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12-04 09:07

Natural Disasters Are a Barrier to Ending Extreme Poverty

From American politics, we turn our attention to fighting poverty around the world. A new report says natural disasters will stand in the way of ending extreme poverty unless more is done to prepare for such events. Jim Tedder has more on the story.

Britain’s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or ODI, prepared the new report. It says that droughts, floods and other natural disasters are barriers to ending extreme poverty. The ODI report defined extreme poverty as living on less than one dollar and 25 cents a day.

The report warns that governments must deal with the increased risk of disasters in some of the world’s poorest areas. That means that taking steps to reduce the risk should be part of any poverty prevention program. The report predicts that, by 2030, up to 325 million extremely poor people will live in the 49 countries threatened most by natural disaster. Most of those countries are in South Asia or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Desert.

Tom Mitchell is with th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He say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natural disasters – or what he calls natural hazards.

“What we found is there’s a very close overlap between the countries that we expect to have very high levels of poverty still in 2030 and the countries most exposed to natural hazards. And now this shouldn’t really come as a surprise because we know that the poorest and most vulnerable people get hit hardest by extreme events. So there really is a very close link between poverty and disasters.”

The report says 11 countries are most at risk for poverty resulting from disasters. Eight of the 11 are in Africa. They include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Sudan, South Sudan and Uganda. The Asian nations are Bangladesh, Nepal and Pakistan. The report identified India as a country that would have large numbers of poor people at risk.

“In 2030, we expect there to still be very significant numbers of poor people living in India - possibly above a hundred million. In addition, this is a country that’s going to be extremely exposed natural hazards. It’s got very good central capacity to manage the problem. But at state level - some of which are as big as countries by themselves - the capacity is much more variable.”

Tom Mitchell says countries that need to prepare for possible disasters are getting less than $2 million each in international aid to do so.

“Look, if you’re serious in ending extreme poverty - and that you’re serious in protecting your economic growth - then disaster risk management needs to be at the heart of your policies - needs to be at the heart of your economic growth policies - and needs to be a part of your social development and poverty reduction policies.”

The ODI report adds that disaster risk management should “focus on livelihoods as well as lives.” And the report estimates that less than one percent of official development aid is currently spent on reducing the risk of disaster.
natural disasters 자연 재해 / poverty 가난, 빈곤 / drought 가뭄 / flood 홍수 / define 정의하다, 밝히다 / take steps 조치를 취하다 / overlap 겹치다, 포개지다 / expose 드러내다, 노출하다 / vulnerable 취약한 / result from ~이 원인이 되다 / significant 의미 있는, 중요한 / capacity 용량, 능력 / variable 변하기 쉬운 / livelihood 생계 수단 / official development aid 공적개발원조(ODA) / estimate 추산하다, 추정하다
자연 재해, 극빈 종식의 장애물
미국 정치에서 전 세계 빈곤 퇴치 문제로 관심을 돌려보자. 최근 한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 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가 더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는 극빈 퇴치로 가는 길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 한다. 짐 테더(Jim Tedder) 기자가 이 소식을 전한다.

영국 해외개발연구원(ODI)이 최근 새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가뭄과 홍수, 여타 자연 재해가 극빈 퇴치에 장애가 된다고 한다. ODI의 보고서는 극빈층을 하루에 1달러 25센트 미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로 정의했다.

보고서는 각국 정부들의 나서서 일부 극빈 지역에서 증가하는 자연 재해 위험을 해결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이는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려는 조치가 모든 재해 예방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의하면 2030년경 3억 2,500만 명에 달하는 극빈층 사람들이 자연 재해 위협을 가장 많이 받는 49개 국가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국가들의 대부분은 남아시아나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위치해 있다.

톰 밋첼 씨는 해외개발연구소 소속이다. 그에 의하면 빈곤과 그가 내추럴 해저드(natural hazards)라 부르는 자연 재해(natural disasters)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알아낸 사실은 2030년경에도 높은 수준의 빈곤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과 자연 재해에 가장 크게 노출된 국가들이 상당히 겹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는 놀라운 사실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극빈 및 취약 계층이 자연 재해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빈곤과 자연 재해 간에는 실제로 매우 큰 연관성이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 재해로 인한 빈곤 위험성이 가장 높은 국가는 11군데이다. 그 중 8개국은 아프리카 국가들이다. 여기에는 콩고민주공화국과 수단, 남수단과 우간다가 포함된다. 아시아 국가들로는 방글라데시와 네팔, 파키스탄이 있다. 보고서는 위험에 노출된 가난한 사람들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인도를 꼽았다.

“우리는 2030년에도 인도에는 여전히 많은 수의 빈곤 인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 수가 1억 명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더욱이 인도는 앞으로도 자연 재해에 더욱 심하게 노출될 것입니다. 인도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는 이 문제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습니다. 그렇지만 일부는 그 자체만으로도 규모가 다른 국가들만큼이나 큰 주정부 차원에서는 재해 관리 능력이 저마다 다릅니다.”

톰 밋첼 씨는 발생 가능한 재해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국가들이 이를 위해 각각 2백만 달러 이하의 국제 원조를 받고 있다고 말한다.

“극빈 종식에 정말로 관심이 있다면, 또한 경제 성장을 정말로 유지하고 싶다면 재해 위험 관리가 정책의 중심에, 경제 성장 정책의 중심에 서도록 해야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재해 위험 관리가 사회 발전 및 빈곤 감소 정책에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영국해외개발연구소의 보고서는 재해 위험 관리가 ‘삶뿐만 아니라 생계 수단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보고서는 공적개발원조(ODA) 중 1% 미만만이 현재 재해 위험을 줄이는 데 쓰이고 있다고 추산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1 Officials Consider Changes to … sim 12-06 4907
200 Libya's Grand Mufti Says … sim 12-05 4922
199 Natural Disasters Are a Barrie… sim 12-04 5470
198 How Will the Health Care Law I… sim 12-03 4581
197 Quit Buggin' Me!… sim 12-02 5143
196 Rights Groups Question U.S. Dr… sim 11-29 4694
195 Trouble for Greece’s Far-Right… sim 11-28 4655
194 Cell Transport System Research… sim 11-27 4710
193 Ups and Downs in the African G… sim 11-26 4765
192 Hey Greenhorn!… sim 11-25 5528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