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You Feel About Yourself Affects Your Work
A new study says people who feel they lack social power find it harder to perform physical work. The researchers say their study is the first to show that people who believe they lack influence in society feel the weight of the world.
Eun Hee Lee is a candidate for a doctoral degree in the psychology department at Britain’s University of Cambridge. She says the people in the study were not suffering from the continuing deep sadness known as clinical depression.
Instead, Ms. Lee said, the study was based on how the participants saw themselves. They rated themselves on what level they thought they held in the social order. They compared themselves to people they thought of as powerful and in control. She described what the study team meant by “powerful.”
“We defined being powerful as the one who has control over their own and others’ resources; whereas being powerless as being the ones who [don’t] have their control over theirs and others’ resources, and also have to [be] dependent to gain the resources that they need.”
She said powerless people continually feel unsure. Researchers in the study examined participants to learn their feelings about their status, or level, in society. They presented them with a statement such as, “I can get people to listen to what I sa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ft a number of boxes and guess their weight. The more powerless the people, the higher they estimated the weight of the containers.
In a second test the researchers asked participants to sit in ways that seemed powerful. In one example they sat with one elbow on the arm of a chair. That position is domineering, or commanding. Or, they sat with their hands under their thighs, a restrictive position. People in the restrictive positions thought the boxes weighed more than they really did. Those who sat in the more powerful way made better estimates of the boxes’ weight.
Finally, a number of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member a time in which they felt powerful or powerless. Those who thought of a powerful time gave the best answers for the weight of several boxes. Those who remembered moments of powerlessness repeatedly said the boxes were heavier than they were.
Ms. Lee believes feelings of lack of power in humans might have developed from prehistoric times. She says it might have been a way to keep early man from using up limited resources. But she says that today, these feelings might not be good for people at work.
“It might mean we are kind of preventing ourselves automatically putting 100 percent effort into the work without us realizing [it], which could be damagin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published the study.
Eun Hee Lee is a candidate for a doctoral degree in the psychology department at Britain’s University of Cambridge. She says the people in the study were not suffering from the continuing deep sadness known as clinical depression.
Instead, Ms. Lee said, the study was based on how the participants saw themselves. They rated themselves on what level they thought they held in the social order. They compared themselves to people they thought of as powerful and in control. She described what the study team meant by “powerful.”
“We defined being powerful as the one who has control over their own and others’ resources; whereas being powerless as being the ones who [don’t] have their control over theirs and others’ resources, and also have to [be] dependent to gain the resources that they need.”
She said powerless people continually feel unsure. Researchers in the study examined participants to learn their feelings about their status, or level, in society. They presented them with a statement such as, “I can get people to listen to what I sa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ft a number of boxes and guess their weight. The more powerless the people, the higher they estimated the weight of the containers.
In a second test the researchers asked participants to sit in ways that seemed powerful. In one example they sat with one elbow on the arm of a chair. That position is domineering, or commanding. Or, they sat with their hands under their thighs, a restrictive position. People in the restrictive positions thought the boxes weighed more than they really did. Those who sat in the more powerful way made better estimates of the boxes’ weight.
Finally, a number of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member a time in which they felt powerful or powerless. Those who thought of a powerful time gave the best answers for the weight of several boxes. Those who remembered moments of powerlessness repeatedly said the boxes were heavier than they were.
Ms. Lee believes feelings of lack of power in humans might have developed from prehistoric times. She says it might have been a way to keep early man from using up limited resources. But she says that today, these feelings might not be good for people at work.
“It might mean we are kind of preventing ourselves automatically putting 100 percent effort into the work without us realizing [it], which could be damagin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published the study.

lack 부족하다 / social power 사회적 힘 / perform 수행하다 / influence 영향 / society 사회 / candidate 후보 / doctoral degree 박사 학위 / participant 참가자 / define 정의하다 / resource 자원 / estimate 예측하다 / domineering 지배하려 드는 / commanding 위엄 있는, 지휘하는(입장에 있는) / powerlessness 약함 / prehistoric 선사 시대의


자신감에 영향받는 업무
새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힘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육체적 노동을 수행하는 데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자신들의 연구가 사회 영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세상의 모든 짐을 짊어지고 있다고 느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첫 연구라고 이야기한다.
이은희 씨는 영국(Britain)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심리학과의 박사 후보자이다. 그녀는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임상 우울증으로 알려진 지속적인 깊은 슬픔으로부터 고통받고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대신 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고 이 씨는 말했다. 참가자들은 사회 체계 안에서 자신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자신을 평가했다. 이들은 힘 있고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했다. 그녀는 연구팀이 “힘 있다”고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했다.
“저희는 힘이 있다는 것이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자원에 대한 통제력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했습니다. 반면 힘이 없는 사람은 자신 또는 다른 이들의 자원에 대한 통제력이 없고 필요한 자원을 얻기 위해서는 의존적이어야 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녀는 힘이 없는 사람은 계속 불안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사회에서의 신분 또는 수준에 대한 참가자들의 생각을 알기 위해 그들을 조사했다. 이들은 “저는 제가 하는 말에 사람들이 귀 기울이게 만들 수 있어요.”와 같은 표현을 그들에게 제시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여러 상자를 들어 올린 후 상자의 무게를 맞추도록 요청받았다. 힘이 없는 사람일수록 상자의 무게를 더 높게 추정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힘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앉으라고 요청했다. 한 예로, 사람들은 의자의 팔걸이에 팔꿈치를 올린 채로 앉았다. 이는 권세를 부리거나 지휘하는 입장의 자세이다. 아니면 사람들은 손을 허벅지 아래에 둔 채로 앉았다. 이는 제한적인 자세이다. 제한적인 자세로 앉은 사람들은 상자를 실제보다 더 무겁다고 생각했다. 더 영향력 있는 자세로 앉은 사람은 상자의 무게에 대해 더 나은 예측을 했다.
마지막으로 몇몇 참가자들은 자신이 영향력 있었다고 느꼈던 경우, 그리고 영향력이 없었다고 느낀 경우를 떠올려야 했다. 영향력이 있었던 때를 생각한 사람들은 몇몇 상자의 무게에 대해 가장 좋은 답을 제시했다. 영향력이 없었던 때를 떠올린 사람들은 상자가 원래 무게보다 더 무겁다는 답을 계속 제시했다.
이 씨는 인간이 가진 영향력 부족에 관한 느낌은 선사 시대로부터 이어져 왔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이것이 고대인들이 제한된 자원을 모두 고갈시키지 않도록 해준 하나의 방법이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녀는 오늘날 이러한 감정이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사이 무의식적으로 업무에 100% 노력을 쏟아붓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뜻일지도 모르는데 이것은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익스페리멘털 바이올로지(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생물학 실험) 지에 실렸다.
이은희 씨는 영국(Britain)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심리학과의 박사 후보자이다. 그녀는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임상 우울증으로 알려진 지속적인 깊은 슬픔으로부터 고통받고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대신 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고 이 씨는 말했다. 참가자들은 사회 체계 안에서 자신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자신을 평가했다. 이들은 힘 있고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했다. 그녀는 연구팀이 “힘 있다”고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했다.
“저희는 힘이 있다는 것이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자원에 대한 통제력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했습니다. 반면 힘이 없는 사람은 자신 또는 다른 이들의 자원에 대한 통제력이 없고 필요한 자원을 얻기 위해서는 의존적이어야 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녀는 힘이 없는 사람은 계속 불안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사회에서의 신분 또는 수준에 대한 참가자들의 생각을 알기 위해 그들을 조사했다. 이들은 “저는 제가 하는 말에 사람들이 귀 기울이게 만들 수 있어요.”와 같은 표현을 그들에게 제시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여러 상자를 들어 올린 후 상자의 무게를 맞추도록 요청받았다. 힘이 없는 사람일수록 상자의 무게를 더 높게 추정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힘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앉으라고 요청했다. 한 예로, 사람들은 의자의 팔걸이에 팔꿈치를 올린 채로 앉았다. 이는 권세를 부리거나 지휘하는 입장의 자세이다. 아니면 사람들은 손을 허벅지 아래에 둔 채로 앉았다. 이는 제한적인 자세이다. 제한적인 자세로 앉은 사람들은 상자를 실제보다 더 무겁다고 생각했다. 더 영향력 있는 자세로 앉은 사람은 상자의 무게에 대해 더 나은 예측을 했다.
마지막으로 몇몇 참가자들은 자신이 영향력 있었다고 느꼈던 경우, 그리고 영향력이 없었다고 느낀 경우를 떠올려야 했다. 영향력이 있었던 때를 생각한 사람들은 몇몇 상자의 무게에 대해 가장 좋은 답을 제시했다. 영향력이 없었던 때를 떠올린 사람들은 상자가 원래 무게보다 더 무겁다는 답을 계속 제시했다.
이 씨는 인간이 가진 영향력 부족에 관한 느낌은 선사 시대로부터 이어져 왔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이것이 고대인들이 제한된 자원을 모두 고갈시키지 않도록 해준 하나의 방법이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녀는 오늘날 이러한 감정이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사이 무의식적으로 업무에 100% 노력을 쏟아붓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뜻일지도 모르는데 이것은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익스페리멘털 바이올로지(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생물학 실험) 지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