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na and US Seek Closer Military Ties, But Differences Remain
American Secretary of Defense Chuck Hagel was in China this week. His visit was an example of efforts by the two countries to expand military ties. The Defense Secretary met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nd visited China’s only aircraft carrier, the Liaoning. But Mr. Hagel’s trip to China was short on friendly exchanges. The two sides spoke of cooperation, but openly disagreed about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Secretary Hagel arrived in Beijing after a stop in Japan. He told reporters that China must reduce tensions with its neighbors and be more open about its military strength.
China and Japan are involved in a territorial dispute over islands in the East China Sea. The islands are called the Diaoyu in China and Senkaku in Japan. They are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provide valuable waters for fishing.
Last year, China established 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over the disputed islands. China claimed the right to take military action against any aircraft without approval to fly over the area. Secretary Hagel criticized the decision to create the air defense zone over the islands.
“Every nation has a right to establish air defense zones, but not a right to do it unilaterally, with no collaboration, no consultation. That adds to tensions, misunderstandings, and could eventually add to, and eventually get to, dangerous conflict.”
China’s Defense Minister strongly disagreed with the Defense Secretary. General Chang Wanquan noted that territorial issues are very important to his country. He said China would not incite Japan to action, but is prepared to protect its territory. In his words, “on this issue, we will make no compromise, no concession, no trading, not even a tiny bit of violation is allowed.”
This was the third time that Defense Minister Chang and Secretary Hagel have met since they each took office.
This week, Secretary Hagel made a visit to China’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He spoke about the need for openness as a way to avoid misunderstandings. One officer accused the United States of taking sides in Asia as a way to incite tensions and block the rise of China’s military. The United States denies it wants to contain China.
Jonathan Pollack is with the Brookings Institution, a Washington-based research group. He says U.S. officials have taken a somewhat harder line in how they deal with issues of importance to Asia.
Secretary Hagel ended his 10-day trip to Asia with a visit to China’s neighbor, Mongolia. He signed a new deal to provide more military training and assistance to Mongolia. The U.S. currently provides about $3 million in military sales and training to the country.
Other nations have strengthened military ties with the United States. This has led China to criticize the U.S. for seeking to contain its rise. But observers say relations between the sides have improved over the past year or so. The two militaries have held several joint exercises since last year.
Secretary Hagel arrived in Beijing after a stop in Japan. He told reporters that China must reduce tensions with its neighbors and be more open about its military strength.
China and Japan are involved in a territorial dispute over islands in the East China Sea. The islands are called the Diaoyu in China and Senkaku in Japan. They are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provide valuable waters for fishing.
Last year, China established 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over the disputed islands. China claimed the right to take military action against any aircraft without approval to fly over the area. Secretary Hagel criticized the decision to create the air defense zone over the islands.
“Every nation has a right to establish air defense zones, but not a right to do it unilaterally, with no collaboration, no consultation. That adds to tensions, misunderstandings, and could eventually add to, and eventually get to, dangerous conflict.”
China’s Defense Minister strongly disagreed with the Defense Secretary. General Chang Wanquan noted that territorial issues are very important to his country. He said China would not incite Japan to action, but is prepared to protect its territory. In his words, “on this issue, we will make no compromise, no concession, no trading, not even a tiny bit of violation is allowed.”
This was the third time that Defense Minister Chang and Secretary Hagel have met since they each took office.
This week, Secretary Hagel made a visit to China’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He spoke about the need for openness as a way to avoid misunderstandings. One officer accused the United States of taking sides in Asia as a way to incite tensions and block the rise of China’s military. The United States denies it wants to contain China.
Jonathan Pollack is with the Brookings Institution, a Washington-based research group. He says U.S. officials have taken a somewhat harder line in how they deal with issues of importance to Asia.
Secretary Hagel ended his 10-day trip to Asia with a visit to China’s neighbor, Mongolia. He signed a new deal to provide more military training and assistance to Mongolia. The U.S. currently provides about $3 million in military sales and training to the country.
Other nations have strengthened military ties with the United States. This has led China to criticize the U.S. for seeking to contain its rise. But observers say relations between the sides have improved over the past year or so. The two militaries have held several joint exercises since last year.

tie 유대, 협력 / aircraft carrier 항공모함 / be short on ~이 부족하다 / speak of ~에 대해 말하다 / openly 드러내 놓고, 공공연히 / military strength 전력, 군사력 / unilaterally 일방적으로, 치우치게 / collaboration (군사적) 협력 / add to 증가시키다 / misunderstanding 오해 / concession 양보 / openness 솔직함 / take side 손을 들어주다 / contain 억누르다, 억제하다 / take hard line 강경 노선을 취하다 / joint exercise 합동 훈련


미국과 중국, 군사적 협력을 강화하려 하지만 시각차는 존재해
척 헤이글(Chuck Hagel) 미 국방부 장관은 이번 주 중국에 머물렀다. 그의 방문은 군사적 협력을 확대하려는 양국의 노력을 보여주는 한 예였다. 척 헤이글 장관은 중국의 시진핑(Xi Jinping) 국가 주석과 만났고, 중국의 유일한 항공모함인 “랴오닝(Liaoning)함”을 찾았다. 그러나 헤이글 장관의 방중에는 우호적인 교류가 부족했다. 양측은 협력을 이야기했지만, 동아시아의 영토 분쟁에 대해서는 공공연히 의견이 엇갈렸다.
헤이글 장관은 일본을 거쳐 베이징에 도착했다. 그는 기자들 앞에서 중국은 반드시 주변국들과의 긴장을 완화해야 하고, 전력을 더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일본은 동중국해(East China Sea)상의 섬들에 대한 영토 분쟁으로 얽혀있다. 이 섬들은 중국어로는 “조어도(Diaoyu)”, 일본어로는 “센카쿠(Senkaku)”로 불린다. 이 섬들에는 천연 자원이 풍부하고 어업에 있어 가치 있는 해역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분쟁 지역에 걸쳐 “방공 식별 구역(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을 설정하고, 비행 허가 없이 이 지역 내에서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서 군사적인 행동을 취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헤이글 장관은 분쟁 지역 상공에 방공 식별 구역을 설정하는 이 같은 결정을 비판했다.
“모든 국가는 방공 식별 구역을 설정할 권리를 가집니다. 하지만 그 권리란 협력 없이,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행위는 긴장과 오해를 가져오고, 결국 위험한 분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중국의 국방부 장관은 헤이글 장관의 의견에 강력히 반대했다. 창완취완(Chang Wanquan) 장관은 국경 문제가 자국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이 일본으로 하여금 조치를 취하도록 자극하지 않을 것이지만 자국의 영토를 수호하기 위한 준비는 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발언을 통해 ‘이 문제에 관해서 우리는 타협이나 양보, 거래가 일체 없을 것이며, 사소한 위반 행위조차도 용납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창 장관과 헤이글 장관이 취임한 이후 진행된 세 번째 회담이었다.
이번 주, 헤이글 장관은 중국 국방대(National Defense University)를 방문했다. 그는 오해를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솔직함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한 관리는 미국이 긴장을 조장하고 중국의 군사력 강화를 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아시아에서 편을 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은 자국이 중국을 억제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조나단 폴락(Jonathan Pollack) 씨는 워싱턴에 기반을 둔 연구 기관인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소속이다. 그에 따르면 미국의 관료들은 자신들이 아시아에 중요한 사안을 다루는 방법에 있어 다소 더 강경한 노선을 취해왔다고 한다.
헤이글 장관은 중국의 이웃 국가인 몽골을 방문하는 것으로 열흘 간의 아시아 순방 일정을 마무리했다. 그는 몽골에 군사 훈련과 지원을 확대 제공하기로 하는 새 협약에 서명했다. 미국은 현재 몽골에 약 300만 달러에 달하는 군사 판매와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도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해 오고 있다. 이에 중국은 자국의 군사력 강화를 억제하려는 조치라며 미국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관측자들은 양국 간의 관계가 1년 정도 전부터 개선되어 왔다고 말한다. 양국 군은 지난 해부터 일부 합동 훈련을 개최해 오고 있다.
헤이글 장관은 일본을 거쳐 베이징에 도착했다. 그는 기자들 앞에서 중국은 반드시 주변국들과의 긴장을 완화해야 하고, 전력을 더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일본은 동중국해(East China Sea)상의 섬들에 대한 영토 분쟁으로 얽혀있다. 이 섬들은 중국어로는 “조어도(Diaoyu)”, 일본어로는 “센카쿠(Senkaku)”로 불린다. 이 섬들에는 천연 자원이 풍부하고 어업에 있어 가치 있는 해역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분쟁 지역에 걸쳐 “방공 식별 구역(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을 설정하고, 비행 허가 없이 이 지역 내에서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서 군사적인 행동을 취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헤이글 장관은 분쟁 지역 상공에 방공 식별 구역을 설정하는 이 같은 결정을 비판했다.
“모든 국가는 방공 식별 구역을 설정할 권리를 가집니다. 하지만 그 권리란 협력 없이,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행위는 긴장과 오해를 가져오고, 결국 위험한 분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중국의 국방부 장관은 헤이글 장관의 의견에 강력히 반대했다. 창완취완(Chang Wanquan) 장관은 국경 문제가 자국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이 일본으로 하여금 조치를 취하도록 자극하지 않을 것이지만 자국의 영토를 수호하기 위한 준비는 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발언을 통해 ‘이 문제에 관해서 우리는 타협이나 양보, 거래가 일체 없을 것이며, 사소한 위반 행위조차도 용납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창 장관과 헤이글 장관이 취임한 이후 진행된 세 번째 회담이었다.
이번 주, 헤이글 장관은 중국 국방대(National Defense University)를 방문했다. 그는 오해를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솔직함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한 관리는 미국이 긴장을 조장하고 중국의 군사력 강화를 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아시아에서 편을 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은 자국이 중국을 억제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조나단 폴락(Jonathan Pollack) 씨는 워싱턴에 기반을 둔 연구 기관인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소속이다. 그에 따르면 미국의 관료들은 자신들이 아시아에 중요한 사안을 다루는 방법에 있어 다소 더 강경한 노선을 취해왔다고 한다.
헤이글 장관은 중국의 이웃 국가인 몽골을 방문하는 것으로 열흘 간의 아시아 순방 일정을 마무리했다. 그는 몽골에 군사 훈련과 지원을 확대 제공하기로 하는 새 협약에 서명했다. 미국은 현재 몽골에 약 300만 달러에 달하는 군사 판매와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도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해 오고 있다. 이에 중국은 자국의 군사력 강화를 억제하려는 조치라며 미국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관측자들은 양국 간의 관계가 1년 정도 전부터 개선되어 왔다고 말한다. 양국 군은 지난 해부터 일부 합동 훈련을 개최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