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4-17 09:15

Asiana Airlines Makes Changes in Pilot Training

Asiana Airlines wants to improve communication in the airplane’s cockpit – the enclosed area where pilots sit. An American investigation found that cockpit culture and pilot training may have been an issue in the crash of an Asiana plane last July.

“Tower, good morning. Asiana 214 on final, seven miles south…”

Asiana Flight 214, a Boeing 777, crash landed short of the runway at the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in California.

Radio Communication: “Everybody calling, stand by…”

Three people died and 180 others were hurt.

Tower Controller: “United 885, roger, we have emergency vehicles responding.” United Airlines Employee: “Between the runways, right adjacent to the [runway] numbers, we can see about two or three people that are moving and apparently survived.” Controller: “Roger.”

Last August, VOA was the first media organization to report that the crash could be linked to the way pilots treat each other in the cockpit.

Usually, when such issues happen, it is a matter of pilots not wishing to question a decision, which they feel to be dangerous, when made by the captain, or senior pilot.

But the Asiana crash resulted from a different kind of failure to communicate.

The US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held a hearing on it in December.

Investigators said the pilot making the landing was being trained by a more experienced “Triple-7” pilot, and was afraid to tell his training pilot that he wanted to cancel the landing and try again. This was because Korean culture would not have allowed him to speak up, even though cockpit alarms were sounding, warning that the plane was at too low a speed and not correctly positioned for landing.

Now, Asiana Airlines is changing the way it trains pilots. The company will urge more open discussion among pilots about flying decisions. Pilots will depend less on years working for the company, military service or age.

David Kirstein works in aviation regulatory law for Kirstein and Young, a Washington-based law group. “Why would you have two pilots in the airplane if they aren’t going to talk to each other?”

He also says the new training does not surprise him.

“There’s probably pressure from US aviation officials, or the NTSB, or their own government. There may be a fall-off in traffic that consumers are worried about if people aren’t flying. I mean that’s the most motivating factor there is.”

While many airlines have already put in place “Cockpit Resource Management,” the idea of open communication in the cockpit, the head of Asiana Airlines has admitted that many of their pilots work and fly within a strict military order.

David Kirstein says other airlines should note the changes at Asiana. He says they also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open communication in the cockpit.
communication 의사소통, 연락 / cockpit 조종석 / enclosed 사방이 막힌, 밀폐된 / investigation 조사 / respond 응답하다 / apparently 보아하니, 명백히 / issue 문제 / decision 결정 / failure 실패 / position 위치하다 / urge 촉구하다 / aviation 항공 / regulatory 규제 / pressure 부담, 압박 / motivating 동기를 부여하는
조종사 교육에 변화를 준 아시아나 항공
아시아나 항공(Asiana Airlines)은 조종사가 앉는 밀폐된 공간인 비행기 조종석 안에서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싶어한다. 미국의 한 조사에서 조종석 문화와 조종사 교육이 지난 7월 아시아나 비행기의 추락사고와 관련이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관제탑, 좋은 아침입니다. 아시아나 214편, 현재 위치 남쪽 7마일 지점...”

보잉 777(Boeing 777) 기종인 아시아나 214(Asiana Flight 214)편은 캘리포니아(California) 주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의 활주로에 못 미쳐 불시착했다.

라디오 통신: “모두에게 알린다. 전원 대기...”

세 명의 승객이 사망하였고 180명이 부상당했다.

타워 관제관(Tower Controller): “유나이티드 885편, 알았다. 비상 차량 응답 들어오고 있다.”

유나이티드 항공 직원(United Airlines): “활주로 사이 (활주로) 번호 바로 옆에 두세 명이 누워있는 모습이 보인다. 움직임이 있는 걸 보니 살아 있는 것 같다.

관제관: “알았다.”

지난 8월, 조종사가 조종석에서 서로 대하는 방식이 추락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처음 보도한 언론매체가 바로 VOA였다.

대체로 이러한 일이 생길 때, 기장이나 선임 조종사가 내린 결정이라면 조종사들은 위험하다고 느끼더라도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점이 바로 문제이다.

그러나 아시아나 추락 사고는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 실패가 원인이었다.

미국 연방 교통안전 위원회(US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는 이에 대한 공청회를 12월에 열었다.

조사관들은 착륙을 시도한 조종사가 경력이 더 풍부한 트리플 7(Triple-7) 조종사로부터 교육을 받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래서 자신의 교육관 조종사에게 착륙을 취소하고 다시 시도하고 싶다는 말을 하기가 두려웠다고 한다. 당시 비행 속도가 너무 느린 상태이고 정확한 착륙 위치가 아니었음을 알리는 조종석 경고등이 울리고 있었음에도 한국 문화에서는 그가 자신의 의견을 당당하게 밝히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아시아나 항공은 조종사 교육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 조종사 간 비행 결정에 관해 더욱 솔직한 대화를 권고할 것이다. 조종사들은 앞으로 근무연수나 군 복무 또는 나이에 덜 의존하게 될 것이다.

데이비드 커스타인(David Kirstein) 씨는 워싱턴(Washington)에 기반을 둔 법률 단체인 커스타인 앤 영(Kirstein and Young)에서 항공규제법을 담당하고 있다.

“서로 대화도 안 할 거면 비행기 안에 두 명의 조종사를 둘 필요가 뭐가 있겠습니까?”

그는 새로운 교육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한다.

미 항공 관계자들이나 국가교통안전국(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또는 한국의 정부로부터 압력이 있을 것입니다. 사람들이 항공편을 이용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운항량 감소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즉, 그것이 바로 가장 큰 동기부여 요소란 말이죠.”

많은 항공사가 이미 조종석에서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조종석 자원 관리(CRM: Cockpit Resource Management)”를 시행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나 항공의 책임자는 자사의 많은 조종사들이 엄격한 군대 질서 속에서 일하며 비행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데이비드 커스타인 씨는 다른 항공사들도 아시아나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그들이 또한 조종석에서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1 Human Rights Plays a Part in B… sim 04-29 4031
300 From Couch Potato to Cabin Fev… sim 04-28 4866
299 Device Finds Malaria Infection… sim 04-25 3651
298 FDA Investigates Antibacterial… sim 04-24 3953
297 UN Says North Korea Guilty of … sim 04-23 3791
296 Natural Gas Prices Rise in Eur… sim 04-22 3931
295 New York’s Chinatown is Changi… sim 04-21 3836
294 How Can Air Traffic Controller… sim 04-21 4369
293 Asiana Airlines Makes Changes … sim 04-17 4021
292 Burma Halts Chinese Dam Projec… sim 04-16 448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