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3-07 09:26

Asian Countries Top International School Test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tested students in 65 countries on three subjects: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Asian countries outperformed the rest of the world in math. The United States had below average test scores, with no change from earlier tests.

In fact, the 15-year-olds from Shanghai rated at a level of two and one-half years of schooling above the top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highest math scores were in Shanghai, Singapore, Hong Kong, Taipei, and South Korea. The next five were Macao, Japan, Liechtenstein, Belgium and Switzerland. Organizers say the higher scores resulted from parental involvement, better teachers and higher expectations.

Jenny Jung has attended school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e says her classes in South Korea lasted from 8 o’clock in the morning until 10 at night. Then she often met with a teacher for a private lesson.

“It’s very competitive there because it’s a relative grading system. So instead of like here, it’s an absolute grading system, where if you get over a 90, you get an A. If you get over an 80, you get a B. But in Korea, only like the top percentages can get an A.”

In the new report, the U.S. rated below average in math, and close to average in reading and science.

Education Secretary Arne Duncan says he wants to increas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et more high quality teachers.

“Virtually every one of the high performing nations attracts their teachers from the top 30 percent of the college graduating class and many only from the top 10 percent.”

Mr. Duncan has called on policy makers to make the right choices.

“We know intellectually what the right thing is to do. What we have lacked is the political will and the sense of urgency to take education to the next level.”

But the study shows money might not be the only answer. The US spends about $115,000 to educate each child. That is more than most countries. The Slovak Republic spends less than half that amount, but it and the US had similar test scores.

Angel Gurria i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 warns the United States of what might happen if the scores do not rise.

“It shows that we have a lot of homework. It shows that somebody else is doing much better than us and if this continues, over the years, they are going to take away our cheese. Because this translates into productivity, it translates into competitiveness, it translates into exports, it translates into jobs, it translates into well-being. So this is not about just comparing the grades of students.”

Some observers have criticized the study for comparing small areas of the world to large countries. They also say the test lacks an examination of creative or critical thinking.

The one area in which U.S. students rated highest was confidence in their math abilities. The job now for educators is to make those feelings carry over into test scores.
outperform 더 나은 결과를 내다 / schooling 학교 교육 / expectation 기대 / competitive 경쟁을 하는 / relative grading system 상대 평가 제도 / Virtually 사실상 / graduating class 졸업생 / call on 요청하다 / political will 정치적 의지 / a sense of urgency 절박감 / over the years 수년 간 / carry over (다른 상황까지 계속) 가져가다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아시아 국가들 선전
수학, 읽기, 과학, 이 세 과목에 대한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가 65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수학에선 아시아 국가 학생들이 전 세계 다른 지역의 학생들을 압도했다. 미국 학생들은 이전의 평가 결과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평균 이하의 점수를 기록했다.

실제로 상하이의 15세 학생들은 미국의 최고 수준의 학생들보다 2년 반 앞서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수학에서는 상하이, 싱가포르, 홍콩, 타이베이, 그리고 대한민국이 최고점을 받았다. 마카오, 일본, 리히텐슈타인, 벨기에, 그리고 스위스가 그다음을 잇는 5개국이다. 주최측에 따르면 높은 점수는 부모의 관여, 양질의 교사, 그리고 높은 기대 수준에 기인한다고 한다.

제니 정(Jenny Jung) 학생은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녀에 따르면 한국에서의 수업들은 아침 8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그녀는 종종 개인 교습을 위해 선생님을 만나기도 했다.

“상대 평가 제도이기 때문에 피 말리게 경쟁합니다. 90점을 넘기면 A를 받고, 80점 이상이면 B를 받는 절대 평가 제도인 이곳과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최상위 비율에 든 학생들만 A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새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학생들은 수학에서 평균 이하로 평가되었고 읽기와 과학 과목에서는 평균 수준에 근접했다.

아니 던컨(Arne Duncan) 연방 교육부 장관(Education Secretary)은 조기 교육을 확대하고 양질의 교사를 확보하고자 한다고 말한다.

“사실상 우수한 결과를 보인 모든 국가들은 대학 졸업생 중 상위 30%에서 교사를 뽑고 있으며, 상위 10%에서만 교사를 뽑는 나라도 많습니다.”

던컨 장관은 국회의원들에게 올바른 선택을 할 것을 촉구했다.

“우리는 해야 할 옳은 일이 무엇인지 지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부재했던 것은 정치적 의지와 더불어 교육을 다음 단계로 진일보시키기 위한 절박감입니다.”

그러나 연구 결과는 재정이 유일한 해결책이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은 학생 한 명을 교육하는 데 약 11만 5천 달러를 지불한다. 이는 대부분의 나라들에 비해 많은 액수다. 슬로바키아(The Slovak Republic)는 미국이 지출하는 금액의 절반도 쓰지 않지만 양국은 비슷한 평가 결과를 기록했다.

앙헬 구리아(Angel Gurria) 씨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의 사무총장이다. 그는 미국을 향해 평가 점수가 향상되지 못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사태에 대해 경고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는 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보고서는 누군가 우리나라의 학생들보다 훨씬 뛰어난 학업 성취도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만약 이러한 상황이 수년간 지속된다면, 이들이 우리의 몫을 빼앗아 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학업 성취도는 생산성과 경쟁력, 수출, 일자리, 복지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평가는 단순히 학생들의 점수를 비교하는 차원이 아닌 것입니다.”

일부 관측자들은 이 연구가 세계의 작은 지역들과 큰 나라들을 비교한다는 이유로 비판해 왔다. 이들은 또한 이 테스트에는 창의성이나 비판적 사고에 대한 평가가 결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 학생들이 최고로 평가 받은 한 지역은 수학 능력에 자신감을 보였다. 이제 교사들이 해야 할 일은 이러한 자신감이 평가 점수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1 Super Computers Faster, More P… sim 03-18 4471
270 Winter Olympics Open in Sochi… sim 03-18 4127
269 U.S. Offers Russia Help with S… sim 03-14 4159
268 Is There an “Income Gap” in th… sim 03-13 3825
267 Anti-Muslim Attacks Rise in Br… sim 03-12 4229
266 President Obama Takes State of… sim 03-11 4042
265 Color of Night Light Could Aff… sim 03-10 4482
264 Asian Countries Top Internatio… sim 03-07 4553
263 Growing Debate Over GMO Banana… sim 03-06 5596
262 Meat Demand Leads to Changes i… sim 03-05 461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