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ve You Heard of the Golden Rule?
Throughout history, gold has been a sign of purity, beauty and power. Calling something "golden" means it has great quality and value.
For example, the “golden rule” is possibly the world’s most widespread moral rule. It says people should treat others the way they themselves would like to be treated. Every major religion has its own version of this idea.
The “golden ratio” is found in art, architecture and nature. It describes a rectangle with a length about one and one-half times its width. Objects using this ratio in their design seem to please the eye more than others.
Philosophers have their own golden idea. The “golden mean” says moderation in all things is the best way to live one’s life. It is an idea linked to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Aristotle. Similar thoughts exist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ncient Greek myths told of a time long ago when people lived in peace and happiness. Poets called it “The Golden Age.” A golden age now describes a historical period of great artistic, scientific or economic progress. It can even recall a time of success and popularity for an industry. For example, the 1930s and 40s were called “The Golden Age of Radio.”
You may have heard the proverb “silence is golden.” This means silence is of great value -- it is sometimes better to say nothing than to speak.
You might say your child was “good as gold” when he behaved well at school. British writer Charles Dickens used this expression in 1843. He was describing the child Tiny Tim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In 1937, American playwright Clifford Odets wrote a play called “The Golden Boy.” This expression describes a young man who has many good qualities and a bright future.
You might tell someone “you are golden” when that person does something very well.
“Gold-digger” is another description. But this does not say something nice about a person. A “gold-digger” is someone who seeks to marry a rich person because he or she is only interested in that person’s money.
Maybe you like old songs from the 1950s or 60s that are still well known and popular today. These are called “golden oldies.”
In the 1980s and 90s, an American television comedy series told about four older women living in Miami, Florida. “The Golden Girls” often dealt with social issues in a funny way.
Today, most older people look forward to reaching their “golden years.” This is when hard-working people can retire to a life of ease and fulfillment.
For example, the “golden rule” is possibly the world’s most widespread moral rule. It says people should treat others the way they themselves would like to be treated. Every major religion has its own version of this idea.
The “golden ratio” is found in art, architecture and nature. It describes a rectangle with a length about one and one-half times its width. Objects using this ratio in their design seem to please the eye more than others.
Philosophers have their own golden idea. The “golden mean” says moderation in all things is the best way to live one’s life. It is an idea linked to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Aristotle. Similar thoughts exist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ncient Greek myths told of a time long ago when people lived in peace and happiness. Poets called it “The Golden Age.” A golden age now describes a historical period of great artistic, scientific or economic progress. It can even recall a time of success and popularity for an industry. For example, the 1930s and 40s were called “The Golden Age of Radio.”
You may have heard the proverb “silence is golden.” This means silence is of great value -- it is sometimes better to say nothing than to speak.
You might say your child was “good as gold” when he behaved well at school. British writer Charles Dickens used this expression in 1843. He was describing the child Tiny Tim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In 1937, American playwright Clifford Odets wrote a play called “The Golden Boy.” This expression describes a young man who has many good qualities and a bright future.
You might tell someone “you are golden” when that person does something very well.
“Gold-digger” is another description. But this does not say something nice about a person. A “gold-digger” is someone who seeks to marry a rich person because he or she is only interested in that person’s money.
Maybe you like old songs from the 1950s or 60s that are still well known and popular today. These are called “golden oldies.”
In the 1980s and 90s, an American television comedy series told about four older women living in Miami, Florida. “The Golden Girls” often dealt with social issues in a funny way.
Today, most older people look forward to reaching their “golden years.” This is when hard-working people can retire to a life of ease and fulfillment.

purity 순수성 / quality 우수함, 질 / widespread 널리 알려진 / moral 도덕적인 / version 판 / architecture 건축 / width 넓이 / ratio 비율 / philosopher 철학자 / moderation 적당함, 절재 / Confucianism 유교 / playwright 극작가 / deal with 다루다 / social issue 사회적 문제


황금률에 대해 들어봤는가?
역사적으로, 금은 순수함, 아름다움 그리고 힘을 상징해왔다. 무언가를 “황금빛(golden)”이라고 부르면 그것이 아주 우수한 품질과 대단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황금률(the golden rule)”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윤리 원칙일 것이다. 이는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요 종교들은 모두 이와 비슷한 원칙을 저마다 가지고 있다.
“황금비(golden ratio)”는 미술, 건축 그리고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세로 길이가 가로에 비해 1.5배 정도 긴 직사각형을 묘사한다. 디자인적으로 이 비율을 사용하는 물체는 다른 것들에 비해 시각적으로 더 보기 좋다고 할 수 있다.
철학자들은 그들만의 황금빛 발상을 가지고 있다. “중용(golden mean)”은 무슨 일이든 적당히 하는 것이 가장 잘 사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Greek)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와 관계된 사상이다. 불교(Buddhism)와 유교(Confucianism)에도 이와 비슷한 사상이 존재한다.
고대 그리스(Ancient Greek) 신화는 사람들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던 오래전 시대에 관해 이야기해준다. 시인들은 이때를 “황금시대(The Golden Age)라 부른다. 이제 황금시대는 위대한 예술적, 과학적 또는 경제적 진보가 있었던 역사적인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는 한 업계가 성공적이고 인기 있던 시기를 떠올리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930년대와 40년대는 “라디오의 황금시대(The Golden Age of Radio)”라고 불렸다.
당신은 아마도 “침묵은 금이다(silence is golden)”라는 속담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는 침묵은 큰 가치를 지녔다는 뜻이다. 때로는 말을 하기보다는 침묵을 지키는 편이 낫다.
당신은 자녀가 학교에서 처신을 잘했을 때 “얌전하다/예의 바르다/착하다(good as gold)”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영국의 한 작가인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는 1843년에 이 표현을 사용했다. 그는 “크리스마스 캐럴(A Christmas Carol)”이라는 책 속의 어린아이 타이니 팀(Tiny Tim)을 설명하고 있었다.
1937년 미국의 극작가 클리퍼드 오데츠(Clifford Odets) 씨는 “골든 보이(The Golden Boy)”라는 연극을 썼다. 이는 많은 장점과 밝은 미래를 가진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당신은 누군가가 무언가를 매우 잘 해내면 그에게 “당신은 참 멋지군요(you are golden).”라고 말할 수 있다.
“꽃뱀(Gold-digger)”은 또 다른 표현이다. 하지만 이는 사람에 관해 좋은 점을 말하지 않는다. “꽃뱀”이란 상대방의 돈에만 관심이 있어서 부자와 결혼하려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당신은 오늘날에도 잘 알려진 인기 있는 50~60년대의 옛날 노래를 좋아할 수도 있다. 이런 노래들을 “추억의 노래(golden oldies)”라고 부른다.
80~90년대 미국의 어느 텔레비전 코미디 시리즈는 플로리다(Florida) 주 마이애미(Miami)에 사는 네 명의 노부인의 삶을 보여줬다. “골든 걸즈(The Golden Girls)”는 주로 사회적 문제를 재미있는 방식으로 다뤘다.
오늘날 대부분의 나이 든 사람들은 자신의 “노후(golden years)”가 오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이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안락하고 성취된 삶으로 은퇴할 수 있는 시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황금률(the golden rule)”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윤리 원칙일 것이다. 이는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요 종교들은 모두 이와 비슷한 원칙을 저마다 가지고 있다.
“황금비(golden ratio)”는 미술, 건축 그리고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세로 길이가 가로에 비해 1.5배 정도 긴 직사각형을 묘사한다. 디자인적으로 이 비율을 사용하는 물체는 다른 것들에 비해 시각적으로 더 보기 좋다고 할 수 있다.
철학자들은 그들만의 황금빛 발상을 가지고 있다. “중용(golden mean)”은 무슨 일이든 적당히 하는 것이 가장 잘 사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Greek)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와 관계된 사상이다. 불교(Buddhism)와 유교(Confucianism)에도 이와 비슷한 사상이 존재한다.
고대 그리스(Ancient Greek) 신화는 사람들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던 오래전 시대에 관해 이야기해준다. 시인들은 이때를 “황금시대(The Golden Age)라 부른다. 이제 황금시대는 위대한 예술적, 과학적 또는 경제적 진보가 있었던 역사적인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는 한 업계가 성공적이고 인기 있던 시기를 떠올리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930년대와 40년대는 “라디오의 황금시대(The Golden Age of Radio)”라고 불렸다.
당신은 아마도 “침묵은 금이다(silence is golden)”라는 속담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는 침묵은 큰 가치를 지녔다는 뜻이다. 때로는 말을 하기보다는 침묵을 지키는 편이 낫다.
당신은 자녀가 학교에서 처신을 잘했을 때 “얌전하다/예의 바르다/착하다(good as gold)”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영국의 한 작가인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는 1843년에 이 표현을 사용했다. 그는 “크리스마스 캐럴(A Christmas Carol)”이라는 책 속의 어린아이 타이니 팀(Tiny Tim)을 설명하고 있었다.
1937년 미국의 극작가 클리퍼드 오데츠(Clifford Odets) 씨는 “골든 보이(The Golden Boy)”라는 연극을 썼다. 이는 많은 장점과 밝은 미래를 가진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당신은 누군가가 무언가를 매우 잘 해내면 그에게 “당신은 참 멋지군요(you are golden).”라고 말할 수 있다.
“꽃뱀(Gold-digger)”은 또 다른 표현이다. 하지만 이는 사람에 관해 좋은 점을 말하지 않는다. “꽃뱀”이란 상대방의 돈에만 관심이 있어서 부자와 결혼하려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당신은 오늘날에도 잘 알려진 인기 있는 50~60년대의 옛날 노래를 좋아할 수도 있다. 이런 노래들을 “추억의 노래(golden oldies)”라고 부른다.
80~90년대 미국의 어느 텔레비전 코미디 시리즈는 플로리다(Florida) 주 마이애미(Miami)에 사는 네 명의 노부인의 삶을 보여줬다. “골든 걸즈(The Golden Girls)”는 주로 사회적 문제를 재미있는 방식으로 다뤘다.
오늘날 대부분의 나이 든 사람들은 자신의 “노후(golden years)”가 오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이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안락하고 성취된 삶으로 은퇴할 수 있는 시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