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11-12 09:02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 Is Sick

For someone who is seriously ill, good friends can help -- or hurt. A few years ago, Letty Cottin Pogrebin learned she had breast cancer. Some of her friends could talk easily to her about her illness. But others struggled. They could not be honest or supportive.

Ms. Pogrebin asked other cancer patients if their friendships had changed, too. Those conversations gave her an idea for a book. The book is called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s Sick.”

“People aren’t good at it naturally. It does not come naturally, so they really pause, they blunder, they can’t find the right words.”

Ms. Pogrebin found that fear caused many of the communication problems. Some people feel so uncomfortable, they do not want to see the sick person at all.

Rhonda Waithe says that is how her brother felt when her son was born with a serious disease.

“He was like, ‘I don’t know how to act. I wouldn’t know how to be around these people.’ And I would say to him, ‘Just be yourself. Because this is what they want -- for you to just be you!’”

Ms. Pogrebin found that some people who do not know what to do try too hard to be nice.

“Sometimes the nicest thing you can do is simply treat them normally. It’s the luxury of the normal. It’s the miracle of the ordinary that I sought. I didn’t want to feel like ‘Cancer Girl.’”

Ms. Pogrebin has some advice for people with friends or family members who are sick. She says think about what might help the person feel better, not what you think might be the “right” thing to say or do.

“It’s very tempting to feel good about yourself when you are in a tough situation like that. ‘I called when I heard. I did the right thing.’ ‘I sent a bouquet of flowers. I did the right thing.’ ‘I said, you’ll get past this, or I’m sure it’s going to be OK.’ But you do not know on the other end if that is what is really needed, and if that is what is really wanted.”

Often what is needed is practical help.

Nicole Brown said that is what she wanted when her father was ill.

“We needed people to actually come and help us, be there for us. Come over, cook. Bring some food. He lp give him a bath.”

Ms. Pogrebin adds that the best idea is usually just to be polite. And, she says, let the person who is sick say what she or he wants.

“My advice to everyone, if it had to be distilled into a single sentence, is: If you’re the friend, ask the sick person, ‘What do you really want us to do during this period? Do you want me to offer, or come, or just take the initiative? Are you uncomfortable asking, or would it be better to wait to hear what you really want? If I call you every day, will that drive you nuts? I will take the advice you give me right now and I will run with it for the rest of the period of time that we are in this together.’”

Letty Cottin Pogrebin was treated and is now cancer-free. She is the author of the book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Who’s Sick.”
breast cancer 유방암 / supportive 지원하는, 도움이 되는 / naturally 당연히, 자연스럽게 / blunder 실수하다 / ordinary 보통의, 평범한 / tempt 유혹하다, 부추기다 / get past ~의 곁을 지나가다, 통과시키다 / distill 증류하다 / take the initiative 솔선해서 하다 / drive someone nuts 화나게 만들다 / run with (생각 등을) 받아들이다
아픈 친구의 친구가 되는 법
중환자에게는 좋은 친구들이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몇 년 전 레티 코틴 포그레빈(Letty Cottin Pogrebin) 씨는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그녀의 몇몇 친구들은 포그레빈 씨와 그녀가 앓고 있는 병에 대해 어렵지 않게 대화를 나누었다. 그렇지만 다른 친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그들은 솔직하지도, 도움을 주지도 못했다.

포그레빈 씨는 다른 암 환자들에게도 친구 관계가 달라졌는지 물었다. 이런 대화를 통해 그녀는 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책 제목은 ‘아픈 친구의 친구가 되는 법’이다.

“사람들은 원래 아픈 사람을 다루는 데 약합니다. 이런 기술은 자연스레 타고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주저하고, 실수를 하게 되며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합니다.”

포그레빈 씨는 두려움이 많은 의사소통에서 문제를 낳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어떤 사람들은 매우 불편함을 느껴 환자를 아예 보고 싶어하지조차 않는다.

론다 웨이드(Rhonda Waithe) 씨는 아들이 심각한 병을 가지고 태어났을 당시 자기 남동생의 느낌이 바로 그러했다고 말한다.

“그는 마치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르고, 아픈 사람들 주변에서 어떻게 있어야 할지 전혀 모르는 사람 같았어요. 그리고 저는 그에게 그저 너답게 행동하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당신이 그저 당신다운 것이 아픈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니까요.”

포그레빈 씨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은 지나치게 다정하게 환자들을 대하려고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종종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다정한 행동은 그들을 그저 일상적으로 대해주는 것입니다. 그것은 평범한 기쁨이자, 제가 발견한 일상의 기적입니다. 저는 ‘암에 걸린 소녀’와 같은 느낌을 받고 싶지 않았습니다.”

포그레빈 씨는 친구나 가족 중 환자가 있는 이들에게 전할 말이 있다. 그녀는 이들에게 그들이 생각했을 때 “적절한(right)” 말이나 행동이 아닌, 환자가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라고 말한다.

“이와 같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자신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고 느끼기 쉽습니다. ‘듣자마자 전화했어. 잘한 것이라 생각해’, ‘꽃 한 다발을 보냈어. 그러길 잘한 것 같아’, ‘넌 꼭 이겨낼 거야. 모든 것이 좋아질 것이라 확신해.’ 그러나 당신은 이런 말이 상대방이 정말로 필요로 했던 것이었는지, 그리고 진정 원했던 것이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때론 진짜 필요한 것은 실질적인 도움이다.

니콜 브라운(Nicole Brown) 씨는 아버지가 아팠을 때 자신이 원했던 것이 바로 실질적인 도움이었다고 말했다.

“우리는 사실 사람들이 실제로 우리를 방문해서 도와주고, 우리를 위해 함께 해주기를 바랐습니다. 와서 요리를 해 준다거나, 음식을 가져다주거나, 아버지를 목욕시키는 것을 도와주기를 바랐습니다.”

포그레빈 씨는 가장 좋은 것이 그저 공손하게 행동하는 것이라 덧붙인다. 그녀는 또한 아픈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게 하라고 말한다.

“모두에게 해 주고 싶은 조언을 한 문장으로 압축해 이야기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이 환자의 친구라면, 환자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세요. ‘병마와 싸우는 동안 우리가 정말 무얼 해주면 좋겠니? 내가 무언가를 제안할까, 아니면 너를 보러 와 줄까, 아니면 나서서 행동을 해 줄까? 나에게 뭔가를 부탁하는 것이 불편하니? 아님 네가 정말 원하는 것을 말해 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나을까? 내가 매일 네게 전화하면 네가 짜증 날까? 네 조언을 바로 받아들이고 우리가 함께 겪어 나갈 남은 기간 동안 네 말에 귀 기울일게.’”

포그레빈 씨는 치료를 받아 완치되었다. 그녀는 ‘아픈 친구에게 친구가 되는 법’의 저자이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1 Deal Reopens Government, Exten… sim 11-22 4541
190 Houston Looks for Young Leader… sim 11-21 4828
189 California Helps Lead Economic… sim 11-20 4702
188 A Middle Easterner Observes th… sim 11-19 4892
187 More Children Are Surviving Th… sim 11-18 4768
186 Don’t Take a Cat Nap! This Sto… sim 11-15 5509
185 Genealogy Gains International … sim 11-14 4570
184 “Out of Darkness” Walks Raise … sim 11-13 4698
183 How to Be a Friend to a Friend… sim 11-12 4838
182 Activists Celebrate Internatio… sim 11-12 4888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