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at’s a GI Joe?
A “leatherneck” or a “grunt” do not sound like nice names to call someone. Yet men and women who serve in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are proud of those names. And if you think they sound strange, consider “doughboy” and “GI Joe.”
After the American Civil War in the 1860s, a writer in a publication called Beadle’s Monthly used the word “doughboy” to describe Civil War soldiers. But word expert Charles Funk says that early writer could not explain where the name started.
About twenty years later, someone did explain. She was the wife of the famous American general George Custer. Elizabeth Custer wrote that a “doughboy” was a sweet food served to Navy men on ships. She also said the name was given to the large buttons on the clothes of soldiers. Elizabeth Custer believed the name changed over time to mean the soldiers themselves.
Now, we probably most often think of “doughboys” as the soldiers who fought for the Allies in World War I. By World War II, soldiers were called other names. The one most often heard was “GI,” or “GI Joe.” Most people say the letters GI were a short way to say “general issue” or “government issue.” The name came to mean several things: It could mean the soldier himself. It could mean things given to soldiers when they joined the military such as weapons, equipment or clothes. And, for some reason, it could mean to organize, or clean.
Soldiers often say, “We GI’d the place.” And when an area looks good, soldiers may say the area is “GI.” Strangely, though, “GI” can also mean poor work, a job badly done.
Some students of military words have another explanation of “GI.” They say that instead of “government issue” or “general issue,” “GI” came from the words “galvanized iron.” The American soldier was said to be like galvanized iron -- a material produced for special strength. The Dictionary of Soldier Talk says “GI” was used for the words “galvanized iron” in a publication about the vehicles of the early 20th century.
Today, a doughboy or GI may be called a “grunt.” Nobody is sure of the exact beginning of the word. But the best idea probably is that the name comes from the sound that troops make when ordered to march long distances carrying heavy equipment.
A member of the United States Marines also has a strange name: “leatherneck.” It is thought to have started in the 1800s. Some say the name comes from the thick collars of leather early Marines wore around their necks to protect them from cuts during battles. Others say the sun burned the Marines’ necks until their skin looked like leather.
After the American Civil War in the 1860s, a writer in a publication called Beadle’s Monthly used the word “doughboy” to describe Civil War soldiers. But word expert Charles Funk says that early writer could not explain where the name started.
About twenty years later, someone did explain. She was the wife of the famous American general George Custer. Elizabeth Custer wrote that a “doughboy” was a sweet food served to Navy men on ships. She also said the name was given to the large buttons on the clothes of soldiers. Elizabeth Custer believed the name changed over time to mean the soldiers themselves.
Now, we probably most often think of “doughboys” as the soldiers who fought for the Allies in World War I. By World War II, soldiers were called other names. The one most often heard was “GI,” or “GI Joe.” Most people say the letters GI were a short way to say “general issue” or “government issue.” The name came to mean several things: It could mean the soldier himself. It could mean things given to soldiers when they joined the military such as weapons, equipment or clothes. And, for some reason, it could mean to organize, or clean.
Soldiers often say, “We GI’d the place.” And when an area looks good, soldiers may say the area is “GI.” Strangely, though, “GI” can also mean poor work, a job badly done.
Some students of military words have another explanation of “GI.” They say that instead of “government issue” or “general issue,” “GI” came from the words “galvanized iron.” The American soldier was said to be like galvanized iron -- a material produced for special strength. The Dictionary of Soldier Talk says “GI” was used for the words “galvanized iron” in a publication about the vehicles of the early 20th century.
Today, a doughboy or GI may be called a “grunt.” Nobody is sure of the exact beginning of the word. But the best idea probably is that the name comes from the sound that troops make when ordered to march long distances carrying heavy equipment.
A member of the United States Marines also has a strange name: “leatherneck.” It is thought to have started in the 1800s. Some say the name comes from the thick collars of leather early Marines wore around their necks to protect them from cuts during battles. Others say the sun burned the Marines’ necks until their skin looked like leather.

leatherneck 무뚝뚝한 사람(해병대원을 가리키는 말) / grunt 툴툴거리는 사람(해병대원을 가리키는 말) / armed force 군대 / consider 고려하다, 생각하다 / publication 발행물, 출판물 / American Civil War 미국 남북전쟁 / ally 동맹국, 협력자 / navy 해군 / weapon 무기 / equipment 장비 / military 군대, 군용, 군사의 / galvanized 아연을 씌운 / iron 철, 쇠 / thick 두꺼운 / collar 깃 / marine 해병대 (병사), 바다의, 해양의 / battle 전투 / burn 태우다


지아이 조(GI Joe)란 무엇인가?
“레더넥(leatherneck; 해병대원)” 또는 “그런트(grunt; 군대의 졸병이나 해병대원)”는 누군가를 부르기 위해 사용할 만한 좋은 이름처럼 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United States) 군대에서 복무하는 남성과 여성은 이 같은 이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이러한 이름이 이상하게 들린다고 생각된다면 “도우보이(doughboy; 보병)”와 “지아이 조(GI Joe; 미군, 남자 병사)”는 어떤가?
1860년대에 발생한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이후 “월간 비들즈(Beadle’s Monthly)”라는 한 발행물의 작가는 남북전쟁에 참전한 군인을 묘사하기 위해 “도우보이(doughboy)”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어휘 전문가인 찰스 펑크(Charles Funk) 씨에 따르면 이 초기의 작가는 이 이름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설명할 수 없었다고 한다.
약 20년 후, 한 사람이 이를 설명했다. 그녀는 미국의 유명한 조지 커스터(George Custer) 장군의 아내였다. 엘리자베스 커스터(Elizabeth Custer) 씨는 “도우보이”란 함선 위의 해군들에게 제공되는 달콤한 음식이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이것이 군인들의 군복에 있는 큰 단추를 부르는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고 이야기했다. 엘리자베스 커스터 씨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 이름이 군인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다고 믿었다.
이제 우리는 아마도 “도우보이”들이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에서 동맹국을 위해 싸운 군인들로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쯤 군인들은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가장 흔히 들을 수 있었던 이름 중 하나는 “지아이(GI)” 또는 지아이 조(GI Joe)”였다. 대부분 사람은 GI이라는 글자가 “일반적인 문제(general issue)” 또는 “정부 차원의 문제(government issue)”를 줄여서 말하는 방법이었다고 이야기한다. 이 이름은 몇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군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군인이 입대했을 때 받게 되는 무기나 장비 또는 옷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까닭인지, “정돈하다” 또는 “청소하다”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
군인들은 “우리는 그곳을 ‘지아이’했다”고 자주 말한다. 그리고 한 지역이 좋아 보일 때(안전해 보일 때) 군인들은 그곳이 “지아이”하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지아이”는 형편없는 일 처리 또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일을 뜻할 수도 있다.
군대 언어를 공부하는 몇몇 학생들은 “지아이(GI)”에 관해 또 다르게 설명한다. 이들에 따르면 GI는 “정부 차원의 문제” 또는 “일반적인 문제” 대신 “함석(galvanized iron)”이라는 단어에서 왔다고 한다. 미국 군인은 특수한 강도를 얻기 위해 만들어지는 소재인 함석과도 같다고 한다. 군인 용어 사전(The Dictionary of Soldier Talk)은 “지아이”가 20세기 초 자동차에 관한 한 발행물에서 “함석”이라는 단어로 사용되었다고 소개한다.
오늘날 도우보이 또는 지아이는 “그런트”라고 불릴 수도 있다. 이 단어가 정확히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군인들이 무거운 장비를 매고 먼 거리를 행군하도록 명령받을 때 내는 소리에서부터 왔다는 게 아마도 가장 정답과 가깝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미 해병대(United States Marines) 대원도 독특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바로 “레더넥”이다. 이 이름은 1800년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이들은 이 이름이 초기의 해군들이 전투 중 베이지 않도록 목을 보호하기 위해 목에 둘렀던 두꺼운 가죽 깃에서 유래한다고 이야기한다. 다른 이들은 목이 마치 가죽처럼 보일 때까지 해군의 목이 햇볕에 그을렸다고 이야기한다.
1860년대에 발생한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이후 “월간 비들즈(Beadle’s Monthly)”라는 한 발행물의 작가는 남북전쟁에 참전한 군인을 묘사하기 위해 “도우보이(doughboy)”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어휘 전문가인 찰스 펑크(Charles Funk) 씨에 따르면 이 초기의 작가는 이 이름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설명할 수 없었다고 한다.
약 20년 후, 한 사람이 이를 설명했다. 그녀는 미국의 유명한 조지 커스터(George Custer) 장군의 아내였다. 엘리자베스 커스터(Elizabeth Custer) 씨는 “도우보이”란 함선 위의 해군들에게 제공되는 달콤한 음식이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이것이 군인들의 군복에 있는 큰 단추를 부르는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고 이야기했다. 엘리자베스 커스터 씨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 이름이 군인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다고 믿었다.
이제 우리는 아마도 “도우보이”들이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에서 동맹국을 위해 싸운 군인들로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쯤 군인들은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가장 흔히 들을 수 있었던 이름 중 하나는 “지아이(GI)” 또는 지아이 조(GI Joe)”였다. 대부분 사람은 GI이라는 글자가 “일반적인 문제(general issue)” 또는 “정부 차원의 문제(government issue)”를 줄여서 말하는 방법이었다고 이야기한다. 이 이름은 몇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군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군인이 입대했을 때 받게 되는 무기나 장비 또는 옷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까닭인지, “정돈하다” 또는 “청소하다”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
군인들은 “우리는 그곳을 ‘지아이’했다”고 자주 말한다. 그리고 한 지역이 좋아 보일 때(안전해 보일 때) 군인들은 그곳이 “지아이”하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지아이”는 형편없는 일 처리 또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일을 뜻할 수도 있다.
군대 언어를 공부하는 몇몇 학생들은 “지아이(GI)”에 관해 또 다르게 설명한다. 이들에 따르면 GI는 “정부 차원의 문제” 또는 “일반적인 문제” 대신 “함석(galvanized iron)”이라는 단어에서 왔다고 한다. 미국 군인은 특수한 강도를 얻기 위해 만들어지는 소재인 함석과도 같다고 한다. 군인 용어 사전(The Dictionary of Soldier Talk)은 “지아이”가 20세기 초 자동차에 관한 한 발행물에서 “함석”이라는 단어로 사용되었다고 소개한다.
오늘날 도우보이 또는 지아이는 “그런트”라고 불릴 수도 있다. 이 단어가 정확히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군인들이 무거운 장비를 매고 먼 거리를 행군하도록 명령받을 때 내는 소리에서부터 왔다는 게 아마도 가장 정답과 가깝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미 해병대(United States Marines) 대원도 독특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바로 “레더넥”이다. 이 이름은 1800년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이들은 이 이름이 초기의 해군들이 전투 중 베이지 않도록 목을 보호하기 위해 목에 둘렀던 두꺼운 가죽 깃에서 유래한다고 이야기한다. 다른 이들은 목이 마치 가죽처럼 보일 때까지 해군의 목이 햇볕에 그을렸다고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