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rowing Debate Over GMO Bananas in Uganda
The trees are healthy and green. But Andrew Kiggundu does not like what he sees.
“The disease on the leaves you see right now is not the wilt, it’s a different disease called black sigatoka. It is just killing off the leaves and causing significant yield loss. This is a big problem.”
Andrew Kiggundu works with th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lso known as NARO. The Ugandan government agency is developing genetically-engineered bananas. The new plants are meant to resist black sigatoka and banana bacterial wilt, which has been destroying large amounts of the country’s banana crop.
Uganda is the world’s top consumer of bananas. NARO Research Director Wilberforce Tushemereirwe says this is why it is so important to produce healthy plants.
“The disease keeps on moving around, and wiping out garden after garden, so you will go to areas where you find they have changed from banana to annual crops. And that has already introduced food insecurity, because they are not used to handling annual crops.”
The central African nation already permits test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r GMOs. Lawmakers are considering a bill that would permi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uch organisms throughout the country.
But some activists say genetically-modified organisms would be dangerou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Giregon Olupot is a soil biophysicist at Makerere University in Kampala.
“There are a range of options that risk to be wiped [out], just by this technology. With bananas, tissue culture has worked well to engineer healthy plants. You then take these plants to a clean garden and maintain field hygiene. Why are we not giving emphasis on that technology?”
Most genetically-modified seeds are patented. This means farmers must purchase them after each planting. Mr. Olupot says this might be possible for profitable farms, but smaller farms depend on their own seeds. In his opinion, selling genetically-modified seeds to small farmers could trap them.
“If you are to go commercial, it has to be on a large scale. Now, the farmers we are talking about, on average, have 0.4 hectares of land. It is simply not suitable for our farmers.”
A public institution is developing Uganda’s genetically-modified bananas. NARO says no patent laws will restrict their use. But Mr. Olupot says this would probably not be true with genetically-modified crops introduced to Uganda in the future.
Mr. Kiggundu says opponents of genetically-modified plants have been strong in their criticisms. He says many farmers are now afraid of GMOs.
“The disease on the leaves you see right now is not the wilt, it’s a different disease called black sigatoka. It is just killing off the leaves and causing significant yield loss. This is a big problem.”
Andrew Kiggundu works with th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lso known as NARO. The Ugandan government agency is developing genetically-engineered bananas. The new plants are meant to resist black sigatoka and banana bacterial wilt, which has been destroying large amounts of the country’s banana crop.
Uganda is the world’s top consumer of bananas. NARO Research Director Wilberforce Tushemereirwe says this is why it is so important to produce healthy plants.
“The disease keeps on moving around, and wiping out garden after garden, so you will go to areas where you find they have changed from banana to annual crops. And that has already introduced food insecurity, because they are not used to handling annual crops.”
The central African nation already permits test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r GMOs. Lawmakers are considering a bill that would permi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uch organisms throughout the country.
But some activists say genetically-modified organisms would be dangerou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Giregon Olupot is a soil biophysicist at Makerere University in Kampala.
“There are a range of options that risk to be wiped [out], just by this technology. With bananas, tissue culture has worked well to engineer healthy plants. You then take these plants to a clean garden and maintain field hygiene. Why are we not giving emphasis on that technology?”
Most genetically-modified seeds are patented. This means farmers must purchase them after each planting. Mr. Olupot says this might be possible for profitable farms, but smaller farms depend on their own seeds. In his opinion, selling genetically-modified seeds to small farmers could trap them.
“If you are to go commercial, it has to be on a large scale. Now, the farmers we are talking about, on average, have 0.4 hectares of land. It is simply not suitable for our farmers.”
A public institution is developing Uganda’s genetically-modified bananas. NARO says no patent laws will restrict their use. But Mr. Olupot says this would probably not be true with genetically-modified crops introduced to Uganda in the future.
Mr. Kiggundu says opponents of genetically-modified plants have been strong in their criticisms. He says many farmers are now afraid of GMOs.

significant 심각한, 중대한 / yield loss 수확량 감소 / genetically-engineered 유전자 공학에 의해 생성된(GE) / mean to 의도하다 / resist 저항하다 / wilt 위조병, 과꽃 시들음 병 / annual crop 한해살이 작물 / activist 운동가 / biophysicist 생물물리학자 / tissue culture 조직 배양 / hygiene 위생 / restrict 제한하다


우간다에서 유전자 조작 바나나에 대한 논란 커져
이 나무들은 건강하고 푸르다. 하지만 앤드류 키근두(Andrew Kiggundu) 씨는 자신이 보고 있는 이 나무들이 못마땅하다.
“여러분이 지금 보고 계시는 나뭇잎 표면의 질병은 시든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블랙 시가토카(black sigatoka)’라는 다른 질병입니다. 이것은 잎을 죽이고 수확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건 아주 심각한 문제죠.”
앤드류 키근두 씨는 “우간다 농업연구청(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NARO)”에서 일하고 있다. 이 우간다 정부 기관은 유전자 공학에 의해 생성된(GE) 바나나를 개발 중이다. 이 새로운 품종은 ‘블랙 시가토카’와 ‘바나나 세균성 시듦병(wilt)’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인데, 이러한 질병들로 인해 우간다 바나나 수확량의 상당 부분이 훼손되어 왔다.
우간다는 세계 최대 바나나 소비국이다. NARO의 연구원장인 윌버포스 투쉐머웨어웨이(Wilberforce Tushemereirwe) 씨는 양질의 식물 생산이 매우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질병은 계속 옮겨 다니며 정원들을 하나하나 완전히 파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 가면 예전에는 바나나를 재배했다가 이젠 한해살이 작물로 바꾼 토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이미 식품 불안정을 초래해 오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사람들이 한해살이 작물을 재배하는 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이 나라는 이미 유전자 조작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에 대한 실험을 허가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우간다에서 유전자 조작 식품의 개발과 유통을 허용하는 법안을 고려 중이다.
하지만 일부 운동가들은 유전자 조작 식품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위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레곤 올루포트(Giregon Olupot) 씨는 캄팔라(Kampala, 우간다의 수도) 소재 마케레레 대학교(Makerere University)의 토지 생물물리학자다.
“이 기술만으로도 위험 요소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안들이 있습니다. 바나나의 경우 건강한 식물의 유전자를 조작하기 위한 조직 배양이 잘 되어 왔습니다. 이후 이런 식물들을 깨끗한 정원에 가지고 가서 밭의 위생을 유지합니다. 우리가 이 기술에 역점을 두지 않을 이유가 뭐가 있겠습니까?”
대부분의 유전자 조작 씨앗들은 특허가 있다(특허를 받았다). 즉, 이는 농부들이 씨앗을 심은 후에 매번 씨앗을 구매해야만 함을 의미한다. 올로포트 교수에 따르면 이것은 수익을 내는 농장들 입장에서는 가능하겠지만, 소규모 농장들은 자신의 씨앗에 의존한다(그렇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한다. 유전자 조작 씨앗을 소규모 농장에 판매하는 것은 이들을 옭아맬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윤을 목적으로 한다면 대규모 농장이어야만 유전자 조작 씨앗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농부들은 평균 0.4헥타르의 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 농부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한 공공기관이 우간다의 유전자 조작 바나나를 개발하고 있다. 우간다 농업연구청은 어떤 특허법도 이것들이 사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올루포트 교수는 향후 우간다에 도입될 유전자 조작 작물에 대해서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말한다.
키근두 씨는 유전자 조작 식물에 대한 반대론자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높여왔으며, 이제 많은 농부들이 유전자 조작 식품을 두려워한다고 말한다.
“여러분이 지금 보고 계시는 나뭇잎 표면의 질병은 시든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블랙 시가토카(black sigatoka)’라는 다른 질병입니다. 이것은 잎을 죽이고 수확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건 아주 심각한 문제죠.”
앤드류 키근두 씨는 “우간다 농업연구청(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NARO)”에서 일하고 있다. 이 우간다 정부 기관은 유전자 공학에 의해 생성된(GE) 바나나를 개발 중이다. 이 새로운 품종은 ‘블랙 시가토카’와 ‘바나나 세균성 시듦병(wilt)’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인데, 이러한 질병들로 인해 우간다 바나나 수확량의 상당 부분이 훼손되어 왔다.
우간다는 세계 최대 바나나 소비국이다. NARO의 연구원장인 윌버포스 투쉐머웨어웨이(Wilberforce Tushemereirwe) 씨는 양질의 식물 생산이 매우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질병은 계속 옮겨 다니며 정원들을 하나하나 완전히 파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 가면 예전에는 바나나를 재배했다가 이젠 한해살이 작물로 바꾼 토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이미 식품 불안정을 초래해 오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사람들이 한해살이 작물을 재배하는 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이 나라는 이미 유전자 조작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에 대한 실험을 허가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우간다에서 유전자 조작 식품의 개발과 유통을 허용하는 법안을 고려 중이다.
하지만 일부 운동가들은 유전자 조작 식품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위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레곤 올루포트(Giregon Olupot) 씨는 캄팔라(Kampala, 우간다의 수도) 소재 마케레레 대학교(Makerere University)의 토지 생물물리학자다.
“이 기술만으로도 위험 요소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안들이 있습니다. 바나나의 경우 건강한 식물의 유전자를 조작하기 위한 조직 배양이 잘 되어 왔습니다. 이후 이런 식물들을 깨끗한 정원에 가지고 가서 밭의 위생을 유지합니다. 우리가 이 기술에 역점을 두지 않을 이유가 뭐가 있겠습니까?”
대부분의 유전자 조작 씨앗들은 특허가 있다(특허를 받았다). 즉, 이는 농부들이 씨앗을 심은 후에 매번 씨앗을 구매해야만 함을 의미한다. 올로포트 교수에 따르면 이것은 수익을 내는 농장들 입장에서는 가능하겠지만, 소규모 농장들은 자신의 씨앗에 의존한다(그렇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한다. 유전자 조작 씨앗을 소규모 농장에 판매하는 것은 이들을 옭아맬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윤을 목적으로 한다면 대규모 농장이어야만 유전자 조작 씨앗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농부들은 평균 0.4헥타르의 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 농부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한 공공기관이 우간다의 유전자 조작 바나나를 개발하고 있다. 우간다 농업연구청은 어떤 특허법도 이것들이 사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올루포트 교수는 향후 우간다에 도입될 유전자 조작 작물에 대해서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말한다.
키근두 씨는 유전자 조작 식물에 대한 반대론자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높여왔으며, 이제 많은 농부들이 유전자 조작 식품을 두려워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