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3-12-20 10:30

Are Rising Temperatures to Blame for Typhoon Haiyan?

The Philippine government is defending its efforts to get assistance to victims of Typhoon Haiyan. Many have received little or no assistance since the storm struck a week ago. Interior Secretary Mar Roxas said Friday in the city of Tacloban that the need is massive, immediate and not everyone can be reached.

The aircraft carrier USS George Washington and other US Navy ships arrived in the Philippines this week to help with disaster relief operations. The ships brought helicopters and emergency aid.

The Navy is deploying the helicopters to inspect damage from Typhoon Haiyan. The aircraft are also being used to transport supplies to affected communities. The aircraft carrier also has medical services and can produce 1.5 million liters of fresh water a day.

The storm displaced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The country's chief of disaster relief said Friday that at least 3,600 people are known to have died.

The amount of food and other aid sent to the Philippines has increased in recent days. But moving the aid from airports or other areas has been a slow process, in part because wreckage blocks many roads.

Scientists say Typhoon Haiyan was one of the strongest storms on record ever to hit land. Some people wonder whether man-made climate change played a part in the typhoon. Bob Ward is with the Grantham Research Institute on Climate Change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There’s certainly strong circumstantial evidence because we know that the strength of tropical cyclones, hurricanes, typhoons, depends very much on sea surface temperatures. They act as the fuel. And we’ve got very warm waters in the Pacific at the moment, which have been increasing because of climate change, and those very warm waters are what powered this typhoon.”

Bob Ward says the intensity of storms seems to be increasing.

“Our models are not very clear at the moment. But we might expect in the future that we might even see fewer, but those that do occur will be much stronger than we’re experiencing now.”

Benedict Dempsey is with the aid group Save the Children. He says detailed weather predictions meant that some aid workers were already in place when the storm hit.

“Half a dozen people went into the path of the storm in order to be prepared for the response in Tacloban and elsewhere in the Philippines.”

He says aid agencies are learning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of this kind.

“Between around 2002 and 2011, on average over 260 million people a year are being affected by disasters. And so we’re seeing the reality of these trends acting out on the ground, and it’s absolutely something that we’re having to prepare to respond to in the future.”

Benny Peiser is director of the Global Warming Policy Foundation. His group questions whether human activities are to blame for rising temperatures. He says people should be concerned about disaster preparation instead of cutting gases linked to climate change.

“This was the 20th tropical storm to have hit the Philippines this year. So this is going to continue no matter what we decide on CO2, these storms will continue.”

Climate change talks are taking place in Warsaw, Poland. At the talks, the Philippine representative appealed for an agreement to cut industrial gases like carbon dioxide. Scientist Bob Ward says the delegat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I think this typhoon will focus minds very much on the fact that if we squabble and delay in getting an agreement, we’re going to see more and more of these kind of events with very, very severe human costs.”

But observers at the Warsaw talks say a deal on cutting greenhouse gases still appears to be far away.
blame 탓하다 / assistance 도움,지원,원조 / victim 피해자 / immediate 즉각적인 / disaster relief 재난 구조 / wrekage 잔해 / sea surface 해수면 / intensity 강렬함 / reality현실 / trend 추세,동향
태풍 하이옌은 상승하는 기온 탓일까?
필리핀 정부는 태풍 하이옌의 피해자들에게 원조를 제공하기 위한 자신들의 노력을 옹호하고 있다. 일주일 전 태풍이 강타한 이후로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거나 아예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 이들이 많다. 마 록사스(Mar Roxas) 내무부 장관이 금요일, 타클로반(Tacloban) 시에서 말하기를, 도움을 구하는 손길은 엄청나고, 긴급을 요하며, 도움을 얻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미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USS George Washington)호를 비롯한 여러 미 해군 함정들은 재난구호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번 주 필리핀에 도착했다. 이 함정들은 헬리콥터와 긴급 구호물자를 실어 왔다.

해군은 태풍 하이옌에 의한 피해를 살펴보기 위해 헬리콥터를 배치하고 있다. 이 항공기들은 또한 피해 지역으로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항공모함은 의료 시설도 갖추고 있으며 매일 150만 리터의 깨끗한 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 태풍은 수십만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이 나라의 재난 구호 책임자는 금요일, 최소 3,6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필리핀으로 보내진 식료품 및 기타 지원의 양은 최근 증가하였다. 그러나 공항이나 타 지역으로부터 지원 물자를 운반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과정이었는데, 그 원인에는 많은 도로들이 태풍의 잔해로 막혀 있는 것도 한몫했다.

태풍 하이옌은 내륙을 강타한 태풍 중 역대 가장 강력한 태풍 중 하나였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어떤 이들은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가 태풍에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해한다. 밥 워드(Bob Ward) 씨는 런던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의 그랜섬 기후변화연구소(Grantham Research Institute on Climate Change) 소속이다.

“확실히 강력한 정황 증거가 있습니다. 열대 폭풍우, 허리케인 그리고 태풍의 강도는 해수면 온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연료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현재 태평양의 물은 매우 따뜻합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해 상승해 왔는데 이러한 매우 따뜻한 물이 이번 태풍에 힘을 공급하였습니다.”

밥 워드 씨는 태풍의 강렬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현재 저희 모델은 그리 확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미래에는 덜 보게 될 것으로 예상할 수도 있는데, 그러나 발생하게 되는 태풍은 현재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것보다 훨씬 강력할 것입니다.”

베네딕트 뎀시(Benedict Dempsey) 씨는 구호단체 세이브 더 칠드런(Save the Children) 소속이다. 그는 상세한 기상 예보로 인해 몇몇 구호원들은 태풍이 상륙했을 때 이미 준비가 되어있었다고 이야기한다.

“대여섯 명의 사람들이 타클로반 시와 필리핀의 타 지역에서 대응을 준비하기 위해 태풍 경로로 들어갔습니다.”

구호단체들은 이러한 종류의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배우고 있다고 그는 말한다.

“대략 2002년과 2011년 사이, 매년 평균적으로 2억 6천만 명이 넘는 사람이 재난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동향이 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실을 보고 있는데 이는 향후 우리가 꼭 대응에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베니 파이저(Benny Peiser) 씨는 지구온난화 정책 협회(Global Warming Policy Foundation)의 책임자다. 그의 집단은 상승하는 기온이 인간활동 때문인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다. 사람들은 기후변화와 연관된 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 대신 재난 대비에 대해 걱정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이는 올해 필리핀을 강타한 20번째 열대성 태풍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산화탄소에 대해 어떠한 결정을 내리더라도 이것은 계속될 것입니다. 이러한 태풍은 계속될 것입니다.”

기후변화 회담이 폴란드(Poland)의 바르샤바(Warsaw)에서 열리고 있다. 회담에서 필리핀 대표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업용 가스를 줄이는 협의안에 도달할 것을 간절하게 호소했다. 과학자인 밥 워드 씨는 각국 대표들이 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이번 태풍으로 인해, ‘만약 우리가 다투다가 합의안 도달을 미루게 되면 이와 비슷한 사건을 더 많이 보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실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는 사실’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러나 바르샤바 회담의 관찰자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협의안은 아직 먼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1 Birthday Parties for Some 15 Y… sim 01-06 4408
220 Iran Nuclear Agreement Called … sim 01-03 4198
219 Forty Years of Harmony: China … sim 01-02 4353
218 Nearly 30 Million People Ensla… sim 12-31 4424
217 Your Idea Will Not Wash. And, … sim 12-30 5152
216 Working to Fight Climate Chang… sim 12-27 4451
215 Threat of New Civil War in Moz… sim 12-26 4481
214 Farms that Grow Right Out of C… sim 12-24 5105
213 Growing Asian Middle Class Dem… sim 12-24 4478
212 Are Rising Temperatures to Bla… sim 12-20 4409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