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1-08 09:04

Peace Corps Among JFK’s Lasting Achievements

Friday, November 22nd, marke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murder of President John F. Kennedy in Dallas, Texas. The anniversary has raised discussion and reflection about the former president’s achievements while in office. One of his more notable successes was the creation of the Peace Corps, a volunteer force of mainly young Americans who have served in developing nations for more than 50 year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That was President Kennedy’s famous call to service during his Inaugural Address on January 20, 1961. That call to action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eace Corps.

The idea for the Peace Corps came during a late-night campaign stop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October of 1960. John F. Kennedy was a senator at the time. He urged students to serve their country by helping to improve conditions in other countries.

Young Americans quickly grabbed hold of the idea of delaying their own careers to live and work in developing nations.

Harris Wofford served as an advisor to the new president. He says creating the Peace Corps was one of President Kennedy’s main goals when he entered office.

“Kennedy wanted action. He wanted us to move and we had the plan of the Peace Corps within the first six weeks.”

Kennedy invited the first group of volunteers to a gathering at the White House before they left for Africa.

“The fact that you are willing to do this for our country and in the larger sense, as the name suggests, for the cause of peace and understanding, I think should make all Americans proud and make them all appreciative.”

Those early volunteers entered the Peace Corps with a sense of excitement and purpose. Barbara Kamara was one of them.

“Going to Liberia as a Peace Corps volunteer was a life-changing experience. I learned that I could just endure, that you start something and no matter what the challenges were to do it, that I could keep doing it until it was completed.”

Fifty years later, what remains is a sense of pride and accomplishment.

“When I look back on the great things that Peace Corps volunteers did, the many lives they impacted. I mean, the vice president of Liberia today gives tribute to his Peace Corps teacher contributing to his ability now to serve in that position as vice president.”

Harris Wofford says the creation of the Peace Corps remains an important part of President John F. Kennedy’s history.

“Around the world, people thought, here is the America we’ve been believing in or hoping for, young, optimistic, can-do. That’s the America that we’ve read about, we’ve thought about, we’ve hoped for, and here he was bringing it about.”

Since 1961, more than 200-thousand Americans have served in the Peace Corps in 139 h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Volunteers must be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y must be at least 18 years old to join. Education represents 43 percent of the work that the Peace Corps does. Health and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are two other main areas of service.
Peace Corps 평화봉사단 / achievement 업적 / murder 살인 / notable 눈에 띄는 / developing nation 개발 도상국 / purpose 목적 / life changing 삶을 바꾸는 / position 위치 / pride 뿌듯함, 자랑스러움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의 영구적인 업적 중 하나인 평화 봉사단
11월 22일 금요일은 텍사스(Texas) 주 댈러스(Dallas)에서 일어났던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의 암살 50주년을 기념했다. 이번 기념일은 전 대통령이 재직 중에 이루었던 업적에 대한 토론과 회상을 불러일으켰다. 눈에 더 띄는 그의 업적 중 하나는 평화 봉사단(Peace Corps)을 만든 것이었다. 이는 50년 이상 개발도상국에서 봉사한, 주로 젊은 미국 젊은이들로 이루어진 자원 봉사단이다.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스스로 물어보십시오.”

이는 1961년 1월 20일, 취임사 중 케네디 대통령이 했던 ‘임무의 부름’이라는 유명한 말이었다. 이 행동 요구가 평화 봉사단의 시작을 알렸다.

평화봉사단에 대한 발상은 1960년 10월 늦은 밤, 미시건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의 선거운동 중 떠올랐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당시 상원 의원이었다. 그는 학생들에게 다른 국가의 상황을 개선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자국에 봉사하라고 설득했다.

미국의 젊은이들은 개발 도상국에서 살면서 일하기 위해 자신의 경력을 지연시킨다는 생각을 빠르게 받아들였다.

해리스 워포드(Harris Wofford) 씨는 새 대통령의 고문 역할을 했었다. 그는 평화 봉사단을 만드는 것이 케네디 대통령의 취임 당시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고 말한다.

“케네디 대통령은 행동을 원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조치를 취하길 원했고 우리는 첫 6주 내로 평화봉사단에 대한 계획을 준비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첫 번째 봉사단 그룹이 아프리카(Africa)로 떠나기 전, 백악관에서의 모임에 초대했다.

“여러분들이 조국을 위해, 그리고 이름이 말해주듯이, 더 큰 의미에서 평화와 이해를 위해 이것을(봉사를) 기꺼이 하려 한다는 사실에 대해 모든 미국인들은 이를 자랑스러워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의 초기 봉사자들은 흥분감과 목적의식을 가지고 평화 봉사단에 가입했다. 바바라 카마라(Barbara Kamara) 씨는 이 중 한 명이었다.

“평화 봉사단의 봉사자로 라이베리아(Liberia)에 가는 것은 삶을 변화시키는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그냥 견딜 수 있다는 것과 무언가를 시작하면 그 어떠한 힘든 일이 있어도 그것을 끝낼 때까지 계속해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오십 년이 지난 지금, 남아있는 것은 자랑스러움과 성취감이다.

“평화 봉사단의 봉사자들이 했던 먼진 일들, 그들이 영향을 주었던 수많은 이들을 뒤돌아보면. 무슨 말인가 하면, 라이베리아(Liberia)의 현 부통령은 지금 자신이 부통령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에 기여를 한 자신의 평화 봉사단 선생님에 경의를 표합니다.”

해리스 워포드 씨는 평화봉사단의 탄생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경력에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고 이야기한다.

“전 세계 사람들은 우리가 믿어왔던 또는 바라왔던 젊고 희망적이고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미국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읽어온, 생각해 온, 바라온 미국이었는데 그가 이것을 이루어냈습니다.”

1961년 이후, 20만 명이 넘는 미국인들이 세계 139개의 현지국에서 평화봉사단으로 봉사했다. 봉사자가 되기 위해서는 미국 시민이어야 하며 적어도 18세여야 한다. 평화 봉사단이 하는 일 중에는 교육이 43퍼센트를 차지한다. 건강과 지역사회 경제발전 또한 평화 봉사단의 활동 가운데 다른 두 가지 주요 분야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1 What? I Can’t Hear You! There … sim 01-20 4517
230 Facial Hair Is Becoming More P… sim 01-17 5402
229 Don’t Let the Cat Out of the B… sim 01-16 5283
228 Stalingrad Wins Battle at the … sim 01-15 4586
227 Paintings Capture a Wedding… sim 01-15 4570
226 India Opens Bank for Women… sim 01-13 4246
225 Remembering Nelson Mandela Aro… sim 01-10 4236
224 Wealth May Affect How You Feel… sim 01-09 4470
223 Peace Corps Among JFK’s Lastin… sim 01-08 4706
222 New Study: Foreign Students Ma… sim 01-07 480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