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11-27 09:12

Cell Transport System Research Wins Nobel for Medicine

Three researchers based in the United States have won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James Rothman, Randy Schekman and Thomas Sudhof studied how cells organize and move the molecules necessary for them to operate.

Tom Kirchhausen is a cell biologist with Harvard University in Massachusetts. He was asked to explain the work of the Nobel Prize winners. He suggests that we think of every cell in our bodies as a tiny city.

“You have people that are moving from one place to the other to do whatever function they do. And then you move from one place to the other, in these carriers, the containers. That’s the bus, the motorcycle, the train.”

In his comparison, the people are the enzymes, hormones and other proteins and chemicals that do work and carry messages around our bodies.

If the transport system breaks down, they cannot get to where they need to go and cannot do what they need to do. The results are diseases -- from diabetes to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The Nobel Prize-winning researchers discovered how the cell’s buses, motorcycles and trains get to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The process is so important that evolution -- development and change over time -- has not changed it much from the microorganism yeast to people.

University of Utah neuroscientist Erik Jorgensen praises the work of Randy Schekman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Professor Jorgensen says most neuroscientists would never imagine that the yeast cell would be a good model system for the brain. He says Randy Schekman discovered in yeast the genetic plan for the proteins that make up the delivery system of cells.

“We then subsequently found that the proteins involved in this process that allow us to think, that allow nerve cells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are precisely the same ones that were found in yeast.”

Erik Jorgensen says a list of players came from Randy Schekman’s work. But he adds that another Nobel winner, James Rothman at Yale University in Connecticut, showed which player was interacting with another.

Professor Rothman discovered how each little cellular bus takes its passengers to the right station.

The third-prize winner is Thomas Sudhof of Stanford University in California. He discovered how nerve cells release their passengers quickly and exactly. They do so in reaction to a signal.

Speaking to reporters, James Rothman said that he was lucky to start his research at a time when a young scientist could take chances on an idea. But he said times have changed.

He says government financing for scientific research has dropped in recent years. And he says that decrease threatens American leadership in science and technology.
molecule 분자 / tiny 작은 / comparison 비교, 비유 / break down 고장나다 / diabetes 당뇨병 / disorder 장애 / nervous 신경의 / microorganism 미생물 / yeast 효모 / neuroscientist 신경 과학자 / genetic 유전의, 유전학의 / in reaction to 반응하여 / drop 줄다 / threaten 위협하다
세포 내 물질 이동 연구, 노벨 생리 의학상 수상
미국을 기반으로 한 세 명의 과학자들이 노벨 생리 의학상을 수상했다. 제임스 로스먼(James Rothman) 박사, 랜디 셰크먼(Randy Schekman) 박사, 그리고 토머스 쥐트호프(Thomas Sudhof) 박사는 어떻게 세포가 조직되고 이들의 활동을 위해 필요한 분자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톰 키르초센(Tom Kirchhausen) 교수는 매사추세스 주 하버드 대학교의 세포 생물학자다. 우리는 그에게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우리에게 우리 몸의 모든 셀을 작은 도시로 생각해 보라고 제안했다.

“(그 도시에는) 역할이 무엇이든지 간에 자신의 역할을 하기 위해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동 수단인 용기 안에 타고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합니다. 버스이자 오토바이이자 기차인 셈이지요.”

그의 비유에서 “사람들”은 일하고 체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소, 호르몬, 기타 단백질과 화학 물질들이다.

만약 이러한 이동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면 이들은 가야 할 장소에 못 가고 해야 할 일을 못 하게 된다. 그 결과는 당뇨병에서부터 신경 시스템의 장애에까지 이르는 질병이다.

이 노벨상 수상자들은 이 세포의 버스, 오토바이, 그리고 기차들이 어떻게 정확한 장소,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는지를 발견해 냈다. 이 과정은 너무나 중요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전과 변화인 진화가 미생물 효모에서 시작되어 인간에 이르면서 이를 충분히 변화시켜 오지 못했다.

유타 대학교의 신경 과학자인 에릭 요르겐센(Erik Jorgensen) 교수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랜디 셰크먼 교수의 업적을 칭송한다. 요르겐센 교수는 대부분의 신경 과학자들이 효모 세포가 뇌에 대한 좋은 모델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랜디 셰크먼 교수가 효모에서 세포의 이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대한 유전적인 계획을 발견했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어서 우리를 사고할 수 있게 하고 신경세포가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이 과정에 연루된 단백질이 효모에서 발견된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에릭 요르겐센 교수는 랜디 셰크먼 박사의 연구에서 도출된 인자들의 명단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는 또 다른 노벨상 수상자인 코네티컷 주 예일 대학의 제임스 로스먼 박사가 어떤 인자가 서로 상호작용했는지 밝혀냈다고 덧붙인다.

로스먼 교수는 작은 개별 세포 버스가 승객들을 어떻게 정확한 정차역으로 실어 나르는지를 밝혔다.

세 번째 수상자는 캘리포니아 주 스탠퍼드 대학의 토마스 쥐트호프 박사다. 그는 어떻게 신경 세포들이 승객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차시키는지를 발견해 냈다. 이들은 특정 신호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다.

제임스 로스먼 박사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젊은 과학자가 특정 아이디어에 대해 (자유로이)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던 시절, 연구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자신은 운이 좋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금은 시대가 변했다고 말한다.

그는 최근 몇 년간 과학 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줄어 왔으며, 이 같은 지원의 감소는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1 Officials Consider Changes to … sim 12-06 4907
200 Libya's Grand Mufti Says … sim 12-05 4922
199 Natural Disasters Are a Barrie… sim 12-04 5469
198 How Will the Health Care Law I… sim 12-03 4581
197 Quit Buggin' Me!… sim 12-02 5143
196 Rights Groups Question U.S. Dr… sim 11-29 4694
195 Trouble for Greece’s Far-Right… sim 11-28 4655
194 Cell Transport System Research… sim 11-27 4710
193 Ups and Downs in the African G… sim 11-26 4765
192 Hey Greenhorn!… sim 11-25 5527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