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5-07 09:06

Search for Malaysian Airplane Ends Third Week

The search for a missing Malaysian airliner continued this week. The airplane carrying 239 passengers and crew members disappeared on March 8th. Last Monday, Malaysian Prime Minister Najib Razak announced the flight ended in the southern Indian Ocean.

“We wanted to inform you of this new development at the earliest opportunity.”

Satellite records show that Malaysia Airlines Flight 370 likely crashed in the southern Indian Ocean. Malaysian officials say the flight ended west of the Australian city of Perth.

Australian Defense Minister David Johnston describes the waters in that area as an extremely difficult environment.

“Remember, this Southern Ocean, has shipwrecked many, many sailors in our history in Western Australia. It is rough. There are 20-, 30-meter waves. It is very, very dangerous, even for big ships.”

Chinese Protest Malaysian Delays Releasing Information

The Boeing 777 aircraft was flying from Kuala Lumpur to Beijing at the time of its disappearance. On Tuesday, protesters marched toward the Malaysian embassy in Beijing. They were angry about the way Malaysian officials have reacted to the disappearance of Flight 370. The protesters demanded more information.

The same day, Malaysia Airlines officials met with reporters. They defended their decision to inform families and the world that Malaysian officials now consider the flight lost.

Two-thirds of the passengers were Chinese.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easing visa and immigration rules to permit relatives to travel to Perth. The city’s Chinese community has offered to assist the visitors.

Critics say Malaysia has been keeping information from victims’ families and the media. The British satellite company Inmarsat told Malaysian officials four days after the disappearance that they had received hourly signals from the plane. Yet the officials were said to have waited three days before acting on that information.

John Goglia has investigated plane crashes for the U.S.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He noted Malaysia’s lack of experience with air disasters.

“In this particular instance, what had come out certainly seemed disconnected. Seemed like they didn’t follow any of the known processes that had been established for years and years.”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were quick to join the search. But they were slow to share radar or satellite information with Malaysia about possible sightings.

Malaysia is in a difficult position. Some observers say it does not want to anger China. Yet China’s Global Times newspaper published editorials blaming Malaysia’s government. One piece read: “Malaysia is determined to enter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by 2020. But judging from its handling of the MH370 incident, Malaysia’s modernization will take far longer than this.”

Malaysia has a growing tourist industry. Last year, 1.8 million Chinese visited the country. But this could change because of Flight 370.

On Thursday, China’s Foreign Ministry again called for more exact information from Malaysia on the details of the search. A spokesman said he hoped Malaysia would improve its communications with China.
airliner 여객기 / Indian Ocean 인도양 / at the earliest opportunity 기회가 있는대로 / shipwreck 조난 하다 / sailor 선원 / disappearance 실종 / defend 옹호하다 / ease 완화하다 / relative 친척, 인척 / satellite 위성 / act on 조치를 취하다 / instance 경우, 사례 / disconnected 동떨어진, 단절된 / editorial 사설 / be determined to 마음에 두다
3주째 이어지는 말레이시아 항공기 수색 작업
실종된 말레이시아 여객기에 대한 수색은 이번 주에도 계속되었다. 239명의 승객과 승무원들을 태운 이 항공기는 3월 8일에 실종되었다. 지난 월요일, 나지브 라자크(Najib Razak) 말레이시아 총리는 이 여객기가 남인도양에서 실종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국면에 대해 기회가 있는 대로 여러분께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위성 기록에 의하면 이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은 남인도양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말레이시아 관료들은 호주의 퍼스(Perth) 시 서쪽에서 사라졌다고 이야기한다.

호주의 데이비드 존스턴(David Johnston) 국방부 장관은 이 지역의 해역이 매우 수색이 어려운 환경이라고 설명한다.

“우리 역사상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estern Australia) 주에서 이 남인도양이 수많은 선원들을 난파시켜왔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이곳은 험하고 20~30미터의 파도가 넘실댑니다. 이곳은 매우 매우 위험하며, 큰 배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말레이시아의 정보 제공 지연에 항의하는 중국인들

실종 당시 이 보잉 777 여객기는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에서 베이징으로 향하고 있었다. 화요일, 시위자들은 베이징 소재 말레이시아 대사관을 향해 행진을 벌였다. 이들은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에 관한 말레이시아 정부 관료들의 대응 방식에 분노했다. 이 시위자들은 더 많은 정보를 요구했다.

같은 날, 말레이시아 항공 관계자들은 기자들과 만났다. 이들은 말레이시아 관료들이 현재 해당 여객기를 실종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사실을 실종자 가족들과 전 세계에 알려주기로 한 자신들의 결정을 옹호했다.

승객의 3분의 2는 중국인이었다. 호주 정부는 희생자 친인척들의 퍼스 시 방문 허가를 위해 비자 발급 요건 및 이민 규정을 완화하고 있다. 퍼스 시의 중국인 사회도 이들 방문객 지원에 나섰다.

비평가들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희생자들의 가족들과 언론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왔다고 한다. 여객기가 실종된 지 나흘 후, 영국의 위성 회사인 “인마르샛(Inmarsat)”은 자사가 해당 항공기로부터 매시간 신호를 수신했었다고 말레이시아 정부 관료들에게 전했다. 하지만 관료들은 이 정보와 관련한 조치에 나서기까지 3일을 허비했다고 한다.

존 골리아(John Goglia) 씨는 미국 교통안전 위원회(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에서 항공기 추락 사고를 조사해 왔다. 그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항공 재난을 겪은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을 언급한다.

“특히 이번 사건에서, 유기적이지 못해 보이는 대처가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수립되어 온, 주지된 절차를 전혀 따르는 것 같지 않아 보였습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이번 수색 작업에 조속히 참여했다. 하지만 이들은 포착 여부에 관해 말레이시아 당국과 레이더 또는 위성 정보를 공유함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했다.

말레이시아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일부 관측자들은 말레이시아가 중국을 화나게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중국의 “글로벌 타임스(Global Times)” 지는 말레이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사설들을 실었다. 한 내용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2020년에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사고의 대응으로 판단하건대 말레이시아의 현대화는 이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릴 것이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관광 산업은 성장 중이다. 지난해 말레이시아를 찾은 중국인의 수는 180만 명에 이른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는 370편 사고로 인해 바뀔 수 있다.

목요일, 중국 외교부는 수색 작업의 세부 사항에 관해 더 정확한 정보를 말레이시아 측에 재차 요구했다. 한 대변인은 말레이시아가 중국과의 의사소통을 개선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1 Interracial Marriages Increase… sim 05-13 5123
310 Two Powerful Earthquakes Strik… sim 05-12 4059
309 Hopes Rise That India’s Econom… sim 05-09 3419
308 Experts Fear Burma's Refo… sim 05-08 3402
307 Many Turks Fear 'Deep Sta… sim 05-07 3975
306 Young People May Affect Electi… sim 05-07 3400
305 Search for Malaysian Airplane … sim 05-07 3566
304 What’s a GI Joe?… sim 05-02 4540
303 The UN Celebrates Agriculture!… sim 04-30 3864
302 Nigeria Promotes Literacy… sim 04-30 465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