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Links Arctic Melting and Extreme Weather
Ice at the North Pole is disappearing at a worrying rate. Now scientists say they have found a link between the melting and periods of extreme weather.
Jennifer Francis is a climate scientist at Rutgers University in New Jersey. She says ice around the North Pole has decreased by 50 percent in the past 30 years. But there is more bad news…
“And then if you take into account the thickness as well, we’ve lost almost three-quarters of the volume of the sea ice. So, it’s just an unbelievable amount of change that’s going on the Arctic.”
At the same time, the northern hemisphere has had record-breaking heat waves, extreme dry periods and severe floods.
Scientists are trying to discover if there is a link between the Arctic melting and the severe weather.
Professor Francis and her team looked at 30 years of weather information and measurements of Arctic ice and snow cover in northern lands.
“What we found was, when there was less ice or less snow in any given year during the summertime, that that was more likely to occur at the same time as the occurrences of heat waves.”
They published their findings in the journal Nature Climate Change.
The researchers say the loss of ice and snow is affecting the high winds called the jet stream. These winds push weather around the northern hemisphere. The jet stream is driven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Arctic and moderate climates. The bigger the difference, the faster the jet stream flows.
“If we warm the Arctic faster then it’s decrea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causing the jet stream to get weaker.”
A weaker jet stream is wavier, which makes it slower in its movement. So heat waves, cold periods and rainstorms last longer.
But not everyone is persuaded by this information. James Screen is a climate scientist at Britain’s University of Exeter. He says the new study only shows a few areas of the planet where there is a link between sea ice loss and heat waves.
“…which implies either that the relationship is quite weak, or actuall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relationship doesn’t exist at all.”
Professor Screen says researchers have only just begun to study the effect of Arctic ice on weather.
“It’s a hot topic but there’s a lot of work to be done. The jury’s still out on whether the Arctic sea ice is influencing weather extremes.”
Experts say it i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because, they say, with current levels of greenhouse gases being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rctic ice will continue to melt.
Jennifer Francis is a climate scientist at Rutgers University in New Jersey. She says ice around the North Pole has decreased by 50 percent in the past 30 years. But there is more bad news…
“And then if you take into account the thickness as well, we’ve lost almost three-quarters of the volume of the sea ice. So, it’s just an unbelievable amount of change that’s going on the Arctic.”
At the same time, the northern hemisphere has had record-breaking heat waves, extreme dry periods and severe floods.
Scientists are trying to discover if there is a link between the Arctic melting and the severe weather.
Professor Francis and her team looked at 30 years of weather information and measurements of Arctic ice and snow cover in northern lands.
“What we found was, when there was less ice or less snow in any given year during the summertime, that that was more likely to occur at the same time as the occurrences of heat waves.”
They published their findings in the journal Nature Climate Change.
The researchers say the loss of ice and snow is affecting the high winds called the jet stream. These winds push weather around the northern hemisphere. The jet stream is driven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Arctic and moderate climates. The bigger the difference, the faster the jet stream flows.
“If we warm the Arctic faster then it’s decrea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causing the jet stream to get weaker.”
A weaker jet stream is wavier, which makes it slower in its movement. So heat waves, cold periods and rainstorms last longer.
But not everyone is persuaded by this information. James Screen is a climate scientist at Britain’s University of Exeter. He says the new study only shows a few areas of the planet where there is a link between sea ice loss and heat waves.
“…which implies either that the relationship is quite weak, or actuall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relationship doesn’t exist at all.”
Professor Screen says researchers have only just begun to study the effect of Arctic ice on weather.
“It’s a hot topic but there’s a lot of work to be done. The jury’s still out on whether the Arctic sea ice is influencing weather extremes.”
Experts say it i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because, they say, with current levels of greenhouse gases being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rctic ice will continue to melt.

Arctic 북극의 / melting 융해 / extreme weather 극심한 기후 / link 연결고리 / northern hemisphere 북반구 / record breaking 기록적인 / jet stream 제트기류 / moderate 적당한 / greenhouse gas 온실가스 / atmosphere 대기


북극이 녹는 것과 기상이변을 관련짓는 연구
fa
북극의 얼음은 걱정스러운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이제 과학자들은 북극 얼음의 융해와 기상이변이 발생하는 시기 사이의 관계를 찾았다고 말한다.
제니퍼 프란시스(Jennifer Francis) 씨는 뉴저지(New Jersey) 주 러트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의 기후과학자이다. 그녀는 북극 주위의 얼음은 지난 30년간 50% 감소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나쁜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얼음의 두께도 고려한다면 우리는 전체 해빙 중에서 거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부피를 잃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정말 북극에서 일어나고 있는 엄청난 변화입니다. “
같은 시기에 북반구는 전례 없는 무더위와 극도의 건기 그리고 극심한 홍수를 겪었다.
과학자들은 북극의 융해와 기상 이변 사이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프란시스 교수와 그녀의 팀은 북극 얼음과 북쪽 육지에 쌓은 눈에 대한 30년간의 기후 정보와 측량 자료를 조사했다.
“우리는 어떤 해든, 여름철 동안 얼음이나 눈의 양이 줄었던 시기가 무더위가 발생하는 시기와 같은 때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조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 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했다.
이 연구원들에 따르면 얼음과 눈의 손실은 제트기류라 불리는 폭풍에 영양을 준다고 한다. 이러한 바람은 북반구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제트 기류는 북극 기온과 온난 기후 사이의 기온 차에 의해 움직인다. 차이가 클수록 제트기류의 흐름은 빨라진다.
우리가 북극을 더 빠른 속도로 따뜻하게 만든다면 기온 차는 줄어들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트 기류를 더 약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약한 제트 기류일수록 물결 모양이 더 심한데 이것은 기류의 움직임을 더디게 만든다. 그래서 무더위와 추운 시기, 그리고 폭풍우는 더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모두를 설득한 것은 결코 아니다. 제임스 스크린(James Screen) 씨는 영국의 엑세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의 기후과학자다. 그는 이번 새 연구는 해빙의 손실과 무더위 사이의 관계가 존재하는 지구의 몇 안 되는 곳만 나타낸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이들 간의 관계가 상당히 약하다는 뜻이거나, 아니면 실제로 그 관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스크린 박사는 연구원들이 북극 얼음이 기후에 주는 영향에 대해 이제 막 연구하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주제이긴 하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북극 해빙이 실제로 기상이변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아직 이릅니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대기 중으로 현재 수준의 온실가스가 방출된다면 북극 얼음은 계속해서 녹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이야기한다.
제니퍼 프란시스(Jennifer Francis) 씨는 뉴저지(New Jersey) 주 러트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의 기후과학자이다. 그녀는 북극 주위의 얼음은 지난 30년간 50% 감소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나쁜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얼음의 두께도 고려한다면 우리는 전체 해빙 중에서 거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부피를 잃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정말 북극에서 일어나고 있는 엄청난 변화입니다. “
같은 시기에 북반구는 전례 없는 무더위와 극도의 건기 그리고 극심한 홍수를 겪었다.
과학자들은 북극의 융해와 기상 이변 사이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프란시스 교수와 그녀의 팀은 북극 얼음과 북쪽 육지에 쌓은 눈에 대한 30년간의 기후 정보와 측량 자료를 조사했다.
“우리는 어떤 해든, 여름철 동안 얼음이나 눈의 양이 줄었던 시기가 무더위가 발생하는 시기와 같은 때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조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 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했다.
이 연구원들에 따르면 얼음과 눈의 손실은 제트기류라 불리는 폭풍에 영양을 준다고 한다. 이러한 바람은 북반구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제트 기류는 북극 기온과 온난 기후 사이의 기온 차에 의해 움직인다. 차이가 클수록 제트기류의 흐름은 빨라진다.
우리가 북극을 더 빠른 속도로 따뜻하게 만든다면 기온 차는 줄어들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트 기류를 더 약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약한 제트 기류일수록 물결 모양이 더 심한데 이것은 기류의 움직임을 더디게 만든다. 그래서 무더위와 추운 시기, 그리고 폭풍우는 더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모두를 설득한 것은 결코 아니다. 제임스 스크린(James Screen) 씨는 영국의 엑세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의 기후과학자다. 그는 이번 새 연구는 해빙의 손실과 무더위 사이의 관계가 존재하는 지구의 몇 안 되는 곳만 나타낸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이들 간의 관계가 상당히 약하다는 뜻이거나, 아니면 실제로 그 관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스크린 박사는 연구원들이 북극 얼음이 기후에 주는 영향에 대해 이제 막 연구하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주제이긴 하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북극 해빙이 실제로 기상이변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아직 이릅니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대기 중으로 현재 수준의 온실가스가 방출된다면 북극 얼음은 계속해서 녹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