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ject to Bring Clean Water to Remote Part of Kenya
Each day in the United States, one person uses about 575 liters of water. In Japan, one person uses about 374 liters of water. And in Kenya, one person uses about 20.
Tomoyuki Tsutsui and Keitaro Kakoi are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orking as interns at Grassroots Water Limited. Grassroots, a Nairobi company, and the interns are bringing clean and convenient water to people in Kenya.
Grassroots Water Limited provides clean water in Kenya's capital, Nairobi. Grassroots is run by Kenyan Edwards Bob Hawi.
Tsutsui lives in Kisumu, in west Kenya. Kisumu is home to the Luo, a large tribal group. Kisumu is the third-largest city in Kenya.
Tsutsui lives in a house without running water, also called tap water. He knows how difficult it is to live with limited water.
“Most people in the project site cannot access clean water easily because their house is without tap water. So, they have difficulty in getting water. Actually, my house is also without tap water. ... This is my motivation.”
There is a system to bring tap water to the northern part of Kisumu. But there are no water pipes in the southern part. Almost all people in the southern part do not have access to tap water.
“I am feeling the importance of water through Kenyan life without tap water. I carry the tank of 20 liters three times in a week. It is very, very heavy. The water was too important for us to waste.”
Some residents cannot go to northern Kisumu for water because it is too far away. In that area, people have to carry heavy water tanks on foot. It takes several hours to bring water from the nearest source each day.
People who cannot carry water must use rainwater or buy it from merchants, who charge up to 20 Kenyan shillings for 20 liters of water. The city's tap water cost is 1 Kenyan shilling per 20 liters.
Tsutsui says it must be very tough for women and children to carry a heavy tank. He says it is hard even for adult men.
Tsutsui and Kakoi crowdfunded, or raised money online, to address this problem. On November 28, the crowdfunding raised nearly $8,000 or 900,000 (Japanese) yen. That is nearly 800,000 Kenyan Shillings.
The company is working on laying a water pipe from northern Kisumu. It would build the first water kiosk in southern Kisumu. A water kiosk is a booth that sells clean water.
Tsutsui says it has taken a long time to get government approval to build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kiosk. But now, Grassroots and the government are cooperating.
When the water kiosk is complete, the price of water from the kiosks could decrease by half. And the residents of southern Kisumu will no longer have to travel a long way to get their wa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kiosk will start in January 2016. It should be completed by February.
Tomoyuki Tsutsui and Keitaro Kakoi are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orking as interns at Grassroots Water Limited. Grassroots, a Nairobi company, and the interns are bringing clean and convenient water to people in Kenya.
Grassroots Water Limited provides clean water in Kenya's capital, Nairobi. Grassroots is run by Kenyan Edwards Bob Hawi.
Tsutsui lives in Kisumu, in west Kenya. Kisumu is home to the Luo, a large tribal group. Kisumu is the third-largest city in Kenya.
Tsutsui lives in a house without running water, also called tap water. He knows how difficult it is to live with limited water.
“Most people in the project site cannot access clean water easily because their house is without tap water. So, they have difficulty in getting water. Actually, my house is also without tap water. ... This is my motivation.”
There is a system to bring tap water to the northern part of Kisumu. But there are no water pipes in the southern part. Almost all people in the southern part do not have access to tap water.
“I am feeling the importance of water through Kenyan life without tap water. I carry the tank of 20 liters three times in a week. It is very, very heavy. The water was too important for us to waste.”
Some residents cannot go to northern Kisumu for water because it is too far away. In that area, people have to carry heavy water tanks on foot. It takes several hours to bring water from the nearest source each day.
People who cannot carry water must use rainwater or buy it from merchants, who charge up to 20 Kenyan shillings for 20 liters of water. The city's tap water cost is 1 Kenyan shilling per 20 liters.
Tsutsui says it must be very tough for women and children to carry a heavy tank. He says it is hard even for adult men.
Tsutsui and Kakoi crowdfunded, or raised money online, to address this problem. On November 28, the crowdfunding raised nearly $8,000 or 900,000 (Japanese) yen. That is nearly 800,000 Kenyan Shillings.
The company is working on laying a water pipe from northern Kisumu. It would build the first water kiosk in southern Kisumu. A water kiosk is a booth that sells clean water.
Tsutsui says it has taken a long time to get government approval to build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kiosk. But now, Grassroots and the government are cooperating.
When the water kiosk is complete, the price of water from the kiosks could decrease by half. And the residents of southern Kisumu will no longer have to travel a long way to get their wa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kiosk will start in January 2016. It should be completed by February.

intern 교육 실습생, 인턴 / motivation 자극, 동기 부여 / tap water 수돗물 / on foot 걸어서 / kiosk 가판대


케냐 소외지역의 급수 프로젝트
미국에서는 한 사람이 매일 약 575리터의 물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한 사람이 약 374리터를 사용한다. 케냐에서는 한 사람이 약 20리터를 사용한다.
토모유키 츠츠이(Tomoyuki Tsutsui) 씨와 케이타로 카코이(Keitaro Kakoi) 씨는 그래스루츠워터 주식회사의 인턴으로 근무하는 일본인 대학생들이다. 나이로비 회사인 그래스루츠와 인턴들은 마시기 편리한 깨끗한 물을 케냐사람들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그래스루츠워터 주식회사는 케냐의 수도인 나이로비에 깨끗한 물을 제공한다. 그래스루츠는 케냐사람인 에드워드 밥 하위(Edwards Bob Hawi) 씨가 경영한다.
츠츠이는 케냐 서부의 키수무에 산다. 키수무는 규모가 큰 종족 집단인 루오족의 고향이다. 키수무는 케냐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츠츠이가 사는 집에는 수돗물처럼 흐르는 물이 나오지 않는다. 츠츠이는 제한된 물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고 있다.
“프로젝트 지역의 대부분 가정에는 수돗물이 없어서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얻기가 쉽지 않아요. 물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지요. 사실, 제가 사는 집도 수돗물이 없어요…. 그래서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키수무의 북쪽에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남쪽에는 아직 수도관이 없다. 남부지역 거의 모든 사람들은 수돗물을 이용할 수 없다.
“수돗물이 없는 케냐에서 살아보니 물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세 번 20리터의 물탱크를 나릅니다. 정말 무겁습니다. 물이 너무 소중해서 함부로 쓸 수 없죠.”
키수무 북부지역은 거리가 너무 멀어서 물을 얻으러 갈 수 없는 주민들도 있다. 사람들은 걸어서 무거운 물탱크를 옮겨야만 한다. 물을 가져오려면 가장 가까운 곳이라도 매일 몇 시간씩 걸린다.
물을 운반할 수 없는 사람들은 빗물을 이용하거나, 20리터의 물을 위해 상인들에게 20실링을 내고 구매해야 한다. 도시의 수돗물 가격은 20리터당 1실링이다.
츠츠이는 여성이나 아이들에게 무거운 물탱크를 나르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말한다. 성인 남자에게조차 버거운 일이라고 한다. 츠츠이와 카코이는 이러한 문제를 알리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즉 온라인으로 기금을 마련하였다. 11월 28일에 크라우드펀딩으로 8천 달러(일본 엔화로 90만엔)가 모였다. 거의 80만 실링에 해당하는 돈이다.
회사는 키수무 북부에서 수도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키수무 남부에 첫 번째 물 판매대가 생길 것이다. 물 판매대는 깨끗한 물을 파는 곳이다.
츠츠이는 수도관과 물 판매대 설치를 위해 정부의 승인을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한다. 하지만 현재 그래스루츠는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물 판매대가 완성되면, 물의 가격은 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키수무 남부지역 주민들은 물을 얻기 위해 더 이상 먼 거리를 오가지 않아도 될 것이다.
물 판매대 건설은 2016년 1월에 시작해서 2월이면 완성될 것이다.
토모유키 츠츠이(Tomoyuki Tsutsui) 씨와 케이타로 카코이(Keitaro Kakoi) 씨는 그래스루츠워터 주식회사의 인턴으로 근무하는 일본인 대학생들이다. 나이로비 회사인 그래스루츠와 인턴들은 마시기 편리한 깨끗한 물을 케냐사람들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그래스루츠워터 주식회사는 케냐의 수도인 나이로비에 깨끗한 물을 제공한다. 그래스루츠는 케냐사람인 에드워드 밥 하위(Edwards Bob Hawi) 씨가 경영한다.
츠츠이는 케냐 서부의 키수무에 산다. 키수무는 규모가 큰 종족 집단인 루오족의 고향이다. 키수무는 케냐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츠츠이가 사는 집에는 수돗물처럼 흐르는 물이 나오지 않는다. 츠츠이는 제한된 물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고 있다.
“프로젝트 지역의 대부분 가정에는 수돗물이 없어서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얻기가 쉽지 않아요. 물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지요. 사실, 제가 사는 집도 수돗물이 없어요…. 그래서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키수무의 북쪽에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남쪽에는 아직 수도관이 없다. 남부지역 거의 모든 사람들은 수돗물을 이용할 수 없다.
“수돗물이 없는 케냐에서 살아보니 물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세 번 20리터의 물탱크를 나릅니다. 정말 무겁습니다. 물이 너무 소중해서 함부로 쓸 수 없죠.”
키수무 북부지역은 거리가 너무 멀어서 물을 얻으러 갈 수 없는 주민들도 있다. 사람들은 걸어서 무거운 물탱크를 옮겨야만 한다. 물을 가져오려면 가장 가까운 곳이라도 매일 몇 시간씩 걸린다.
물을 운반할 수 없는 사람들은 빗물을 이용하거나, 20리터의 물을 위해 상인들에게 20실링을 내고 구매해야 한다. 도시의 수돗물 가격은 20리터당 1실링이다.
츠츠이는 여성이나 아이들에게 무거운 물탱크를 나르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말한다. 성인 남자에게조차 버거운 일이라고 한다. 츠츠이와 카코이는 이러한 문제를 알리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즉 온라인으로 기금을 마련하였다. 11월 28일에 크라우드펀딩으로 8천 달러(일본 엔화로 90만엔)가 모였다. 거의 80만 실링에 해당하는 돈이다.
회사는 키수무 북부에서 수도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키수무 남부에 첫 번째 물 판매대가 생길 것이다. 물 판매대는 깨끗한 물을 파는 곳이다.
츠츠이는 수도관과 물 판매대 설치를 위해 정부의 승인을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한다. 하지만 현재 그래스루츠는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물 판매대가 완성되면, 물의 가격은 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키수무 남부지역 주민들은 물을 얻기 위해 더 이상 먼 거리를 오가지 않아도 될 것이다.
물 판매대 건설은 2016년 1월에 시작해서 2월이면 완성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