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ippines Plans for Disasters
The Philippines often suffers more natural disasters than other countries. Philippine disaster risk planners have begun using a new tool to make maps of at risk areas in Manila. This technology will help identify weak structures, measure population density and predict financial losses should disaster strike.
The Philippines lies on tectonic plates at the bottom of the Pacific Ocean. The movement of tectonic plates can cause earthquakes and volcanic activity. Other natural disasters have resulted from tropical storms and heavy rain.
Over the years, different maps have shown active fault lines and places where flooding could happen. Recently, the national government in the Philippines gave maps to officials in Metropolitan Manila. The maps show the effects of earthquakes, wind damage from storms and flooding from heavy rain.
The scenarios – or possible situations -- were made with LiDAR, a sensing technology that lights up buildings and other objects with lasers.
Renato Solidum heads the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His office produced the risk analysis of earthquake scenarios. He says these new maps help planners with what he calls their “disaster imagination.”
“Sometimes in order to convince decision-makers and even(other) people to do things right away is, you have to show how many people will die, how many buildings will suffer, how many millions of pesos would you need to rehabilitate (restore) or replace this. You need damage or impact figures, rather than the threat.”
In the risk analysis project, one scenario shows a 7-point-2 earthquake in the Manila area would result in 37,000 deaths. The damage would cost an estimated 56 million dollars to repair.
The Philippines not only suffers from natural disasters. Its population centers have factors, or issues, that increase the chance of risk. They include fast growth and violations of rules like building codes. Other concerns include poor people living in areas that often flood, and poor solid-waste treatment.
Researchers on the project created what they call an “exposure database.” It combines population and structural information, such as a building’s age and where development has spread. In exchange for getting the computer software, city planners have to add details from their localities to the database.
Ishmael Narag is a researcher with th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He says being prepared for disasters does not have to depend on technology. He says smaller, poorer communities can use available information from population counts and other studies. He says this information can help them come up with their own estimate of risk.
Herbert Bautista is the mayor of Quezon City and president of the League of Cities of the Philippines. He calls the new maps and information database, “a big deal for local government.” He says this new tool will help local governments obey a national law that requires land-use plans to include risk areas. Mr. Bautista says the information can help the government stop developers from trying to build homes on fault lines or soil that easily takes in water.
And, Mr. Narag says getting information from cities will be important to the success of using the new tool for disaster reduction planning. In his words, “The science is only as good as what the data could give, so it’s very important that this is communicated to the local government.
The Australian and Philippine governments made possible the project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e maps and the data base. Financing came from the Australian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 Philippines lies on tectonic plates at the bottom of the Pacific Ocean. The movement of tectonic plates can cause earthquakes and volcanic activity. Other natural disasters have resulted from tropical storms and heavy rain.
Over the years, different maps have shown active fault lines and places where flooding could happen. Recently, the national government in the Philippines gave maps to officials in Metropolitan Manila. The maps show the effects of earthquakes, wind damage from storms and flooding from heavy rain.
The scenarios – or possible situations -- were made with LiDAR, a sensing technology that lights up buildings and other objects with lasers.
Renato Solidum heads the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His office produced the risk analysis of earthquake scenarios. He says these new maps help planners with what he calls their “disaster imagination.”
“Sometimes in order to convince decision-makers and even(other) people to do things right away is, you have to show how many people will die, how many buildings will suffer, how many millions of pesos would you need to rehabilitate (restore) or replace this. You need damage or impact figures, rather than the threat.”
In the risk analysis project, one scenario shows a 7-point-2 earthquake in the Manila area would result in 37,000 deaths. The damage would cost an estimated 56 million dollars to repair.
The Philippines not only suffers from natural disasters. Its population centers have factors, or issues, that increase the chance of risk. They include fast growth and violations of rules like building codes. Other concerns include poor people living in areas that often flood, and poor solid-waste treatment.
Researchers on the project created what they call an “exposure database.” It combines population and structural information, such as a building’s age and where development has spread. In exchange for getting the computer software, city planners have to add details from their localities to the database.
Ishmael Narag is a researcher with th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He says being prepared for disasters does not have to depend on technology. He says smaller, poorer communities can use available information from population counts and other studies. He says this information can help them come up with their own estimate of risk.
Herbert Bautista is the mayor of Quezon City and president of the League of Cities of the Philippines. He calls the new maps and information database, “a big deal for local government.” He says this new tool will help local governments obey a national law that requires land-use plans to include risk areas. Mr. Bautista says the information can help the government stop developers from trying to build homes on fault lines or soil that easily takes in water.
And, Mr. Narag says getting information from cities will be important to the success of using the new tool for disaster reduction planning. In his words, “The science is only as good as what the data could give, so it’s very important that this is communicated to the local government.
The Australian and Philippine governments made possible the project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e maps and the data base. Financing came from the Australian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t risk 위험에 처한 / tectonic plate 텍토닉 플레이트(판상을 이루어 움직이는 지각의 표층) / tropical 열대의 / Volcanology 화산학 / Seismology 지진학 / peso 필리핀 화폐 단위 / rehabilitate 회복, 복원 시키다(=restore) / figure 수치 / population center 인구 밀집 지역 / code 규정 / solid waste 고형 폐기물 / combine 결합하다, 갖추다 / localities 지자체 / come up with 찾아내다 / take in water 침수하다


재해에 대한 필리핀의 계획
필리핀은 종종 다른 국가들에 비해 더 많은 자연재해를 겪는다. 필리핀 재해 위험 관리자들은 마닐라 내 위험에 처한 지역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새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기술은 재해가 닥쳤을 때 부실한 건물들을 파악하고, 인구 밀도를 측정하며, 재정적인 손실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필리핀은 태평양 바닥의 “텍토닉 플레이트(tectonic plate, 판상을 이루어 움직이는 지각의 표층)” 상에 놓여있다. ‘텍토닉 플레이트’의 움직임은 지진과 화산 활동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자연재해들은 열대 폭풍과 폭우로 인해 발생한다.
수년간, 여러 지도들을 통해 홍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과 활성 단층(현재도 계속 운동하고 있는 단층)선을 확인해왔다. 최근, 필리핀 중앙 정부는 수도권 마닐라의 관료들에게 지도들을 배부했는데 이들 지도는 지진, 폭풍으로 인한 바람 피해와 폭우에 의한 홍수의 여파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나리오, 즉 발생 가능한 상황들은 건물을 비롯한 여러 사물을 레이저로 환하게 만드는 감지 기술인 “라이다(LiDAR)”로 만들어진 것이다.
레나토 솔리덤(Renato Solidum) 씨는 “필리핀 화산 지진학 연구소(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를 이끌고 있다. 그의 연구진은 지진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 분석을 실시했다. 그는 이 새 지도들이 자신들의 “가상 재해(disaster imagination)”와 더불어 재난 관리자들을 돕는다고 말한다.
“의사 결정권자들과 심지어 다른 시민들이 즉시 조치를 취하도록 확신시키기 위해서 여러분은 때론 얼마나 많은 이들이 사망할 것이고, 얼마나 많은 건물들이 파괴될 것이며, 이것을 복구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페소(peso, 필리핀 화폐 단위)가 필요할 것인지 보여주어야만 합니다. 위협을 하기보다는 손실이나 파급 수치가 필요합니다.”
이번 위험 분석 프로젝트 중 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마닐라 지역에서 진도 7.2의 지진이 일어날 경우, 3만 7천 명이 희생될 것이라고 한다. 손실 복구를 위해서는 5,600만 불에 달하는 비용이 필요하다.
필리핀이 겪는 것은 자연재해 뿐만이 아니다. 필리핀의 인구 밀집 지역들은 위험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와 사안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는 고속 성장과 건축법과 같은 규정의 위반이 포함된다. 다른 염려되는 사항들에는 홍수 피해가 빈번한 지역에 살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과 더불어 고형 폐기물에 대한 불량한 사후 처리도 포함된다.
이 프로젝트의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노출 데이터베이스(exposure database)”라 부르는 것을 만들었다. 이것은 건물의 나이 및 어디서 개발이 펼쳐지는지 등과 같은 구조적 정보와 인구 정보를 결합시킨다.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받는 대가로 도시의 재해 관리자들은 이들 지자체로부터 수집한 세부 정보를 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야 한다.
이스마엘 나라그(Ishmael Narag) 씨는 필리핀 화산 지진학 연구소의 연구원이다. 그는 재해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반드시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작고 가난한 공동체들은 인구 측정과 기타 연구를 통해 얻은 가용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이러한 정보가 그들이 자체적으로 위험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허버트 바티스타(Herbert Bautista) 씨는 케손 시티(Quezon City) 시장이자 “필리핀 도시 연합(League of Cities of the Philippines)”의 위원장이다. 그는 이 새로운 지도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리켜 “지방 정부를 위한 큰 도움”이라고 부른다. 그는 이 새로운 도구가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토지 사용 계획에 위험 지역들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는 정부 법령을 준수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한다. 바티스타 씨는 이러한 정보가 단층선(fault line) 위, 혹은 쉽게 침수되는 땅 위에 집을 지으려고 하는 개발자들을 정부가 저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나라그 씨는 도시들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재해 감소 계획을 위한 이 새 도구 사용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과학은 단지 자료가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다름 없는 것이므로, 따라서 이것을 지방 정부에 전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라고 한다.
호주와 필리핀 정부는 지도와 데이터베이스 제작으로 이어진 이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자금은 “호주 국제 개발처(Australian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로부터 조달했다.
필리핀은 태평양 바닥의 “텍토닉 플레이트(tectonic plate, 판상을 이루어 움직이는 지각의 표층)” 상에 놓여있다. ‘텍토닉 플레이트’의 움직임은 지진과 화산 활동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자연재해들은 열대 폭풍과 폭우로 인해 발생한다.
수년간, 여러 지도들을 통해 홍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과 활성 단층(현재도 계속 운동하고 있는 단층)선을 확인해왔다. 최근, 필리핀 중앙 정부는 수도권 마닐라의 관료들에게 지도들을 배부했는데 이들 지도는 지진, 폭풍으로 인한 바람 피해와 폭우에 의한 홍수의 여파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나리오, 즉 발생 가능한 상황들은 건물을 비롯한 여러 사물을 레이저로 환하게 만드는 감지 기술인 “라이다(LiDAR)”로 만들어진 것이다.
레나토 솔리덤(Renato Solidum) 씨는 “필리핀 화산 지진학 연구소(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를 이끌고 있다. 그의 연구진은 지진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 분석을 실시했다. 그는 이 새 지도들이 자신들의 “가상 재해(disaster imagination)”와 더불어 재난 관리자들을 돕는다고 말한다.
“의사 결정권자들과 심지어 다른 시민들이 즉시 조치를 취하도록 확신시키기 위해서 여러분은 때론 얼마나 많은 이들이 사망할 것이고, 얼마나 많은 건물들이 파괴될 것이며, 이것을 복구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페소(peso, 필리핀 화폐 단위)가 필요할 것인지 보여주어야만 합니다. 위협을 하기보다는 손실이나 파급 수치가 필요합니다.”
이번 위험 분석 프로젝트 중 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마닐라 지역에서 진도 7.2의 지진이 일어날 경우, 3만 7천 명이 희생될 것이라고 한다. 손실 복구를 위해서는 5,600만 불에 달하는 비용이 필요하다.
필리핀이 겪는 것은 자연재해 뿐만이 아니다. 필리핀의 인구 밀집 지역들은 위험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와 사안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는 고속 성장과 건축법과 같은 규정의 위반이 포함된다. 다른 염려되는 사항들에는 홍수 피해가 빈번한 지역에 살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과 더불어 고형 폐기물에 대한 불량한 사후 처리도 포함된다.
이 프로젝트의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노출 데이터베이스(exposure database)”라 부르는 것을 만들었다. 이것은 건물의 나이 및 어디서 개발이 펼쳐지는지 등과 같은 구조적 정보와 인구 정보를 결합시킨다.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받는 대가로 도시의 재해 관리자들은 이들 지자체로부터 수집한 세부 정보를 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야 한다.
이스마엘 나라그(Ishmael Narag) 씨는 필리핀 화산 지진학 연구소의 연구원이다. 그는 재해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반드시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작고 가난한 공동체들은 인구 측정과 기타 연구를 통해 얻은 가용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이러한 정보가 그들이 자체적으로 위험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허버트 바티스타(Herbert Bautista) 씨는 케손 시티(Quezon City) 시장이자 “필리핀 도시 연합(League of Cities of the Philippines)”의 위원장이다. 그는 이 새로운 지도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리켜 “지방 정부를 위한 큰 도움”이라고 부른다. 그는 이 새로운 도구가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토지 사용 계획에 위험 지역들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는 정부 법령을 준수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한다. 바티스타 씨는 이러한 정보가 단층선(fault line) 위, 혹은 쉽게 침수되는 땅 위에 집을 지으려고 하는 개발자들을 정부가 저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나라그 씨는 도시들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재해 감소 계획을 위한 이 새 도구 사용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과학은 단지 자료가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다름 없는 것이므로, 따라서 이것을 지방 정부에 전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라고 한다.
호주와 필리핀 정부는 지도와 데이터베이스 제작으로 이어진 이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자금은 “호주 국제 개발처(Australian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로부터 조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