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ights Groups Question U.S. Drone Strikes
This week, two human rights groups accused the United States of killing more civilians in drone strikes than American officials say. The groups say many of the attacks appeared to be illegal under international law.
Human Rights Watch investigated six drone strikes in Yemen since 2009. It found that at least 57 civilians died in the attacks. Letta Tayler studies terrorist acts and anti-terrorism efforts for the group.
“Two of the six cases that we examined in my report show that the U.S. indiscriminately killed civilians. This is a clear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report says some drone strikes violated the rules set by President Obama to justify such attacks. The president has said the unmanned aircraft can be used when responding to an immediate threat to the United States. He also said they can be used when there is no hope of capturing a targeted terrorist, and “near certainty” that civilians will not be harmed.
At the White House, Press Secretary Jay Carney rejected accusations that drone strikes violated international law.
“To the extent these reports claim that the U.S. has acted contrary to international law, we would strongly disagree. The administration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extraordinary care that we take to make sure counterterrorism actions are in accordance with all applicable law.”
Amnesty International examined nine American drone attacks in Pakistan. It says it found evidence that more than 30 civilians were killed in four of the strikes. A United Nations report has estimated that drone strikes in Pakistan killed 400 civilians over the past 10 years.
Both Amnesty and Human Rights Watch are calling for more congressional supervision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the Defense Department.
The first American drone attack in Pakistan took place in 2004. Many observers believe there was a secret agreement in which Pakistan privately approved of drone strikes but publicly condemned them.
Pakistani officials say they are strongly opposed to the attacks. They condemn them as a violation of their country’s sovereignty – the right to be free from interference by another country. They also say the attacks are fueling militancy in Pakistan.
North Waziristan has long been considered a center for al-Qaida militants and the Haqqani network. That group has been blamed for some of the deadliest attacks in Afghanistan. The United States has long pressured the Pakistani military to move against extremists in North Waziristan. However, some officials believe that state control has almost disappeared in the territory.
On Wednesday, President Obama and Pakistani Prime Minister Nawaz Sharif met at the White House. They discussed cooperation in fighting terrorism and concerns about what the president called “senseless violence and extremism” in Pakistan. Afterward they spoke to reporters. Prime Minister Sharif said the two countries will continue to increase cooperation against terrorists. But he also called for no more drone attacks.
“Pakistan and the United States have a strong, ongoing counterterrorism cooperation. We have agreed to further strengthen this cooperation. I also brought up the issue of drones in our meeting, emphasizing the need for an end to such strikes.”
Human Rights Watch investigated six drone strikes in Yemen since 2009. It found that at least 57 civilians died in the attacks. Letta Tayler studies terrorist acts and anti-terrorism efforts for the group.
“Two of the six cases that we examined in my report show that the U.S. indiscriminately killed civilians. This is a clear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report says some drone strikes violated the rules set by President Obama to justify such attacks. The president has said the unmanned aircraft can be used when responding to an immediate threat to the United States. He also said they can be used when there is no hope of capturing a targeted terrorist, and “near certainty” that civilians will not be harmed.
At the White House, Press Secretary Jay Carney rejected accusations that drone strikes violated international law.
“To the extent these reports claim that the U.S. has acted contrary to international law, we would strongly disagree. The administration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extraordinary care that we take to make sure counterterrorism actions are in accordance with all applicable law.”
Amnesty International examined nine American drone attacks in Pakistan. It says it found evidence that more than 30 civilians were killed in four of the strikes. A United Nations report has estimated that drone strikes in Pakistan killed 400 civilians over the past 10 years.
Both Amnesty and Human Rights Watch are calling for more congressional supervision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the Defense Department.
The first American drone attack in Pakistan took place in 2004. Many observers believe there was a secret agreement in which Pakistan privately approved of drone strikes but publicly condemned them.
Pakistani officials say they are strongly opposed to the attacks. They condemn them as a violation of their country’s sovereignty – the right to be free from interference by another country. They also say the attacks are fueling militancy in Pakistan.
North Waziristan has long been considered a center for al-Qaida militants and the Haqqani network. That group has been blamed for some of the deadliest attacks in Afghanistan. The United States has long pressured the Pakistani military to move against extremists in North Waziristan. However, some officials believe that state control has almost disappeared in the territory.
On Wednesday, President Obama and Pakistani Prime Minister Nawaz Sharif met at the White House. They discussed cooperation in fighting terrorism and concerns about what the president called “senseless violence and extremism” in Pakistan. Afterward they spoke to reporters. Prime Minister Sharif said the two countries will continue to increase cooperation against terrorists. But he also called for no more drone attacks.
“Pakistan and the United States have a strong, ongoing counterterrorism cooperation. We have agreed to further strengthen this cooperation. I also brought up the issue of drones in our meeting, emphasizing the need for an end to such strikes.”

accuse 고발하다, 기소하다 / drone 무인 항공기 / indiscriminately 무차별적으로, 마구잡이로 / to the extent ~라는 점에서 / extraordinary 보기 드문 / take place 발생하다 / secret agreement 밀약 / condemn 규탄하다 / sovereignty 통치권, 자주권 / fuel 부추기다 / militancy 교전 상태, 투쟁성 / deadliest 치명적인 / extremist 극단주의자 / senseless 무의미한 / afterward 그 후에 / bring up 화제를 꺼내다


인권 단체들, 미국의 무인 항공기 공격에 의문을 제기하다.
이번 주, 두 인권 단체는 미국이 자국 고위 관료들이 밝힌 것보다 더 많은 시민들을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습으로 살해했다고 비난했다. 이들 단체는 이 공격들 중 상당수가 국제법상 불법인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휴먼 라이트 워치(Human Rights Watch)”는 2009년부터 예멘에서 자행된 여섯 차례의 무인 항공기 공습을 조사했다. 이 단체는 이 공격들로 인해 적어도 57명의 시민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레타 테일러(Letta Tayler) 씨는 이 단체에서 테러 활동과 테러 방지 노력들을 연구한다.
“제 보고서에서 저희가 조사했던 총 6개의 사건 중 2개에 의하면 미국이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희생시켰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명확한 국제법 위반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공격 중 일부는 오바마 대통령이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설정해 놓은 규정을 위반했다고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에 대응할 때 무인 항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혀왔다. 더불어 그는 목표로 한 테러리스트를 포획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거의 확실히(near certainty)” 시민들은 다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제이 카니(Jay Carney) 백악관 대변인은 무인 항공기의 공격이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비난을 일축했다.
“미국이 국제법에 어긋나는 행위를 저질렀다는 이들 보고서의 주장에 대해서는 단호히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미국 정부는 대테러 활동은 모든 관련 법을 준수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우리가 취하는 이례적인 관리(extraordinary care)를 반복적으로 강조해 왔습니다.”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은 파키스탄에서 미국이 시행한 아홉 건의 무인 항공기 공격을 조사했다. 이 단체는 네 차례의 공격에서 30명 이상의 시민들이 사망했다는 증거를 찾아냈다고 주장한다. 국제연합(UN)이 발간한 한 보고서는 지난 10년간 파키스탄에서 무인 항공기에 의해 400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했다.
앰네스티와 휴먼 라이트 워치는 모두 중앙 정보국(CIA)과 국방부에 대한 의회의 감시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파키스탄에 대한 미국의 무인 항공기 공격은 2004년에 최초로 일어났다. 많은 관측자들은 파키스탄이 은밀히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을 허용하되 외부적으로는 이를 비난한다는 밀약이 있었다고 믿는다.
파키스탄의 고위 관료들은 무인 항공기 공격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이 타국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인 자국의 자주권(sovereignty)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규탄한다. 이들은 더불어 무인 항공기 공격이 파키스탄 내 호전성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북 와지리스탄(North Waziristan)은 오랫동안 알카에다(al-Qaida) 군과 하카니 네트워크(Haqqani network)의 본거지로 여겨져 왔다. 이 단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치명적인 공격들로 인해 비난을 받아왔다. 미국은 파키스탄 군부가 북 와지리스탄 지역의 극단주의자들을 향해 진격하도록 오랜 기간 압박을 가해 왔다. 하지만 일부 관료들은 이 지역에서 정부의 통제력이 거의 상실되었다고 본다.
수요일, 오바마 대통령과 나와즈 샤리프(Nawaz Sharif) 파키스탄 총리가 백악관에서 회동했다. 이들은 테러와의 싸움에 있어 협력과 더불어 오바마 대통령이 “무의미한 폭력과 극단주의”라고 부르는 파키스탄 내 행위들에 대한 우려를 논하고 이후 기자회견을 가졌다. 샤리프 총리는 이들 두 나라가 테러범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 중단도 요구했다.
“파키스탄과 미국은 강력하고 계속적인 대테러 활동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향후 이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도 동의해 왔습니다. 저는 우리의 회담에서 무인 항공기 문제도 제기했고 이러한 공격 중단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휴먼 라이트 워치(Human Rights Watch)”는 2009년부터 예멘에서 자행된 여섯 차례의 무인 항공기 공습을 조사했다. 이 단체는 이 공격들로 인해 적어도 57명의 시민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레타 테일러(Letta Tayler) 씨는 이 단체에서 테러 활동과 테러 방지 노력들을 연구한다.
“제 보고서에서 저희가 조사했던 총 6개의 사건 중 2개에 의하면 미국이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희생시켰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명확한 국제법 위반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공격 중 일부는 오바마 대통령이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설정해 놓은 규정을 위반했다고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에 대응할 때 무인 항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혀왔다. 더불어 그는 목표로 한 테러리스트를 포획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거의 확실히(near certainty)” 시민들은 다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제이 카니(Jay Carney) 백악관 대변인은 무인 항공기의 공격이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비난을 일축했다.
“미국이 국제법에 어긋나는 행위를 저질렀다는 이들 보고서의 주장에 대해서는 단호히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미국 정부는 대테러 활동은 모든 관련 법을 준수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우리가 취하는 이례적인 관리(extraordinary care)를 반복적으로 강조해 왔습니다.”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은 파키스탄에서 미국이 시행한 아홉 건의 무인 항공기 공격을 조사했다. 이 단체는 네 차례의 공격에서 30명 이상의 시민들이 사망했다는 증거를 찾아냈다고 주장한다. 국제연합(UN)이 발간한 한 보고서는 지난 10년간 파키스탄에서 무인 항공기에 의해 400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했다.
앰네스티와 휴먼 라이트 워치는 모두 중앙 정보국(CIA)과 국방부에 대한 의회의 감시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파키스탄에 대한 미국의 무인 항공기 공격은 2004년에 최초로 일어났다. 많은 관측자들은 파키스탄이 은밀히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을 허용하되 외부적으로는 이를 비난한다는 밀약이 있었다고 믿는다.
파키스탄의 고위 관료들은 무인 항공기 공격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이 타국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인 자국의 자주권(sovereignty)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규탄한다. 이들은 더불어 무인 항공기 공격이 파키스탄 내 호전성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북 와지리스탄(North Waziristan)은 오랫동안 알카에다(al-Qaida) 군과 하카니 네트워크(Haqqani network)의 본거지로 여겨져 왔다. 이 단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치명적인 공격들로 인해 비난을 받아왔다. 미국은 파키스탄 군부가 북 와지리스탄 지역의 극단주의자들을 향해 진격하도록 오랜 기간 압박을 가해 왔다. 하지만 일부 관료들은 이 지역에서 정부의 통제력이 거의 상실되었다고 본다.
수요일, 오바마 대통령과 나와즈 샤리프(Nawaz Sharif) 파키스탄 총리가 백악관에서 회동했다. 이들은 테러와의 싸움에 있어 협력과 더불어 오바마 대통령이 “무의미한 폭력과 극단주의”라고 부르는 파키스탄 내 행위들에 대한 우려를 논하고 이후 기자회견을 가졌다. 샤리프 총리는 이들 두 나라가 테러범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무인 항공기에 의한 공격 중단도 요구했다.
“파키스탄과 미국은 강력하고 계속적인 대테러 활동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향후 이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도 동의해 왔습니다. 저는 우리의 회담에서 무인 항공기 문제도 제기했고 이러한 공격 중단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