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Bad Taste in My Mouth
People use their mouths for many things. They eat, talk, shout and sing. They smile and they kiss. In the English language, there are many expressions using the word “mouth.”
But some of them are not so nice.
For example, if you say bad things about a person, the person might protest and say “Do not badmouth me!”
Sometimes, people say something to a friend or family member that they later regret because it hurts that person’s feelings. Or they tell the person something they were not supposed to tell. The speaker might say “I really put my foot in my mouth this time.” If this should happen, the speaker might feel “down in the mouth.” In other words, he might feel sad for saying the wrong thing.
Another situation is when someone falsely claims another person said something. The other person might protest “I did not say that. Do not put words in my mouth!”
Information is often spread through “word of mouth.” This is gener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like friends talking to each other. “How did you hear about that new movie?” someone might ask. “Oh, by ‘word of mouth.’”
A more official way of getting information is through a company or government mouthpiece. This is an official spokesperson. Government-run media could also be called “a mouthpiece.”
Sometimes when one person is speaking, he says the same thing that his friend was going to say. When this happens, the friend might say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Sometimes a person has a bad or unpleasant experience with another person. He might say that experience “left a bad taste in my mouth.”
Or the person might have had a very frightening experience, like being chased by an angry dog. He might say “I had my heart in my mouth.”
Some people have lots of money because they were born into a very rich family. There is an expression for this, too. You might say such a person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
This rich person is the opposite of a person who lives “from hand to mouth.” This person is very poor and only has enough money for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 like food.
Parents might sometimes withhold sweet food from a child as a form of punishment for saying bad things. For example, if a child says things she should not say to her parents, she might be described as “a mouthy child.” The parents might even tell the child to “stop mouthing off.”
But enough of all this talk.
I have been running my mouth long enough.
But some of them are not so nice.
For example, if you say bad things about a person, the person might protest and say “Do not badmouth me!”
Sometimes, people say something to a friend or family member that they later regret because it hurts that person’s feelings. Or they tell the person something they were not supposed to tell. The speaker might say “I really put my foot in my mouth this time.” If this should happen, the speaker might feel “down in the mouth.” In other words, he might feel sad for saying the wrong thing.
Another situation is when someone falsely claims another person said something. The other person might protest “I did not say that. Do not put words in my mouth!”
Information is often spread through “word of mouth.” This is gener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like friends talking to each other. “How did you hear about that new movie?” someone might ask. “Oh, by ‘word of mouth.’”
A more official way of getting information is through a company or government mouthpiece. This is an official spokesperson. Government-run media could also be called “a mouthpiece.”
Sometimes when one person is speaking, he says the same thing that his friend was going to say. When this happens, the friend might say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Sometimes a person has a bad or unpleasant experience with another person. He might say that experience “left a bad taste in my mouth.”
Or the person might have had a very frightening experience, like being chased by an angry dog. He might say “I had my heart in my mouth.”
Some people have lots of money because they were born into a very rich family. There is an expression for this, too. You might say such a person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
This rich person is the opposite of a person who lives “from hand to mouth.” This person is very poor and only has enough money for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 like food.
Parents might sometimes withhold sweet food from a child as a form of punishment for saying bad things. For example, if a child says things she should not say to her parents, she might be described as “a mouthy child.” The parents might even tell the child to “stop mouthing off.”
But enough of all this talk.
I have been running my mouth long enough.

protest 항의하다 / be supposed to do 하기로 되어있다 / claim 주장하다 / spread 퍼지다 / unpleasant 불쾌한 / frightening 무서운 / opposite 반대편의 / withhold 주지 않다, 보류하다


나에게 나쁜 인상을 남기다
사람들은 여러 용도로 입을 사용한다. 먹고, 말하고, 소리치고, 노래를 하며 미소도 짓고 키스도 한다. 영어에는 입(mouth)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여러 가지 표현들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들 중 일부는 그리 좋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당신이 다른 누군가에 대해 나쁜 이야기를 한다면 당사자는 당신에게 항의하며 ‘나에게 대해 안 좋게 말하지(bad mouth) 마세요!’라고 할 것이다.
사람들은 종종 친구나 가족 구성원의 마음에 상처를 줌으로써 나중에 스스로 후회하는 말을 하기도 하고, 또는 상대방에게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하기도 한다. 이 말을 뱉은 사람은 아마도 이번에 내가 “실언을 했다(put one's foot in one's mouth)”고 말할 것이다. 만약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 사람은 아마도 “풀이 죽은(down in the mouth)” 기분일 것이다. 다시 말해, 그는 잘못된 말을 해서 미안함을 느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는 한 사람이 다른 누군가가 어떤 발언을 했다고 잘못된 주장을 하는 상황이다. 지목된 사람은 아마 “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어. ‘말을 만들어서 몰아세우지 마(put words in my mouth)’”라고 항의할 것이다.
정보는 종종 구전(word of mouth)으로 전파된다. 구전은 친구들이 서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사람들 간의 일반적인 의사소통을 말한다. 누군가 “그 새 영화에 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들은 거야?”라고 물을 수 있다. “아, 구전으로 들었어.”
정보를 취득하는 좀 더 공식적인 방법은 회사나 정부의 ‘마우스피스(mouthpiece, 대변인)’를 통하는 것이다. ‘마우스피스’란 공식적 대변인(spokesperson)을 가리킨다. 국영 매체도 ‘마우스피스’라고 부를 수 있다.
때때로 누군가 이야기를 하면서 그의 친구가 말하려고 했던 것과 같은 내용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이 벌어질 경우, 그 친구는 “내가 하려던 말을 네가 해버렸어(take the words right out of one’s mouth)”라고 말할 것이다.
때로는 사람은 다른 이들에 대해 나쁘거나 불쾌한 경험을 하게 된다. 그는 이런 경험이 “나쁜 인상을 남겼다(leave a bad taste in one's mouth)”라고 말할 것이다.
혹은 화가 난 개에게 쫓기는 경우와 같이 아주 무서운 경험을 했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혼비백산했다(have one's heart in one's mouth)”고 말할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아주 부유한 가문에 태어나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이에 관한 표현도 하나 있다. 당신은 이런 사람을 가리켜 “입에 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고 할 것이다.
이런 부자는 “근근이 살아가는(from hand to mouth)” 사람들과 정반대가 된다. 근근이 살아가는 사람은 매우 가난하고 음식처럼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위한 돈만 가진 이를 가리킨다.
아마 부모들은 종종 어린이가 나쁜 말을 한 것에 대한 벌을 주는 형태로 단 음식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어린이가 부모에게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한다면 그녀는 “말이 많은 어린이(mouthy child)”로 불릴 것이다. 부모는 자녀에게 심지어 “그만 투덜대라(mouth off)”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제 이런 이야기는 충분히 한 것 같다.
난 충분히 오래 “떠들었다(run one’s mouth).”
하지만 이러한 표현들 중 일부는 그리 좋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당신이 다른 누군가에 대해 나쁜 이야기를 한다면 당사자는 당신에게 항의하며 ‘나에게 대해 안 좋게 말하지(bad mouth) 마세요!’라고 할 것이다.
사람들은 종종 친구나 가족 구성원의 마음에 상처를 줌으로써 나중에 스스로 후회하는 말을 하기도 하고, 또는 상대방에게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하기도 한다. 이 말을 뱉은 사람은 아마도 이번에 내가 “실언을 했다(put one's foot in one's mouth)”고 말할 것이다. 만약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 사람은 아마도 “풀이 죽은(down in the mouth)” 기분일 것이다. 다시 말해, 그는 잘못된 말을 해서 미안함을 느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는 한 사람이 다른 누군가가 어떤 발언을 했다고 잘못된 주장을 하는 상황이다. 지목된 사람은 아마 “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어. ‘말을 만들어서 몰아세우지 마(put words in my mouth)’”라고 항의할 것이다.
정보는 종종 구전(word of mouth)으로 전파된다. 구전은 친구들이 서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사람들 간의 일반적인 의사소통을 말한다. 누군가 “그 새 영화에 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들은 거야?”라고 물을 수 있다. “아, 구전으로 들었어.”
정보를 취득하는 좀 더 공식적인 방법은 회사나 정부의 ‘마우스피스(mouthpiece, 대변인)’를 통하는 것이다. ‘마우스피스’란 공식적 대변인(spokesperson)을 가리킨다. 국영 매체도 ‘마우스피스’라고 부를 수 있다.
때때로 누군가 이야기를 하면서 그의 친구가 말하려고 했던 것과 같은 내용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이 벌어질 경우, 그 친구는 “내가 하려던 말을 네가 해버렸어(take the words right out of one’s mouth)”라고 말할 것이다.
때로는 사람은 다른 이들에 대해 나쁘거나 불쾌한 경험을 하게 된다. 그는 이런 경험이 “나쁜 인상을 남겼다(leave a bad taste in one's mouth)”라고 말할 것이다.
혹은 화가 난 개에게 쫓기는 경우와 같이 아주 무서운 경험을 했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혼비백산했다(have one's heart in one's mouth)”고 말할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아주 부유한 가문에 태어나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이에 관한 표현도 하나 있다. 당신은 이런 사람을 가리켜 “입에 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고 할 것이다.
이런 부자는 “근근이 살아가는(from hand to mouth)” 사람들과 정반대가 된다. 근근이 살아가는 사람은 매우 가난하고 음식처럼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위한 돈만 가진 이를 가리킨다.
아마 부모들은 종종 어린이가 나쁜 말을 한 것에 대한 벌을 주는 형태로 단 음식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어린이가 부모에게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한다면 그녀는 “말이 많은 어린이(mouthy child)”로 불릴 것이다. 부모는 자녀에게 심지어 “그만 투덜대라(mouth off)”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제 이런 이야기는 충분히 한 것 같다.
난 충분히 오래 “떠들었다(run one’s m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