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curity Concerns Raised on Obama’s Asian Trip
It has been nearly three years since President Barack Obama announced what has been called the “Asia pivot.” The term describes increasing attention on East Asia and the Pacific after reducing American involvement in Iraq and Afghanistan.
This week, President Obama left Washington for a weeklong trip to four Asian countries. The trip aimed to re-state U.S. support for the security of Asian allies and for reducing trade barriers among Pacific nations.
Mr. Obama arrived in Japan Wednesday at a time when a number of allies are concerned about China’s military expansion. Many Japanese have noted the failure of the Obama administration to act on its threats to attack Syria. They have seen the administration’s unwillingness to provide military aid to Ukraine. The Japanese are worried that the United States may not come to Japan’s aid.
On Thursday, the president said the U.S. would honor a defense treaty with Japan if China seizes a disputed group of islands. The islands are known as Senkaku in Japan and as Diaoyu in China. Mr. Obama spoke after talks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Th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preceded my birth, so obviously this isn't a red line that I'm drawing. It i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ver multiple administrations of the terms of the alliance, which is that territories under the administration of Japan are covered under the treaty. There's no shift in position. There's no red line that's been drawn. We're simply applying the treaty.”
But in Beijing, a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man noted that nothing has changed. The official said, “the Diaoyu Islands are China’s inherent territory” and the country would protect its “sovereignty and maritime rights.”
At his meetings in Tokyo, President Obama urged Japan to speed up talks for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he partnership would create a free trade zone among Pacific countries. The negotiations were slowed down over Japanese taxes on agricultural products.
On Friday, the U.S president was in Seoul for talks with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At a joint press conference, Mr. Obama said America would never back away from its promise to help South Korea. He also said the two countries will stand “shoulder to shoulder” against any incitement by North Korea. Earlier he gave a warning to the North against carrying out another nuclear test.
After two days in Seoul, Mr. Obama will visit Malaysia and then the Philippines. Territorial disputes with China and U.S. military cooperation will again come up for discussion.
This is President Obama’s fifth visit to Asia since taking office in 2009. Susan Rice is his National Security Advisor. Speaking before the Asian tour, she presented the trip as a chance to declare U.S. focus on Asia and the Pacific.
“Whether it ought to be viewed as a containment of China, I would say this trip has a very positive, affirmative agenda and that is how we are looking at it - as an opportunity to solidify and modernize our alliances and partnerships; as an opportunity to advance our economic agenda.”
This week, President Obama left Washington for a weeklong trip to four Asian countries. The trip aimed to re-state U.S. support for the security of Asian allies and for reducing trade barriers among Pacific nations.
Mr. Obama arrived in Japan Wednesday at a time when a number of allies are concerned about China’s military expansion. Many Japanese have noted the failure of the Obama administration to act on its threats to attack Syria. They have seen the administration’s unwillingness to provide military aid to Ukraine. The Japanese are worried that the United States may not come to Japan’s aid.
On Thursday, the president said the U.S. would honor a defense treaty with Japan if China seizes a disputed group of islands. The islands are known as Senkaku in Japan and as Diaoyu in China. Mr. Obama spoke after talks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Th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preceded my birth, so obviously this isn't a red line that I'm drawing. It i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ver multiple administrations of the terms of the alliance, which is that territories under the administration of Japan are covered under the treaty. There's no shift in position. There's no red line that's been drawn. We're simply applying the treaty.”
But in Beijing, a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man noted that nothing has changed. The official said, “the Diaoyu Islands are China’s inherent territory” and the country would protect its “sovereignty and maritime rights.”
At his meetings in Tokyo, President Obama urged Japan to speed up talks for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he partnership would create a free trade zone among Pacific countries. The negotiations were slowed down over Japanese taxes on agricultural products.
On Friday, the U.S president was in Seoul for talks with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At a joint press conference, Mr. Obama said America would never back away from its promise to help South Korea. He also said the two countries will stand “shoulder to shoulder” against any incitement by North Korea. Earlier he gave a warning to the North against carrying out another nuclear test.
After two days in Seoul, Mr. Obama will visit Malaysia and then the Philippines. Territorial disputes with China and U.S. military cooperation will again come up for discussion.
This is President Obama’s fifth visit to Asia since taking office in 2009. Susan Rice is his National Security Advisor. Speaking before the Asian tour, she presented the trip as a chance to declare U.S. focus on Asia and the Pacific.
“Whether it ought to be viewed as a containment of China, I would say this trip has a very positive, affirmative agenda and that is how we are looking at it - as an opportunity to solidify and modernize our alliances and partnerships; as an opportunity to advance our economic agenda.”

security 보안 / be concerned about ~을 걱정하다, ~에 관심을 가지다 / Asia pivot 아시아 중시 정책 / involvement 개입 / ally 동맹국 / trade barrier 무역 장벽 / expansion 확대 / failure 실패 / administration 행정부 / threat 협박 / attack 공격, 공격하다 / unwillingness 꺼리는, 반항적인 / defense treaty 방위 조약 / disputed 분쟁 중인 / precede ~전에 일어나다, ~에 앞서다 / territory 영토 / red line 레드라인(불화, 협상 시 한쪽 당사자가 양보하지 않으려는 쟁점이나 요구) / inherent 고유의 / sovereignty 자주권 / maritime right 해상 우선 특권 / negotiation 협상 / nuclear 핵 / containment 견제 / affirmative 긍정적인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대한 보안 문제가 제기되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President Barack Obama)이 “아시아 중시 정책(Asia pivot)”이라 일컬어지는 정책을 발표한 지 3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났다. 이 정책은 이라크(Iraq)와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에 대한 미국(American)의 개입을 줄이고, 동아시아(East Asia)와 태평양(Pacific) 지역에 대한 관심 증가를 말한다.
이번 주 오바마 대통령은 일주일간 네 개의 아시아 국가를 방문할 계획으로 워싱턴(Washington)을 떠났다. 이번 방문의 목적은 아시아 동맹국의 보안과 태평양 국가 간의 무역 장벽을 낮추는 것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것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수요일, 여러 동맹국이 중국(China)의 군사 확대에 관해 우려하고 있는 시기에 일본(Japan)에 도착했다. 많은 일본인들은 시리아(Syria)를 공격하겠다는 위협적인 행동을 옮기는 것에 실패한 오바마 정부에 대해 언급했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Ukraine)에 군사 지원을 꺼리는 행정부를 지켜보았다. 일본인들은 미국이 일본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목요일, 오바마 대통령은 분쟁 중인 군도를 중국이 점령할 경우 미국은 일본과의 방위 조약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군도는 일본에서는 센카쿠(Senkaku), 그리고 중국에서는 댜오위다오(Diaoyu)로 알려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일본의 신조 아베(Shinzo Abe) 총리와의 회담 이후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미국과 일본 사이의 조약은 제가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분명히 제가 그린 레드 라인이 아닙니다. 일본의 시정하에 있는 영토가 조약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동맹 관계에 있는 여러 정부의 일반적인 해석입니다. 이 점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레드 라인은 그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단지 조약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이징(Beijing)에서 중국 외교부의 한 대변인은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댜오위다오는 중국 고유의 영토며, 중국은 자국의 자주권과 해상 우선 특권을 보호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도쿄(Tokyo)에서 가진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일본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rans-Pacific Partnership)을 위한 논의 속도를 높여 달라고 촉구했다. 이 협정은 태평양 국가 사이에 자유무역지역을 만들 것이다. 협상은 일본 농산물 세금 관련 문제로 지연됐다.
미국 대통령은 금요일, 한국(South Korea)의 박근혜 대통령과의 회담을 위해 서울(Seoul)에 있었다. 공동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한국을 돕겠다는 약속에서 물러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두 나라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어깨를 나란히 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전에 대통령은 또다시 핵 실험을 이행한 북한에 경고를 보냈다.
서울에서 이틀을 보낸 후, 오바마 대통령은 말레이시아(Malaysia)와 필리핀(Philippines)을 방문하게 된다. 중국과의 영토 분쟁과 미 군사 협조에 관한 논의가 다시 한 번 제기될 것이다.
이번이 2009년 취임한 뒤로 오바마 대통령의 다섯 번째 아시아 순방이다. 수잔 라이스(Susan Rice) 씨는 그의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이다. 그녀는 아시아 순방에 앞서 이번 방문은 미국이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주력한다는 것을 선언할 기회라고 표현했다.
“중국에 대한 견제로 보이더라도, 이번 여행은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안건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맹국과 동반자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현대화할 수 있는 기회이며, 우리의 경제 정책을 발전시킬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주 오바마 대통령은 일주일간 네 개의 아시아 국가를 방문할 계획으로 워싱턴(Washington)을 떠났다. 이번 방문의 목적은 아시아 동맹국의 보안과 태평양 국가 간의 무역 장벽을 낮추는 것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것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수요일, 여러 동맹국이 중국(China)의 군사 확대에 관해 우려하고 있는 시기에 일본(Japan)에 도착했다. 많은 일본인들은 시리아(Syria)를 공격하겠다는 위협적인 행동을 옮기는 것에 실패한 오바마 정부에 대해 언급했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Ukraine)에 군사 지원을 꺼리는 행정부를 지켜보았다. 일본인들은 미국이 일본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목요일, 오바마 대통령은 분쟁 중인 군도를 중국이 점령할 경우 미국은 일본과의 방위 조약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군도는 일본에서는 센카쿠(Senkaku), 그리고 중국에서는 댜오위다오(Diaoyu)로 알려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일본의 신조 아베(Shinzo Abe) 총리와의 회담 이후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미국과 일본 사이의 조약은 제가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분명히 제가 그린 레드 라인이 아닙니다. 일본의 시정하에 있는 영토가 조약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동맹 관계에 있는 여러 정부의 일반적인 해석입니다. 이 점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레드 라인은 그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단지 조약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이징(Beijing)에서 중국 외교부의 한 대변인은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댜오위다오는 중국 고유의 영토며, 중국은 자국의 자주권과 해상 우선 특권을 보호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도쿄(Tokyo)에서 가진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일본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rans-Pacific Partnership)을 위한 논의 속도를 높여 달라고 촉구했다. 이 협정은 태평양 국가 사이에 자유무역지역을 만들 것이다. 협상은 일본 농산물 세금 관련 문제로 지연됐다.
미국 대통령은 금요일, 한국(South Korea)의 박근혜 대통령과의 회담을 위해 서울(Seoul)에 있었다. 공동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한국을 돕겠다는 약속에서 물러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두 나라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어깨를 나란히 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전에 대통령은 또다시 핵 실험을 이행한 북한에 경고를 보냈다.
서울에서 이틀을 보낸 후, 오바마 대통령은 말레이시아(Malaysia)와 필리핀(Philippines)을 방문하게 된다. 중국과의 영토 분쟁과 미 군사 협조에 관한 논의가 다시 한 번 제기될 것이다.
이번이 2009년 취임한 뒤로 오바마 대통령의 다섯 번째 아시아 순방이다. 수잔 라이스(Susan Rice) 씨는 그의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이다. 그녀는 아시아 순방에 앞서 이번 방문은 미국이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주력한다는 것을 선언할 기회라고 표현했다.
“중국에 대한 견제로 보이더라도, 이번 여행은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안건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맹국과 동반자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현대화할 수 있는 기회이며, 우리의 경제 정책을 발전시킬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