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st Tool to Teach Baby Talk? Their Parents' Voice
A new study says electronic toys are not helping babies learn.
“Even if companies are marketing them as educational, they’re not teaching the babies anything at this time,” said the study’s author, Anna Sosa. She is a Northern Arizona University professor who heads the school’s Child Speech and Language Lab.
Sosa and her fellow researchers listened to audio recordings of parents playing with their babies - aged 10 months to 16 months. The researchers compared the experiences when the children played with electronic toys, traditional toys such as blocks, or when the children looked at books.
What they found is that parents talked less with their babies when the babies played with electronic toys.
“The parents talked less, responded less and used fewer content specific words,” Sosa said.
Why is this important?
Sosa said research shows that how quickly children develop language is often based on what they hear from parents.
When the infants played with electronic toys, parents said little to their children, Sosa said.
But with traditional toys, such as blocks, parents shared the names and descriptions of the animals, colors and shapes as their children played, Sosa said.
There was even more information given by parents as their babies looked at the pictures in books, Sosa said.
Sosa is not telling parents to throw out electronic toys. But she said parents should look at their infants’ play with such toys as entertainment, not a learning experience.
Toy Industry Association spokeswoman Adrienne Appell responded to the study. She said it is important that parents make time to play with their children.
“Playing is a way that kids can learn so much, not only cognitive skills, but social and developmental skills,” she said.
She added that play should be balanced, including time for just “make believe” activities, as well as traditional and electronic toys.
“Even if companies are marketing them as educational, they’re not teaching the babies anything at this time,” said the study’s author, Anna Sosa. She is a Northern Arizona University professor who heads the school’s Child Speech and Language Lab.
Sosa and her fellow researchers listened to audio recordings of parents playing with their babies - aged 10 months to 16 months. The researchers compared the experiences when the children played with electronic toys, traditional toys such as blocks, or when the children looked at books.
What they found is that parents talked less with their babies when the babies played with electronic toys.
“The parents talked less, responded less and used fewer content specific words,” Sosa said.
Why is this important?
Sosa said research shows that how quickly children develop language is often based on what they hear from parents.
When the infants played with electronic toys, parents said little to their children, Sosa said.
But with traditional toys, such as blocks, parents shared the names and descriptions of the animals, colors and shapes as their children played, Sosa said.
There was even more information given by parents as their babies looked at the pictures in books, Sosa said.
Sosa is not telling parents to throw out electronic toys. But she said parents should look at their infants’ play with such toys as entertainment, not a learning experience.
Toy Industry Association spokeswoman Adrienne Appell responded to the study. She said it is important that parents make time to play with their children.
“Playing is a way that kids can learn so much, not only cognitive skills, but social and developmental skills,” she said.
She added that play should be balanced, including time for just “make believe” activities, as well as traditional and electronic toys.

infant 유아, 젖먹이 / description 서술, 묘사 / cognitive 인지의 / make believe 척하다


아이에게 말을 가르치는 최상의 도구는 바로 부모의 목소리
한 연구에 따르면 전자완구가 아이의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여러 회사들이 전자완구가 교육적이라고 홍보하지만, 현재로써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라고 이 연구의 책임자인 안나 소사(Anna Sosa) 씨가 말했다. 노던 애리조나 대학교수 안나 소사 씨는 해당 대학에서 취학아동의 언어연구실험실 소장을 맡고 있다.
소사 씨와 동료 연구팀은 10~16개월의 유아와 부모의 놀이과정이 담긴 녹음기록을 청취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블록과 같은 전통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또는 책을 볼 때의 경험을 비교하였다.
이들이 알아낸 것은 아이들이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부모들이 아이에게 말하는 횟수가 더 적다는 것이다.
소사 씨는 “부모들은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았고, 반응도 덜했으며, 내용을 설명하는 단어 사용도 적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것이 왜 중요할까?
소사 씨는 연구에서 아이의 언어발달 속도는 부모가 하는 말에 근거한다고 주장하였다.
소사 씨는 유아가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부모는 아이들에게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반면, 블록과 같은 전통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는 부모가 아이에게 이름을 알려주고, 동물, 색깔 및 모양에 대해 설명도 해준다고 했다.
아이들이 그림책을 볼 때 부모는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고 말했다.
소사 씨는 부모에게 전자완구를 버리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전자완구를 학습 경험이 아닌, 재미를 위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난감협회 대변인인 에이드리엔 애펠(Adrienne Appell) 씨는 이 연구에 대한 답변으로, 부모가 시간을 내서 아이들과 함께 놀아주어야 한다고 했다.
“놀이는 아이들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통로입니다. 인지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성 및 발달능력을 키워주죠.”라고 말했다.
에이드리엔은 ‘가작화’ 활동을 위한 시간을 할애하고, 전통적인 장난감과 전자완구의 균형 있는 놀이를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러 회사들이 전자완구가 교육적이라고 홍보하지만, 현재로써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라고 이 연구의 책임자인 안나 소사(Anna Sosa) 씨가 말했다. 노던 애리조나 대학교수 안나 소사 씨는 해당 대학에서 취학아동의 언어연구실험실 소장을 맡고 있다.
소사 씨와 동료 연구팀은 10~16개월의 유아와 부모의 놀이과정이 담긴 녹음기록을 청취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블록과 같은 전통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또는 책을 볼 때의 경험을 비교하였다.
이들이 알아낸 것은 아이들이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부모들이 아이에게 말하는 횟수가 더 적다는 것이다.
소사 씨는 “부모들은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았고, 반응도 덜했으며, 내용을 설명하는 단어 사용도 적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것이 왜 중요할까?
소사 씨는 연구에서 아이의 언어발달 속도는 부모가 하는 말에 근거한다고 주장하였다.
소사 씨는 유아가 전자완구를 가지고 놀 때, 부모는 아이들에게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반면, 블록과 같은 전통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는 부모가 아이에게 이름을 알려주고, 동물, 색깔 및 모양에 대해 설명도 해준다고 했다.
아이들이 그림책을 볼 때 부모는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고 말했다.
소사 씨는 부모에게 전자완구를 버리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전자완구를 학습 경험이 아닌, 재미를 위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난감협회 대변인인 에이드리엔 애펠(Adrienne Appell) 씨는 이 연구에 대한 답변으로, 부모가 시간을 내서 아이들과 함께 놀아주어야 한다고 했다.
“놀이는 아이들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통로입니다. 인지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성 및 발달능력을 키워주죠.”라고 말했다.
에이드리엔은 ‘가작화’ 활동을 위한 시간을 할애하고, 전통적인 장난감과 전자완구의 균형 있는 놀이를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