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nya Shopping Mall Attack
It has been a week since gunmen attacked a shopping center in Kenya’s capital, Nairobi. The attack left more than 70 people dead. The Kenyan Red Cross said Thursday that about 60 others were still missing. The attack left many people feeling powerless and shocked. But instead of hiding at home, Kenyans have come out to donate food, clothing, their own blood and money. The country appears more united because of the attack.
The violence at the Westgate shopping mall lasted four days. During that time, medical workers offered help to victims and security forces at a nearby community center. Those seeking assistance often had to run for cover as gunshots and explosions were heard.
A small army of volunteers came to the center. They provided food, medical services and emotional support to an endless line of people. Vimal Shah helped to direct the community center operation. He says so many people wanted to feed Kenyan security forces or help the victims that he had to turn people away.
Nzioka Waita works for Safaricom. In just two days, the communications company collected more than $700,000 for the Kenyan Red Cross.
“This is the Kenya I know and I grew up knowing. One that was built on the spirit of ‘Harambee,’ spirit of togetherness. So you know, I am pleasantly surprised in how quickly the funds have come together, but not entirely surprised that we’ve pulled together from the various communities and religious affiliations.”
He also says there has been huge support from the many Kenyans who live overseas.
But the mall attack has also incited some tension in Kenya. The Somali Islamist group al-Shabab claimed responsibility for the attack. Some reports say the attackers had freed some Muslims, but executed other people. After those stories appeared, there was criticism of Muslims and Somalis on social networking websites.
There are still tribal tensions left from the Kenyan elections earlier this year. Vimal Shah says the crisis last weekend brought the nation together. But he hopes that Kenyans do not start fearing one another after seeing such violence.
“This is pure terrorism. This is not about religion. This is not about one religion against another religion. And I think Kenyans stand together. We’ve got all different tribes coming together, all different people coming together, and saying,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Naima Amir collects money for St. John Ambulance Kenya, a medical aid group. She says the mall attack shows that Kenyans have closed the wounds from the country’s 2007 elections.
“People have learned to appreciate peace. They have learned to appreciate each other. And the diversity within ourselves is a strength and not a line to divide the country.”
Naima Amir is a Muslim. She describes the attack as “senseless violenc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Islam.
On Tuesday, Kenyan President Uhuru Kenyatta also appealed for unity. He declared that Kenya would defeat “the monster of terrorism,” one that wanted to tear the country apart.
The violence at the Westgate shopping mall lasted four days. During that time, medical workers offered help to victims and security forces at a nearby community center. Those seeking assistance often had to run for cover as gunshots and explosions were heard.
A small army of volunteers came to the center. They provided food, medical services and emotional support to an endless line of people. Vimal Shah helped to direct the community center operation. He says so many people wanted to feed Kenyan security forces or help the victims that he had to turn people away.
Nzioka Waita works for Safaricom. In just two days, the communications company collected more than $700,000 for the Kenyan Red Cross.
“This is the Kenya I know and I grew up knowing. One that was built on the spirit of ‘Harambee,’ spirit of togetherness. So you know, I am pleasantly surprised in how quickly the funds have come together, but not entirely surprised that we’ve pulled together from the various communities and religious affiliations.”
He also says there has been huge support from the many Kenyans who live overseas.
But the mall attack has also incited some tension in Kenya. The Somali Islamist group al-Shabab claimed responsibility for the attack. Some reports say the attackers had freed some Muslims, but executed other people. After those stories appeared, there was criticism of Muslims and Somalis on social networking websites.
There are still tribal tensions left from the Kenyan elections earlier this year. Vimal Shah says the crisis last weekend brought the nation together. But he hopes that Kenyans do not start fearing one another after seeing such violence.
“This is pure terrorism. This is not about religion. This is not about one religion against another religion. And I think Kenyans stand together. We’ve got all different tribes coming together, all different people coming together, and saying,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Naima Amir collects money for St. John Ambulance Kenya, a medical aid group. She says the mall attack shows that Kenyans have closed the wounds from the country’s 2007 elections.
“People have learned to appreciate peace. They have learned to appreciate each other. And the diversity within ourselves is a strength and not a line to divide the country.”
Naima Amir is a Muslim. She describes the attack as “senseless violenc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Islam.
On Tuesday, Kenyan President Uhuru Kenyatta also appealed for unity. He declared that Kenya would defeat “the monster of terrorism,” one that wanted to tear the country apart.

powerless 무력함 / volunteer 자원봉사자 / security force 치한부대 / tension 긴장감 / criticism 비판 / wound 상처 / support 지지 / divide 나누다 / defeat 패배시키다


케냐의 쇼핑몰 공격
케냐(Kenya)의 수도 나이로비(Nairobi)에 위치한 쇼핑몰을 무장괴한들이 공격한 지 일주일이 지났다. 이 공격으로 70명이 넘는 사람이 사망했다. 케냐 적십자는 목요일, 아직 약 60명의 사람이 실종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번 공격으로 많은 사람은 무력함과 놀라움을 느꼈다. 그러나 케냐인들은 집에 숨어있기보다는 밖으로 나와 옷과 의류, 자신의 혈액과 돈을 기부하고 나섰다. 이 나라는 이번 공격으로 인해 더욱 단결된 것처럼 보인다.
웨스트게이트 쇼핑몰에서의 폭력사태는 4일간 지속됐다. 이 기간 동안 의료진들은 근처의 시민 회관에서 피해자들과 치안 부대에 도움을 제공했다. 도움이 필요했던 이들은 총소리와 폭발 소리가 들리는 동안에 숨을 곳을 찾아다녀야 했던 경우가 많았다.
회관으로 작은 집단의 봉사자들이 왔다. 이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줄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음식과 의료지원, 그리고 정신적인 지지를 제공했다.
비말 샤(Vimal Shah) 씨는 시민 회관의 운영을 총괄하는 데에 도움을 줬다. 그는 케냐 치안 부대나 피해자들을 돕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아서 이들을 돌려보내야 했다고 말했다.
지오카 와티아(Nzioka Waita) 씨는 사파리콤 (Safaricom)에서 일을 한다. 불과 이틀 만에 이 통신회사는 케냐 적십자를 위해 70만 달러를 모금했다.
“이것이 바로 제가 알고 있는, 그리고 커가면서 알아왔던 케냐입니다. 함께 하는 정신인 ‘하람비(Harambee)’를 기본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래서 있잖아요, 저는 자금이 이렇게 빨리 모인 것에 대해 뜻밖의 기쁨을 느끼지만 여러 단체와 종교기관들과 함께 협력한 것에 대해서는 크게(완전히)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그는 또한 해외에 사는 많은 케냐인으로부터 큰 도움이 있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쇼핑몰 공격은 케냐 내에서 (약간의) 긴장감을 유발하기도 했다. 소말리아 이슬람 반군단체인 알 샤밥(al-Shabab)은 이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매체들은 괴한들이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풀어주었지만 다른 사람들은 처형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이 보도된 후 아랍인들과 소말리아인들에 대한 비판이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등장했다.
올해 초의 케냐 투표로 인해 생긴 부족 간의 갈등은 아직 남아있다. 비말 샤 씨는 지난주의 위기가 나라를 단결시켰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케냐인들이 이러한 폭력을 목격한 후 서로 두려워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고 있다.
“이것은 완전한 테러리즘입니다. 이는 종교와 관련된 것이 아닙니다. 한 종교 대 다른 종교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리고 저는 케냐인들은 단결하였다고 생각해요. 우리는 많은 여러 부족과 사람들이 하나로 합치고 있고 이들은 모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고 이야기합니다.’”
나미아 아미르(Namia Amir) 씨는 한 의료지원 단체인 케냐 성요한 앰뷸런스(구급차)를 위해 돈을 모금한다. 그녀는 쇼핑몰 공격은 케냐인들이 2007년 선거로부터 얻었던 상처들을 치유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평화에 감사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들은 서로에 감사하는 마음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이의 다양성은 나라를 나누는 선이 아닌 견고함(힘)입니다.”
나미아 아미르 씨는 이슬람교도다. 그녀는 이번 공격을 이슬람과는 전혀 상관없는 “무의미한 폭력”이라고 묘사한다.
화요일, 케냐의 우루 케냐타(Uhuru Kenyatta) 대통령 또한 화합에 대해 호소했다. 그는 케냐는 나라를 갈기갈기 찢어놓으려고 했던 “테러리즘의 괴물”을 패배시킬 것이라고 선포했다.
웨스트게이트 쇼핑몰에서의 폭력사태는 4일간 지속됐다. 이 기간 동안 의료진들은 근처의 시민 회관에서 피해자들과 치안 부대에 도움을 제공했다. 도움이 필요했던 이들은 총소리와 폭발 소리가 들리는 동안에 숨을 곳을 찾아다녀야 했던 경우가 많았다.
회관으로 작은 집단의 봉사자들이 왔다. 이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줄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음식과 의료지원, 그리고 정신적인 지지를 제공했다.
비말 샤(Vimal Shah) 씨는 시민 회관의 운영을 총괄하는 데에 도움을 줬다. 그는 케냐 치안 부대나 피해자들을 돕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아서 이들을 돌려보내야 했다고 말했다.
지오카 와티아(Nzioka Waita) 씨는 사파리콤 (Safaricom)에서 일을 한다. 불과 이틀 만에 이 통신회사는 케냐 적십자를 위해 70만 달러를 모금했다.
“이것이 바로 제가 알고 있는, 그리고 커가면서 알아왔던 케냐입니다. 함께 하는 정신인 ‘하람비(Harambee)’를 기본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래서 있잖아요, 저는 자금이 이렇게 빨리 모인 것에 대해 뜻밖의 기쁨을 느끼지만 여러 단체와 종교기관들과 함께 협력한 것에 대해서는 크게(완전히)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그는 또한 해외에 사는 많은 케냐인으로부터 큰 도움이 있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쇼핑몰 공격은 케냐 내에서 (약간의) 긴장감을 유발하기도 했다. 소말리아 이슬람 반군단체인 알 샤밥(al-Shabab)은 이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매체들은 괴한들이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풀어주었지만 다른 사람들은 처형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이 보도된 후 아랍인들과 소말리아인들에 대한 비판이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등장했다.
올해 초의 케냐 투표로 인해 생긴 부족 간의 갈등은 아직 남아있다. 비말 샤 씨는 지난주의 위기가 나라를 단결시켰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케냐인들이 이러한 폭력을 목격한 후 서로 두려워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고 있다.
“이것은 완전한 테러리즘입니다. 이는 종교와 관련된 것이 아닙니다. 한 종교 대 다른 종교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리고 저는 케냐인들은 단결하였다고 생각해요. 우리는 많은 여러 부족과 사람들이 하나로 합치고 있고 이들은 모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라고 이야기합니다.’”
나미아 아미르(Namia Amir) 씨는 한 의료지원 단체인 케냐 성요한 앰뷸런스(구급차)를 위해 돈을 모금한다. 그녀는 쇼핑몰 공격은 케냐인들이 2007년 선거로부터 얻었던 상처들을 치유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평화에 감사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들은 서로에 감사하는 마음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이의 다양성은 나라를 나누는 선이 아닌 견고함(힘)입니다.”
나미아 아미르 씨는 이슬람교도다. 그녀는 이번 공격을 이슬람과는 전혀 상관없는 “무의미한 폭력”이라고 묘사한다.
화요일, 케냐의 우루 케냐타(Uhuru Kenyatta) 대통령 또한 화합에 대해 호소했다. 그는 케냐는 나라를 갈기갈기 찢어놓으려고 했던 “테러리즘의 괴물”을 패배시킬 것이라고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