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09-30 09:09

Getting Close to Tornadoes

Weather experts are able to predict bad weather better than ever before thanks to satellites, high-altitude balloons and radar stations. But for many years these experts have incorrectly predicted tornado formation, giving false warnings about 75 percent of the time.

So, scientists are working to improve their tornado predictions. They are getting close to the large and dangerous wind storms to see how they form.

​They believe that, if they know what a tornado looks like as it forms, they will lower their false prediction rate.

Jerilyn Watson reports.

Doppler is a type of radar that identifies weather conditions based on the flow and speed of objects through the air.

Scientist Joshua Wurman was the first to put Doppler radar equipment on a vehicle and drive it into the path of a tornado.

“I invented the Doppler on Wheels back in the 1990s because I was frustrated that we couldn’t see enough detail inside tornados and hurricanes. We had blurry images of all these things, and in order to really understand the physics -- the math of what’s going on inside a tornado, how exactly are they forming, how strong are the winds right at the surface -- we need to get up very, very, close.”

Mr. Wurman heads the Center for Severe Weather Research in Boulder, a city in the western state of Colorado. He has put his Doppler radar equipment on large trucks. Mr. Wurman and his colleagues sit inside the truck and study the computer images formed by the signals that return.

“I’m seeing it through the computers and through the radar screens, which are making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wind and the debris and the rain and hail flowing around the storm.”

Using information from satellites, stationary radar networks, and computer models, the team finds a storm that could become a tornado and drives the truck right into that area. Doppler on Wheels has been close to over 200 tornados so far. Information gathered by the instruments could help builders design stronger homes in areas where such dangerous storms are common.

Scientists are learning more about which storms develop into tornados by studying them from start to end. Mr. Wurman says that radar information has taught them that a “wind surge” could be what causes a storm to turn into a tornado.

“The scientific process is that we need to now observe that and repeat that observation in maybe a dozen or more other thunderstorms, and in maybe a dozen or more thunderstorms that aren’t making tornados, to really see if that surge causes tornados and if there is no surge, whether there is no tornado.”
formation 형성 / wind storm 폭풍 / lower 낮추다 / blurry 흐릿한, 모호한 / debris 잔해, 쓰레기 / stationary 고정된, 정지된 / wind surge 폭풍으로 인한 고조 / thunderstorm 뇌우
토네이도와 가까워지기
날씨 전문가들은 인공위성과 고공 열기구 풍선 그리고 전파탐지소들 덕분에 좋지 않은 날씨를 그 어느 때보다도 잘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수년간 이 전문가들이 토네이도의 형성에 대해 부정확하게 예측을 하는 바람에 그들이 내린 전체 경고의 75%는 잘못된 것이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토네이도 예측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토네이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보기 위해 거대하고 위험한 폭풍에 가까이 접근하고 있다.

그들은 토네이도가 형성이 될 때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다면 잘못된 예측 비율을 낮출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제를린 왓슨(Jerilyn Watson) 기자가 보도한다.

도플러는 공기 중의 물체의 흐름과 속도에 근거하여 날씨의 상태를 확인하는 레이더의 한 종류이다.

과학자 조슈아 워맨(Joshua Wurman) 씨는 처음으로 도플러 레이더 장비를 자동차에 싣고 토네이도의 길 안으로 운전해 들어간 사람이다.

“저는 토네이도와 허리케인 속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충분히 볼 수 없다는 사실이 너무나 불만스러웠기 때문에 1990년대에 도플러 온 휠(Doppler on Wheels)을 발명했습니다. 우리는 이 모든 것들의 흐린 사진을 갖고 있었는데 토네이도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학적 요소들과 이것이 정확하게 어떻게 형성되는지, 바로 표층에서의 바람의 강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포함한 물리적인 측면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아주 가까이 접근을 해야 합니다.”

워맨(Wurman) 씨는 서부 지역의 콜로라도(Colorado) 주에 위치한 볼더(Boulder) 시의 악천후 연구 센터의 책임자이다. 그는 자신의 도플러 레이더 장비를 큰 트럭에 두었다. 워맨 씨와 그의 동료들은 이 트럭의 안에 앉아 되돌아오는 신호로 인해 형성된 컴퓨터 이미지를 연구한다.

“저는 태풍 주변으로 흐르고 있는 바람과 잔해, 그리고 비와 우박의 3D 이미지를 만들고 있는 레이더 화면과 컴퓨터를 통해 이것을 보고 있습니다.”

인공위성과 고정 전파탐지 네트워크, 그리고 컴퓨터 모델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이 팀은 토네이도가 될 수 있는 태풍을 찾아 트럭을 그 지역 속으로 곧장 몰고 들어간다. 도플러 차는 지금까지 200개가 넘는 토네이도에 가까이 접근했다.

이 장비로 수집한 정보는 이처럼 위험한 태풍이 흔히 일어나는 지역에서 더 튼튼하게 집들을 설계하도록 건축업자들을 도울 수 있다.

과학자들은 토네이도를 철두철미하게 연구함으로써 이것으로 발전하는 폭풍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더 배우고 있다. 워맨 씨는 “폭풍으로 인한 고조(高潮)”가 폭풍이 토네이도로 바뀌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전파 탐지기의 정보를 통해 알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과학적 과정은 우리가 이제 이것을 관찰하고 이 관측을 열두 번도 더 넘는 뇌우(雷雨)에서 반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토네이도를 만들지 않는 열두 번도 더 넘는 뇌우(雷雨)에서도 관찰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는 실제로 그 고조가 토네이도를 유발하는지, 그리고 고조(高潮)가 없을 시에는 토네이도 또한 존재하지 않는지 보기 위해서입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1 India Expands Solar Power… sim 10-11 5891
160 Obama: Economic Justice Is Unf… sim 10-10 6133
159 Washington Marks the 50th Anni… sim 10-08 5703
158 Mapping Foreign Language Speak… sim 10-08 6231
157 Scientists Discover New Animal… james 10-07 5492
156 California Parks May Be In Dan… james 10-04 5381
155 Intelligence Leaker Gets 35-Ye… james 10-02 5336
154 Senator Supports Taiwan for th… james 10-02 5853
153 Teens Learn About Service and … sim 10-01 5571
152 Getting Close to Tornadoes… sim 09-30 5454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