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reat of New Civil War in Mozambique?
People in Mozambique are concerned about a possible return to civil war after 21 years of peace. The former rebel group Renamo recently said it will no longer honor a peace agreement reached in 1992. It made the announcement after clashes between its fighters and government forces.
Mozambique’s ruling Frelimo party won the civil war. And for a long time, Renamo accused Frelimo of fixing elections so that it can stay in power. The former rebel group has long expressed dissatisfaction at being an opposition party.
Renamo announced last month that it is withdrawing from the 1992 peace agreement. The deal ended 15 years of fighting.
Joseph Hanlon has written about Mozambique and Southern Africa for about 30 years. Mr. Hanlon says he is not too concerned about a return to war, mainly because so many things have changed in 21 years.
“It’s not a return to war because neither side could wage a war. If you go back to the 1990s, Renamo was supported extensively by apartheid South Africa and informally by the United States; they had substantial military capacity.”
But today, he says, Renamo has guerrillas who are in their 50s and 60s. And Mozambique chose to have a small military after the civil war and thus lacks military power. So he says neither side can return to fighting.
Researcher Elisabete Azevedo-Harman is with Chatham House, a London-based policy center. She says the roots of this latest conflict go back many years. And, she says the reasons involve money and power. She says Renamo has never been a major player in politics, partly because of the way the political system of Mozambique was established.
She also says the group never has succeeded in changing its members from guerrilla fighters to political operators. And, they have lost popular support for that reason.
Mozambique’s increasing wealth from natural gas also presents a problem for Renamo. Ms. Azevedo-Harman says that makes the group feel far from economic power as well as political power.
Mr. Hanlon says he expects leaders to look to the past to settle the current issues. He says perhaps the ruling party should let money settle the problem.
Ms. Azevedo-Harman proposes a different solution. She believes the two main parties should involve community and religious leaders in immediate communication and debate. She says the leaders should have a voice – and not just the two main parties. And she believes the country’s constitution should be re-examined.
“Long term, the country needs to be rethinking the constitutional design that they have -- the presidential system that doesn’t have check(s) and balances.”
Mozambique’s ruling Frelimo party won the civil war. And for a long time, Renamo accused Frelimo of fixing elections so that it can stay in power. The former rebel group has long expressed dissatisfaction at being an opposition party.
Renamo announced last month that it is withdrawing from the 1992 peace agreement. The deal ended 15 years of fighting.
Joseph Hanlon has written about Mozambique and Southern Africa for about 30 years. Mr. Hanlon says he is not too concerned about a return to war, mainly because so many things have changed in 21 years.
“It’s not a return to war because neither side could wage a war. If you go back to the 1990s, Renamo was supported extensively by apartheid South Africa and informally by the United States; they had substantial military capacity.”
But today, he says, Renamo has guerrillas who are in their 50s and 60s. And Mozambique chose to have a small military after the civil war and thus lacks military power. So he says neither side can return to fighting.
Researcher Elisabete Azevedo-Harman is with Chatham House, a London-based policy center. She says the roots of this latest conflict go back many years. And, she says the reasons involve money and power. She says Renamo has never been a major player in politics, partly because of the way the political system of Mozambique was established.
She also says the group never has succeeded in changing its members from guerrilla fighters to political operators. And, they have lost popular support for that reason.
Mozambique’s increasing wealth from natural gas also presents a problem for Renamo. Ms. Azevedo-Harman says that makes the group feel far from economic power as well as political power.
Mr. Hanlon says he expects leaders to look to the past to settle the current issues. He says perhaps the ruling party should let money settle the problem.
Ms. Azevedo-Harman proposes a different solution. She believes the two main parties should involve community and religious leaders in immediate communication and debate. She says the leaders should have a voice – and not just the two main parties. And she believes the country’s constitution should be re-examined.
“Long term, the country needs to be rethinking the constitutional design that they have -- the presidential system that doesn’t have check(s) and balances.”

civil war 내전 / rebel 반대자 / honor an agreement 협정을 이행하다 / ruling party 제1당 / fix an election 선거를 조작하다 / dissatisfaction 불만 / opposition party 야당 / withdraw 철회하다, 취소하다 / extensively 광범위하게 / informally 비공식적으로 / voice 발언권 / constitution 헌법 / re-examine 재검토하다 / check and balance 견제와 균형


모잠비크에 내전의 위협 발생하나?
모잠비크인들은 21년간 이어진 평화 이후, 내전의 재발 가능성을 염려하고 있다. 전 반군 단체인 “모잠비크 민족 저항 운동(Renamo, 레나모)”은 최근, 1992년 체결된 평화 협정을 더 이상 이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의 이 같은 발언은 정부군과 레나모 부대 간의 무력 충돌 이후 발표되었다.
모잠비크의 여당인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프렐리모)”은 내전에서 승리하였다. 그리고 레나모는 집권 유지를 위해 선거를 조작했다는 이유로 오랜 기간 동안 프렐리모를 비난해 왔다. 전 반군 단체인 레나모는 야당 노릇을 계속하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불만을 표출해 왔다.
지난달, 레나모는 1992년 체결한 평화 협정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 협정으로 인해 15년간의 내전이 막을 내렸었다.
조셉 핸런(Joseph Hanlon) 씨는 지난 30여 년간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에 대한 글을 써왔다. 핸런 씨에 따르면 그는 내전의 재발을 그리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는데, 그 주된 이유는 21년간 너무나 많은 것들이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양측 모두 전쟁을 벌일 수 없기 때문에 내전이 다시 일어나진 않을 것입니다. 1990년대를 돌이켜 보면, 레나모는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남아공의 인종 차별 정책)에 의해 대대적으로 지지를 받았고, 비공식적으로는 미국에 의해 지지를 받았으며, 충분한 군사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레나모는 50대와 60대의 게릴라들을 거느리고 있다. 더불어 모잠비크는 내전 후 적은 군 병력을 보유하기로 결정했고, 따라서 군 병력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그는 양측이 내전을 치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엘리자벳 아즈베도-하만(Elisabete Azevedo-Harman) 씨는 런던에 기반을 둔 정치 연구소인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왕립 국제 문제 연구소)”에서 일하는 연구원이다. 그녀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근본 원인은 수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녀는 이들 이유에는 돈과 권력이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그녀에 따르면 레나모는 정치적으로 한 번도 주류가 된 적이 없었는데, 이 같은 현상의 원인에는 모잠비크의 정치 시스템이 확립된 방식이 일조한다고 한다.
그녀는 또한 레나모가 그 구성원을 성공적으로 게릴라에서 정치 수완가로 변모시킨 사례가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이들은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
천연가스로 인해 증가하는 모잠비크의 부 역시 레나모에게 문제를 안겨주고 있다. 아즈베도-하만 씨는 이러한 점이 레나모로 하여금 정치적인 권력은 물론, 경제적 권력으로부터의 소외감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한론 씨는 지도자들이 현재의 사안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를 되돌아볼 것을 기대한다. 그는 아마 여당이 돈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즈베도-하만 씨는 다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녀는 두 정당이 즉각적인 의사소통과 토론에 지역 사회와 종교 지도자들을 관여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두 정당뿐 아니라 이들 지도자들에게도 발언권이 주어져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녀는 모잠비크의 헌법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모잠비크는 견제와 균형이 없는 대통령제와 관련하여 자국의 헌법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모잠비크의 여당인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프렐리모)”은 내전에서 승리하였다. 그리고 레나모는 집권 유지를 위해 선거를 조작했다는 이유로 오랜 기간 동안 프렐리모를 비난해 왔다. 전 반군 단체인 레나모는 야당 노릇을 계속하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불만을 표출해 왔다.
지난달, 레나모는 1992년 체결한 평화 협정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 협정으로 인해 15년간의 내전이 막을 내렸었다.
조셉 핸런(Joseph Hanlon) 씨는 지난 30여 년간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에 대한 글을 써왔다. 핸런 씨에 따르면 그는 내전의 재발을 그리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는데, 그 주된 이유는 21년간 너무나 많은 것들이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양측 모두 전쟁을 벌일 수 없기 때문에 내전이 다시 일어나진 않을 것입니다. 1990년대를 돌이켜 보면, 레나모는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남아공의 인종 차별 정책)에 의해 대대적으로 지지를 받았고, 비공식적으로는 미국에 의해 지지를 받았으며, 충분한 군사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레나모는 50대와 60대의 게릴라들을 거느리고 있다. 더불어 모잠비크는 내전 후 적은 군 병력을 보유하기로 결정했고, 따라서 군 병력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그는 양측이 내전을 치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엘리자벳 아즈베도-하만(Elisabete Azevedo-Harman) 씨는 런던에 기반을 둔 정치 연구소인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왕립 국제 문제 연구소)”에서 일하는 연구원이다. 그녀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근본 원인은 수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녀는 이들 이유에는 돈과 권력이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그녀에 따르면 레나모는 정치적으로 한 번도 주류가 된 적이 없었는데, 이 같은 현상의 원인에는 모잠비크의 정치 시스템이 확립된 방식이 일조한다고 한다.
그녀는 또한 레나모가 그 구성원을 성공적으로 게릴라에서 정치 수완가로 변모시킨 사례가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이들은 대중의 지지를 잃었다.
천연가스로 인해 증가하는 모잠비크의 부 역시 레나모에게 문제를 안겨주고 있다. 아즈베도-하만 씨는 이러한 점이 레나모로 하여금 정치적인 권력은 물론, 경제적 권력으로부터의 소외감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한론 씨는 지도자들이 현재의 사안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를 되돌아볼 것을 기대한다. 그는 아마 여당이 돈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즈베도-하만 씨는 다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녀는 두 정당이 즉각적인 의사소통과 토론에 지역 사회와 종교 지도자들을 관여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두 정당뿐 아니라 이들 지도자들에게도 발언권이 주어져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녀는 모잠비크의 헌법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모잠비크는 견제와 균형이 없는 대통령제와 관련하여 자국의 헌법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