 둥근 귀를 가지고 있으며, 나무에 산다. 다 크면 1킬로그램의 무게에 약 75센티미터의 크기가 되는데 이 몸길이 중 절반은 둥글게 말린 꼬리가 차지한다.
올링귀토는 라쿤(raccoon) 및 킨카주(kinkajou)와 뿌리가 같은 종이다. 올링귀토는 비록 육식을 하긴 하지만, 평소에는 과일 먹는 것을 좋아한다. 밤에 활동적인 이 동물은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에서 오랫동안 살아오고 있지만, 이전까지는 과학책에 이름을 올린 적이 없었다.
크리스토퍼 헬겐(Kristofer Helgen) 씨는 워싱턴 소재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Smithsonian Institution’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의 포유류 담당 큐레이터다. 그는 올링귀토의 존재를 확인한 이 연구팀을 이끌었다. 올링귀토는 약 한 세기 전만해도 비슷하긴 하지만 몸집이 더 큰 올링고(olingo)라는 동물과 매우 흡사한 동물로 오인되었다.
“이 운무림들을 생각해 보세요. 다우림의 수많은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이 녀석도 밤에만 외출에 나섭니다. 올링귀토는 나무로부터 떨어지지 않습니다. 습하고 어두우며, 구름에 뒤덮여 있습니다. 이런 동물들을 발견하기란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의 연구팀은 발견에 성공했다. 숲 속에서 이들은 올링귀토가 그저 또 다른 올링고가 아님을 관찰했다.
헬겐 씨는 10년 전, 한 박물관에서 올링고를 연구해 오고 있었다. 당시 그는 머리와 이빨의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했다. 이로 인해 그는 이전까지는 한 번도 학계에서 설명된 적이 없는 동물을 자신이 보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약 10년간의 연구는 박물관 보관소에 있던 크리스토퍼 헬겐 씨를 남미의 운무림으로 이끌었다. 그가 에콰도르에서 한 동물학자와 대화할 당시 행운이 따랐다. 그곳의 현지 동물 전문가는 과학자들이 나무에 있는 한 올링귀토를 보여준다고 말하는 짧은 비디오를 제작하였다. 이 비디오는 올링귀토가 올링고와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헬겐 씨에 따르면 올링귀토들이 서식하는 이 숲 근처에 사는 사람들조차도 이것이 유사한 동물들과 다른 녀석임을 알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는 2013년보다 오래전 올링귀토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한 마리의 올링귀토를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심지어 콜롬비아로부터 온 이 종의 암컷 한 마리는 1960년대와 70년대 동안 미국의 동물원에서 길러지고 있었다. 하지만 동물원 관계자들은 자신들이 비슷한 동물인 올링고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크리스토퍼 헬겐 씨는 그 올링귀토의 사육사와 대화를 나눴는데 이 사람은 그에게 슬픈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녀에 따르면 이 녀석은 수컷 올링고들과 교미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여러 동물원을 이리저리 옮겨 다녔다고 한다.
헬겐 씨는 짝짓기가 불가능했다고 한다. 올링귀토와 올링고는 완전히 다른 종이다. 그러니 그 암컷은 아무 이유없이 까다로웠던 것이 아니었다. 헬겐 씨는 수많은 올링귀토들이 야생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영원히 멸종될 위기에 처해있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인간들이 안데스 산맥의 운무림들에 있는 올링귀토의 서식지에 가까이 가고 있다. 연구팀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올링귀토 서식지 가운데 42%가 사라져 왔다고 추정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주키(Zookeys)”지에 실렸다.
새로운 포유동물을 만나보라! “올링귀토(olinguito)”는 비록 연구자들 모르게 남아메리카의 운무림에서 일정 기간 살아오고 있긴 하지만 학계에는 신종이다.
과학자들은 이 올링귀토가 30년이 넘는 기간 만에 미 대륙에서 발견된 최초의 신종 육식 동물이라고 말한다. 이 녀석은 상냥한 얼굴과 큰 눈을 가진, 털이 많은 주황-갈색의 동물이다. 이 동물은 작고 둥근 귀를 가지고 있으며, 나무에 산다. 다 크면 1킬로그램의 무게에 약 75센티미터의 크기가 되는데 이 몸길이 중 절반은 둥글게 말린 꼬리가 차지한다.
올링귀토는 라쿤(raccoon) 및 킨카주(kinkajou)와 뿌리가 같은 종이다. 올링귀토는 비록 육식을 하긴 하지만, 평소에는 과일 먹는 것을 좋아한다. 밤에 활동적인 이 동물은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에서 오랫동안 살아오고 있지만, 이전까지는 과학책에 이름을 올린 적이 없었다.
크리스토퍼 헬겐(Kristofer Helgen) 씨는 워싱턴 소재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Smithsonian Institution’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의 포유류 담당 큐레이터다. 그는 올링귀토의 존재를 확인한 이 연구팀을 이끌었다. 올링귀토는 약 한 세기 전만해도 비슷하긴 하지만 몸집이 더 큰 올링고(olingo)라는 동물과 매우 흡사한 동물로 오인되었다.
“이 운무림들을 생각해 보세요. 다우림의 수많은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이 녀석도 밤에만 외출에 나섭니다. 올링귀토는 나무로부터 떨어지지 않습니다. 습하고 어두우며, 구름에 뒤덮여 있습니다. 이런 동물들을 발견하기란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의 연구팀은 발견에 성공했다. 숲 속에서 이들은 올링귀토가 그저 또 다른 올링고가 아님을 관찰했다.
헬겐 씨는 10년 전, 한 박물관에서 올링고를 연구해 오고 있었다. 당시 그는 머리와 이빨의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했다. 이로 인해 그는 이전까지는 한 번도 학계에서 설명된 적이 없는 동물을 자신이 보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약 10년간의 연구는 박물관 보관소에 있던 크리스토퍼 헬겐 씨를 남미의 운무림으로 이끌었다. 그가 에콰도르에서 한 동물학자와 대화할 당시 행운이 따랐다. 그곳의 현지 동물 전문가는 과학자들이 나무에 있는 한 올링귀토를 보여준다고 말하는 짧은 비디오를 제작하였다. 이 비디오는 올링귀토가 올링고와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헬겐 씨에 따르면 올링귀토들이 서식하는 이 숲 근처에 사는 사람들조차도 이것이 유사한 동물들과 다른 녀석임을 알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는 2013년보다 오래전 올링귀토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한 마리의 올링귀토를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심지어 콜롬비아로부터 온 이 종의 암컷 한 마리는 1960년대와 70년대 동안 미국의 동물원에서 길러지고 있었다. 하지만 동물원 관계자들은 자신들이 비슷한 동물인 올링고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크리스토퍼 헬겐 씨는 그 올링귀토의 사육사와 대화를 나눴는데 이 사람은 그에게 슬픈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녀에 따르면 이 녀석은 수컷 올링고들과 교미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여러 동물원을 이리저리 옮겨 다녔다고 한다.
헬겐 씨는 짝짓기가 불가능했다고 한다. 올링귀토와 올링고는 완전히 다른 종이다. 그러니 그 암컷은 아무 이유없이 까다로웠던 것이 아니었다. 헬겐 씨는 수많은 올링귀토들이 야생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영원히 멸종될 위기에 처해있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인간들이 안데스 산맥의 운무림들에 있는 올링귀토의 서식지에 가까이 가고 있다. 연구팀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올링귀토 서식지 가운데 42%가 사라져 왔다고 추정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주키(Zookeys)”지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