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y You! Quit Monkeying Around!
Monkeys are very similar to us in many ways -- most have ten fingers and ten toes, and brains much like ours. We enjoy watching them because they often act like us. In fact, Charle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says that monkeys and humans share a common ancestor.
Songwriter William Gilbert, in the musical “Princess Ida,” wrote: “Darwinian man, though well-behaved, at best is only a monkey shaved.”
His words -- sung to Sir Arthur Sullivan’s music -- make listeners smile. Well, monkeys make us smile, too, because they are creatures full of playful tricks.
This is why many monkey expressions are about tricky people or playful acts. One of these expressions is “monkeyshines,” meaning “tricks or foolish acts.” The meaning is clear if you have ever watched a group of monkeys playfully chasing each other -- pulling tails, stealing food, doing tricks. So, when a teacher says to a group of students “Stop those monkeyshines right now!,” you know that the boys and girls are playing instead of studying.
You might hear that same teacher warn a student not to “monkey around” with a valuable piece of equipment. You “monkey around” with something when you do not know what you are doing. You are touching or playing with something you should leave alone.
Also, you can “monkey around” when you feel like doing something, but have no firm idea of what to do. For example, you tell your friend you are going to spend the day “monkeying around” with your car. Well, you do not have any job or goal in mind -- it is just a way to pass the time.
“Monkey business” usually means secret -- maybe illegal -- activities. A news report may say there is “monkey business” involved in building the new airport, with some officials getting secret payments from builders.
You may “make a monkey out of” someone when you make that person look foolish. Some people “make a monkey out of” themselves by acting foolish or silly.
If one monkey has fun, imagine how much fun “a barrel of monkeys” can have! If your friend says he had “more fun than a barrel of monkeys” at your party, you know that he had a really good time.
“Monkey suits” are common names for clothes or uniforms soldiers wear.
In earlier years in many American cities, you would find men playing musical hand organs on the street. Dancing to the music would be the man’s small monkey dressed in a tight-fitting, colorful jacket similar to a military uniform. So, people began to call a military uniform a “monkey suit.”
Songwriter William Gilbert, in the musical “Princess Ida,” wrote: “Darwinian man, though well-behaved, at best is only a monkey shaved.”
His words -- sung to Sir Arthur Sullivan’s music -- make listeners smile. Well, monkeys make us smile, too, because they are creatures full of playful tricks.
This is why many monkey expressions are about tricky people or playful acts. One of these expressions is “monkeyshines,” meaning “tricks or foolish acts.” The meaning is clear if you have ever watched a group of monkeys playfully chasing each other -- pulling tails, stealing food, doing tricks. So, when a teacher says to a group of students “Stop those monkeyshines right now!,” you know that the boys and girls are playing instead of studying.
You might hear that same teacher warn a student not to “monkey around” with a valuable piece of equipment. You “monkey around” with something when you do not know what you are doing. You are touching or playing with something you should leave alone.
Also, you can “monkey around” when you feel like doing something, but have no firm idea of what to do. For example, you tell your friend you are going to spend the day “monkeying around” with your car. Well, you do not have any job or goal in mind -- it is just a way to pass the time.
“Monkey business” usually means secret -- maybe illegal -- activities. A news report may say there is “monkey business” involved in building the new airport, with some officials getting secret payments from builders.
You may “make a monkey out of” someone when you make that person look foolish. Some people “make a monkey out of” themselves by acting foolish or silly.
If one monkey has fun, imagine how much fun “a barrel of monkeys” can have! If your friend says he had “more fun than a barrel of monkeys” at your party, you know that he had a really good time.
“Monkey suits” are common names for clothes or uniforms soldiers wear.
In earlier years in many American cities, you would find men playing musical hand organs on the street. Dancing to the music would be the man’s small monkey dressed in a tight-fitting, colorful jacket similar to a military uniform. So, people began to call a military uniform a “monkey suit.”

theory 이론 / evolution 진화 / well behaved 말을 잘 듣는, 예의 바른 / listener 청취자 / warn 경고하다 / illegal 불법적인 / activity 활동 / foolish 바보같은 / tight-fitting 몸에 꼭 맞는


야, 너! 장난 그만 쳐!
원숭이는 여러 면에서 우리와 비슷하다(우리와 닮은 점이 많다). 대부분은 손가락과 발가락이 각각 열 개이며 우리와 흡사한 뇌를 갖고 있다. 우리는 우리와 비슷한 행동을 자주 하는 그들을 구경하는 것을 즐긴다. 사실,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진화론에 의하면 원숭이와 인간의 조상은 같다고 한다.
작곡가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씨는 뮤지컬 “아이다”에서 “진화론적인 인간은 말을 잘 듣기는 하지만 기껏해야(그래 봤자) 털 깎은 원숭이일 뿐이다”고 썼다.
아서 설리번 경(Sir Arthur Sullivan)의 음악에 맞춰 부른 그의 가사는 청취자들을(듣는 이들을) 미소 짓게 만든다. 뭐, 장난기 많은 속임수로 가득 차 있는 원숭이도 우리를 웃게 한다.
원숭이와 관련된 많은 표현이 장난기 많은 사람이나 장난기 있는 행동에 대한 것인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중 하나의 표현은 “멍키 샤인즈”인데 이는 “짓궂은 장난이나 바보스러운 행동”을 뜻한다. 꼬리를 잡아당기고 음식을 훔치고 장난을 치며 서로 즐겁게 쫓아다니고 있는 원숭이 한 무리를 구경한 적이 있다면 이 의미가 명확할 것이다. 그래서 선생님이 학생 한 무리에게 “당장 짓궂은 장난 그만 쳐!”라고 말을 하면 남자와 여자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대신 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같은 선생님이 한 학생에게 중요한 장비(도구)를 가지고 “장난”을 치지 말라고 경고하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자신이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할 때 당신은 “장난”을 치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그냥 내버려 둬야 하는 무언가를 만지고 있거나 가지고 놀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또한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느끼고 있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뚜렷한 생각이 없을 때 “장난을 치거나 엉뚱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에게 당신의 자동차를 가지고 “장난”을 치며 하루를 보낼 것이라고 이야기를 보자. 자, 당신의 머릿속에는 특별한 과제나 목표는 없다. 이것은 단지 시간을 보내기 위한 방법인 것이다.
“바보 같은 짓(수상쩍은 행동)”은 주로 비밀스럽거나 혹은 불법적인 활동을 말한다. 한 뉴스 보도에서는 몇몇 관계자들이 건설업자로부터 뒷돈을 받으면서 새 공항의 건설과 관련해 “수상쩍은 행동”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누군가를 바보처럼 보이게 만들면 그 사람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바보 같거나 어리석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을 “웃음거리”로 만들기도 한다.
한 마리의 원숭이가 재미있게 놀면 “원숭이 한 통”은 얼마나 재미있게 놀 수 있을지 상상해보자! 당신의 친구가 당신의 파티에서 “원숭이 한 통”보다 즐거웠다고 말한다면 그는 아주 유쾌한 시간을 보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원숭이 옷(제복)”이란 군인들이 입는 옷이나 제복을 가리키는 흔한 말이다.
예전에 당신은 많은 미국 도시의 거리에서 남자들이 손으로 돌리는 풍금을 연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때 군복과 비슷하며 색상이 화려하고 몸에 꼭 맞는 재킷을 입은 남자의(연주자의) 작은 원숭이가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군복을 “원숭이 옷”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작곡가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씨는 뮤지컬 “아이다”에서 “진화론적인 인간은 말을 잘 듣기는 하지만 기껏해야(그래 봤자) 털 깎은 원숭이일 뿐이다”고 썼다.
아서 설리번 경(Sir Arthur Sullivan)의 음악에 맞춰 부른 그의 가사는 청취자들을(듣는 이들을) 미소 짓게 만든다. 뭐, 장난기 많은 속임수로 가득 차 있는 원숭이도 우리를 웃게 한다.
원숭이와 관련된 많은 표현이 장난기 많은 사람이나 장난기 있는 행동에 대한 것인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중 하나의 표현은 “멍키 샤인즈”인데 이는 “짓궂은 장난이나 바보스러운 행동”을 뜻한다. 꼬리를 잡아당기고 음식을 훔치고 장난을 치며 서로 즐겁게 쫓아다니고 있는 원숭이 한 무리를 구경한 적이 있다면 이 의미가 명확할 것이다. 그래서 선생님이 학생 한 무리에게 “당장 짓궂은 장난 그만 쳐!”라고 말을 하면 남자와 여자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대신 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같은 선생님이 한 학생에게 중요한 장비(도구)를 가지고 “장난”을 치지 말라고 경고하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자신이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할 때 당신은 “장난”을 치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그냥 내버려 둬야 하는 무언가를 만지고 있거나 가지고 놀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또한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느끼고 있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뚜렷한 생각이 없을 때 “장난을 치거나 엉뚱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에게 당신의 자동차를 가지고 “장난”을 치며 하루를 보낼 것이라고 이야기를 보자. 자, 당신의 머릿속에는 특별한 과제나 목표는 없다. 이것은 단지 시간을 보내기 위한 방법인 것이다.
“바보 같은 짓(수상쩍은 행동)”은 주로 비밀스럽거나 혹은 불법적인 활동을 말한다. 한 뉴스 보도에서는 몇몇 관계자들이 건설업자로부터 뒷돈을 받으면서 새 공항의 건설과 관련해 “수상쩍은 행동”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누군가를 바보처럼 보이게 만들면 그 사람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바보 같거나 어리석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을 “웃음거리”로 만들기도 한다.
한 마리의 원숭이가 재미있게 놀면 “원숭이 한 통”은 얼마나 재미있게 놀 수 있을지 상상해보자! 당신의 친구가 당신의 파티에서 “원숭이 한 통”보다 즐거웠다고 말한다면 그는 아주 유쾌한 시간을 보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원숭이 옷(제복)”이란 군인들이 입는 옷이나 제복을 가리키는 흔한 말이다.
예전에 당신은 많은 미국 도시의 거리에서 남자들이 손으로 돌리는 풍금을 연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때 군복과 비슷하며 색상이 화려하고 몸에 꼭 맞는 재킷을 입은 남자의(연주자의) 작은 원숭이가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군복을 “원숭이 옷”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