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uth Koreans, Israelis Oppose Forced Military Service
South Korea requires all able-bodied male citizens to serve about two years in the nation’s armed forces. But some object to military service for moral reasons. Most of them are sent to prison.
They are called “conscientious objectors.” That means a person who refuses to serve in the armed forces for moral or religious reasons. Some conscientious objectors do agree to join the military, but they will not carry or use a weapon.
Kim Ji-kwan was held in prison for more than a year, near the capital Seoul, for refusing to serve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I became a conscientious objector because I learned from the Bible that you have to love your neighbor and your enemy. We should love life.”
His father and two brothers all went to jail for refusing to serve in the military. They are members of Jehovah’s Witnesses, a Christian group. Jehovah’s Witnesses say learning to use weapons, or fighting, violates their religious beliefs.
Kim Ji-kwan says he would like to have served his country in other ways if he had been given the chance.
“If there were an alternative service -- one that does not go against my beliefs -- then I would have done that,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actual military trai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ys every year hundreds of men are given prison terms of up to 18 months for refusing military service.
The group War Resisters International keeps records about the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worldwide. Sergeiy Sandler works for the group. We spoke to him on Skype.
“According to the data we have, right now the largest number of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 not necessarily the number of objectors themselves -- but of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is currently in South Korea. The way conscientious, conscientious objectors are treated is of course, you know, is of course, substandard in, in all, you know, human rights senses.”
South Kore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ays there are no plans to change the country’s requirement of military service. The ministry says it must keep the requirement in place because of concerns about North Korea and its military.
Lee Jae-seong is a law professor at Konkuk University in Seoul. He says most South Koreans no longer support the government’s polic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lways stressed security, and they’ve said that an alternative to military service would harm our safety. But the public no longer believes that. Only the government is holding on to that idea.”
Professor Lee notes the findings of a recent public opinion survey. It found that 68 percent of those who were asked like the idea of creating an alternative service, so that conscientious objectors will not have to go to jail.
Kim Ji-kwan says he and the other men in his family did the right thing by going to prison for their beliefs. But he says if he one day has a son, he would not expect him to make the same decision. That is because Mr. Kim believes refusing to serve in the military is a personal decision based on one’s own faith.
They are called “conscientious objectors.” That means a person who refuses to serve in the armed forces for moral or religious reasons. Some conscientious objectors do agree to join the military, but they will not carry or use a weapon.
Kim Ji-kwan was held in prison for more than a year, near the capital Seoul, for refusing to serve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I became a conscientious objector because I learned from the Bible that you have to love your neighbor and your enemy. We should love life.”
His father and two brothers all went to jail for refusing to serve in the military. They are members of Jehovah’s Witnesses, a Christian group. Jehovah’s Witnesses say learning to use weapons, or fighting, violates their religious beliefs.
Kim Ji-kwan says he would like to have served his country in other ways if he had been given the chance.
“If there were an alternative service -- one that does not go against my beliefs -- then I would have done that,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actual military trai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ys every year hundreds of men are given prison terms of up to 18 months for refusing military service.
The group War Resisters International keeps records about the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worldwide. Sergeiy Sandler works for the group. We spoke to him on Skype.
“According to the data we have, right now the largest number of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 not necessarily the number of objectors themselves -- but of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is currently in South Korea. The way conscientious, conscientious objectors are treated is of course, you know, is of course, substandard in, in all, you know, human rights senses.”
South Kore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ays there are no plans to change the country’s requirement of military service. The ministry says it must keep the requirement in place because of concerns about North Korea and its military.
Lee Jae-seong is a law professor at Konkuk University in Seoul. He says most South Koreans no longer support the government’s polic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lways stressed security, and they’ve said that an alternative to military service would harm our safety. But the public no longer believes that. Only the government is holding on to that idea.”
Professor Lee notes the findings of a recent public opinion survey. It found that 68 percent of those who were asked like the idea of creating an alternative service, so that conscientious objectors will not have to go to jail.
Kim Ji-kwan says he and the other men in his family did the right thing by going to prison for their beliefs. But he says if he one day has a son, he would not expect him to make the same decision. That is because Mr. Kim believes refusing to serve in the military is a personal decision based on one’s own faith.

refuse 거부하다 / freedom 자유 / conscience 양심 / conscientious objector 양심적 병역 거부자 / alternative 대체 / enemy 원수 / violate 침해하다 / training 훈련 / prison term 형량 / imprison 수감 / requirement 요건 / personal 개인적인 / public opinion survey 여론조사


군 복무에 반대하는 한국과 이스라엘인
한국(South Korea)의 신체 건강한 모든 남자는 자국의 군대에서 2년 동안 군 복무를 해야 한다. 그러나 몇몇 이들은 도덕적인 이유로 병역에 반대한다. 이 중 대부분은 감옥에 수용된다.
이 같은 사람을 “양심적 병역 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s)”라 부른다. 이는 도덕적 또는 종교적인 이유로 군 복무를 거부하는 이들을 나타낸다. 몇몇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군대에 가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무기를 소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김지관(Kim Ji-kwan) 씨는 병역을 거부하여 수도인 서울 인근의 감옥에 1년 넘게 수용됐었다.
“저는 성경에서 이웃과 원수를 사랑하라고 배웠기 때문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삶을 사랑해야 합니다.”
그의 아버지와 두 형제 모두 병역 거부로 인해 감옥에 수감됐었다. 이들은 한 기독교 단체인 여호와의 증인(Jehovah’s Witnesses)을 믿는 신도들이다. 여호와의 증인은 무기 사용이나 싸우는 법을 배우는 것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김지관 씨는 기회가 있었다면 기꺼이 다른 방법으로 조국에 이바지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제 신념에 반대되지 않는, 실제 군사 훈련이 요구되지 않는 다른 대체적인 서비스가 있었다면 저는 그것을 했을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매년 병역 거부로 인해 수백 명의 남성이 18개월까지 형량을 받는다고 한다.
전쟁저항자 인터내셔널 (War Resisters International)이라는 단체는 전 세계의 병역 거부자의 숫자를 기록해 둔다고 한다. 세르게이 샌들러(Sergeiy Sandler) 씨는 이 단체에서 일한다. 우리는 스카이프로 그와 대화를 나누었다.
“우리가 가진 자료를 보면 현재 양심적 병역 거부자의 숫자가 아닌 수감 중인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한국입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인권 측면에서 수준 이하로, 열악한 대접을 받습니다.”
한국의 국방부는 국가의 군 복무 요건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과 북한군에 관한 우려 때문에 이 요건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재성(Lee Jae-seong) 씨는 서울(Seoul)에 소재한 건국대학교(Konkuk University)의 법학 교수이다. 그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더는 정부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한국 정부는 항상 안전을 강조하며, 군 복무에 대한 대안은 우리의 안보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말해왔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더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정부만이 이 같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교수는 최근 진행된 한 여론조사의 결과에 대해 언급한다. 조사에서 국민의 68%가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감옥에 가지 않아도 되는 다른 대체 봉사를 만드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관 씨는 자신과 가족 내 다른 남자들이 자신의 신념에 따라 감옥에 간 것이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만약 언젠가 아들이 생긴다면 자신과 같은 결정을 하는 것을 바라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병역 거부는 한 사람의 믿음에 따른 개인의 선택이라고 김 씨는 믿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람을 “양심적 병역 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s)”라 부른다. 이는 도덕적 또는 종교적인 이유로 군 복무를 거부하는 이들을 나타낸다. 몇몇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군대에 가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무기를 소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김지관(Kim Ji-kwan) 씨는 병역을 거부하여 수도인 서울 인근의 감옥에 1년 넘게 수용됐었다.
“저는 성경에서 이웃과 원수를 사랑하라고 배웠기 때문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삶을 사랑해야 합니다.”
그의 아버지와 두 형제 모두 병역 거부로 인해 감옥에 수감됐었다. 이들은 한 기독교 단체인 여호와의 증인(Jehovah’s Witnesses)을 믿는 신도들이다. 여호와의 증인은 무기 사용이나 싸우는 법을 배우는 것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김지관 씨는 기회가 있었다면 기꺼이 다른 방법으로 조국에 이바지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제 신념에 반대되지 않는, 실제 군사 훈련이 요구되지 않는 다른 대체적인 서비스가 있었다면 저는 그것을 했을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매년 병역 거부로 인해 수백 명의 남성이 18개월까지 형량을 받는다고 한다.
전쟁저항자 인터내셔널 (War Resisters International)이라는 단체는 전 세계의 병역 거부자의 숫자를 기록해 둔다고 한다. 세르게이 샌들러(Sergeiy Sandler) 씨는 이 단체에서 일한다. 우리는 스카이프로 그와 대화를 나누었다.
“우리가 가진 자료를 보면 현재 양심적 병역 거부자의 숫자가 아닌 수감 중인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한국입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인권 측면에서 수준 이하로, 열악한 대접을 받습니다.”
한국의 국방부는 국가의 군 복무 요건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과 북한군에 관한 우려 때문에 이 요건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재성(Lee Jae-seong) 씨는 서울(Seoul)에 소재한 건국대학교(Konkuk University)의 법학 교수이다. 그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더는 정부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한국 정부는 항상 안전을 강조하며, 군 복무에 대한 대안은 우리의 안보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말해왔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더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정부만이 이 같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교수는 최근 진행된 한 여론조사의 결과에 대해 언급한다. 조사에서 국민의 68%가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감옥에 가지 않아도 되는 다른 대체 봉사를 만드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관 씨는 자신과 가족 내 다른 남자들이 자신의 신념에 따라 감옥에 간 것이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만약 언젠가 아들이 생긴다면 자신과 같은 결정을 하는 것을 바라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병역 거부는 한 사람의 믿음에 따른 개인의 선택이라고 김 씨는 믿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