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uman Rights Plays a Part in Birth Contro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ays human rights must be respected and protected when women seek birth control services. The WHO recently produced new guidance on the subject for policymaker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 guidelines were released earlier this month in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Women’s Day.
Bob Doughty has more.
The WHO estimates that more than 220 million women are not able to meet their needs for birth control. It says the most threatened are poor women, those living with HIV and women displaced by armed conflict or other causes.
Marleen Temmerman directs the WHO’s 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She praises the fact that the words “human rights” are included in the name of the WHO guidance statement.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guidance from the WHO where human rights is actually in the title – and not only in the title, but also in the content of the guidelines. We have guidelines for contraceptive use ((birth control)) from a medical perspective, looking at what is safe – what are the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 what are the contraindications and so on. But now we have worked towards ensuring human rights in the contraceptive guidelines.”
The WHO has been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the past year. Dr. Temmerman says a number of women’s needs should receive special attention.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human rights principles such as acceptability, accessibility, affordability choice, informed consent are high in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suggest providing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to women and girls. They include family planning information and methods to prevent pregnancy. Dr. Temmerman notes that reducing deaths of mothers involving childbirth is fifth on the list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she says politicians have been giving more attention to birth control in their policy planning in recent years.
“And that, of course, is linked to better care, better antenatal care, better delivery care, but also to the rights of a woman to decide when she will get pregnant – how many children she wants.”
The doctor says millions of women must seek permission from their husbands to get help with birth control. At the same time, teenage girls need permission from their parents or guardians. Many young boys also need to have modern contraception help.
Dr. Temmerman says many women are forced into their decisions about whether to become pregnant – or not. Family members, the community and cultural and religious barriers may make these decisions for them. And she says some governments order women to have tubal ligation surgeries. These operations make a woman unable to bear children.
She further says teenage girls who become pregnant may face severe threats. The WHO estimates that 16 million girls between ages 15 and 19 give birth each year. This happens mostly in countries where the majority of people do not earn much money.
Many pregnant adolescent girls face dangerous conditions and death. Dr. Temmerman called this, a “huge health burden.”
Bob Doughty has more.
The WHO estimates that more than 220 million women are not able to meet their needs for birth control. It says the most threatened are poor women, those living with HIV and women displaced by armed conflict or other causes.
Marleen Temmerman directs the WHO’s 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She praises the fact that the words “human rights” are included in the name of the WHO guidance statement.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guidance from the WHO where human rights is actually in the title – and not only in the title, but also in the content of the guidelines. We have guidelines for contraceptive use ((birth control)) from a medical perspective, looking at what is safe – what are the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 what are the contraindications and so on. But now we have worked towards ensuring human rights in the contraceptive guidelines.”
The WHO has been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the past year. Dr. Temmerman says a number of women’s needs should receive special attention.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human rights principles such as acceptability, accessibility, affordability choice, informed consent are high in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suggest providing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to women and girls. They include family planning information and methods to prevent pregnancy. Dr. Temmerman notes that reducing deaths of mothers involving childbirth is fifth on the list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she says politicians have been giving more attention to birth control in their policy planning in recent years.
“And that, of course, is linked to better care, better antenatal care, better delivery care, but also to the rights of a woman to decide when she will get pregnant – how many children she wants.”
The doctor says millions of women must seek permission from their husbands to get help with birth control. At the same time, teenage girls need permission from their parents or guardians. Many young boys also need to have modern contraception help.
Dr. Temmerman says many women are forced into their decisions about whether to become pregnant – or not. Family members, the community and cultural and religious barriers may make these decisions for them. And she says some governments order women to have tubal ligation surgeries. These operations make a woman unable to bear children.
She further says teenage girls who become pregnant may face severe threats. The WHO estimates that 16 million girls between ages 15 and 19 give birth each year. This happens mostly in countries where the majority of people do not earn much money.
Many pregnant adolescent girls face dangerous conditions and death. Dr. Temmerman called this, a “huge health burden.”

human rights 인권 / play a part 역할을 하다, 일조하다 / respect 존중하다 / seek 찾다, 추구하다 / birth control 피임, 산아 제한 / guidance 안내 / policy maker 정책 입안자 / healthcare 건강 관리 / estimate 추측하다, 추산하다 / displace 추방되다, 쫓겨나다 / armed conflict 무력 분쟁 / reproductive 생식의, 번식의 / contraceptive 피임, 피임약 / perspective 관점, 견해, 시각, 전망, 가능성 / contraindication 사용 금지 사유 / acceptability 용인(가능)성 / accessibility 접근(가능)성 / affordibility 구매력, 구입할 여유 / consent 동의 / antenatal 출산 전의 / guardian 보호자, 수호자 / barrier 장벽, 장애(물)


피임에 일조하는 인권
세계보건기구(WH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여성이 피임 서비스를 찾을 경우에 인권이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최근 정책 입안자들과 의료인들을 위해 이 문제에 관한 새로운 안내서를 만들었다. 이 같은 지침은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에 맞춰서 이달 초에 발표되었다.
밥 도허티(Bob Doughty) 기자가 전한다.
세계보건기구는 피임을 위해 필요한 도움을 못 받는 여성이 2억 2,0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가난한 여성이나 HIV에 걸린 여성 그리고 무력 분쟁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난민이 된 여성들이 가장 위협받고 있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의 생식 보건 및 연구 부(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를 맡고 있는 말린 테머만(Marleen Temmerman) 씨는 세계보건기구 지침서 성명의 이름에 “인권”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다는 사실에 찬사를 보낸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행한 안내서에 인권이라는 단어가 제목에 포함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리고 제목뿐만 아니라 지침 내용에도 포함되어 있죠. 우리에게는 피임약을 사용할 때 의학적 적합 기준과 같은 안정성 여부, 사용 금지 사유 등을 참고할 수 있는 의학적 관점에서의 지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피임 지침에 인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저희는 노력해왔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지난 한 해 동안 지침을 고안해왔다. 테머만 박사는 상당수 여성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들에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저희는 반드시 용인 가능성, 접근 가능성, 경제적인 선택, 그리고 사전 동의와 같은 인권 원칙들이 이 지침서에서 우선시 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이 지침은 여성과 여자아이들에게 성 기능 및 출산 관련 공공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에는 가족계획 정보와 임신 예방을 위한 방법이 포함된다. 테머만 박사는 출산 중 산모 사망률을 줄이는 것이 새천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목록에서 5번째 순위에 있다고 언급한다. 또한, 그녀에 따르면 정치인들은 최근 몇 년간 정책기획 시 피임에 더 큰 관심을 두어 왔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물론 더 나은 보살핌, 더 나은 출산 전 관리, 그리고 더 나은 출산 관리와 연관이 있지만, 또한 여성이 언제 임신을 하고 몇 명의 아이를 낳고자 하는지에 대해 결정할 권리에도 연관이 있습니다.”
테머만 박사는 수백만 명의 여성들은 피임과 관련된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남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동시에 십 대 여성들은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많은 어린 남자아이들도 현대적인 피임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테머만 박사는 많은 여성은 임신할지 말지에 관한 자신의 결정을 강요당한다고 한다. 가족, 공동체 그리고 문화적 또는 종교적인 장벽이 여성들 대신 이러한 결정을 내려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녀는 여성들로 하여금 불임 수술을 받도록 명령하는 정부들도 있다고 말한다. 이 같은 수술을 받게 되면 여성은 더는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된다.
그녀는 임신하는 십 대 소녀들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세계보건기구는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소녀들 가운데 아이를 낳는 소녀들은 매년 1,6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한다. 이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많은 돈을 벌지 못하는 나라에서 자주 일어난다.
많은 청소년 임산부들은 위험한 질병과 죽음에 직면하고 있다. 테머만 박사는 이를 “엄청난 건강 부담”이라고 부른다.
밥 도허티(Bob Doughty) 기자가 전한다.
세계보건기구는 피임을 위해 필요한 도움을 못 받는 여성이 2억 2,0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가난한 여성이나 HIV에 걸린 여성 그리고 무력 분쟁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난민이 된 여성들이 가장 위협받고 있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의 생식 보건 및 연구 부(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를 맡고 있는 말린 테머만(Marleen Temmerman) 씨는 세계보건기구 지침서 성명의 이름에 “인권”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다는 사실에 찬사를 보낸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행한 안내서에 인권이라는 단어가 제목에 포함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리고 제목뿐만 아니라 지침 내용에도 포함되어 있죠. 우리에게는 피임약을 사용할 때 의학적 적합 기준과 같은 안정성 여부, 사용 금지 사유 등을 참고할 수 있는 의학적 관점에서의 지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피임 지침에 인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저희는 노력해왔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지난 한 해 동안 지침을 고안해왔다. 테머만 박사는 상당수 여성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들에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저희는 반드시 용인 가능성, 접근 가능성, 경제적인 선택, 그리고 사전 동의와 같은 인권 원칙들이 이 지침서에서 우선시 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이 지침은 여성과 여자아이들에게 성 기능 및 출산 관련 공공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에는 가족계획 정보와 임신 예방을 위한 방법이 포함된다. 테머만 박사는 출산 중 산모 사망률을 줄이는 것이 새천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목록에서 5번째 순위에 있다고 언급한다. 또한, 그녀에 따르면 정치인들은 최근 몇 년간 정책기획 시 피임에 더 큰 관심을 두어 왔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물론 더 나은 보살핌, 더 나은 출산 전 관리, 그리고 더 나은 출산 관리와 연관이 있지만, 또한 여성이 언제 임신을 하고 몇 명의 아이를 낳고자 하는지에 대해 결정할 권리에도 연관이 있습니다.”
테머만 박사는 수백만 명의 여성들은 피임과 관련된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남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동시에 십 대 여성들은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많은 어린 남자아이들도 현대적인 피임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테머만 박사는 많은 여성은 임신할지 말지에 관한 자신의 결정을 강요당한다고 한다. 가족, 공동체 그리고 문화적 또는 종교적인 장벽이 여성들 대신 이러한 결정을 내려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녀는 여성들로 하여금 불임 수술을 받도록 명령하는 정부들도 있다고 말한다. 이 같은 수술을 받게 되면 여성은 더는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된다.
그녀는 임신하는 십 대 소녀들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세계보건기구는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소녀들 가운데 아이를 낳는 소녀들은 매년 1,6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한다. 이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많은 돈을 벌지 못하는 나라에서 자주 일어난다.
많은 청소년 임산부들은 위험한 질병과 죽음에 직면하고 있다. 테머만 박사는 이를 “엄청난 건강 부담”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