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Dressing Singer Upsets Russia
The results of the recent Eurovision Song Contest caused a strong reaction in Russia. They also worsened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Europe.
The Eurovision Song Contest was held last weekend in Copenhagen, Denmark. An estimated 180 million people in 45 countries watched the event. As we hear from Katherine Cole, the winner was from Austria.
That was Conchita Wurst performing the song “Rise Like a Phoenix.” The act received more votes than the 25 other finalists in the competition this year.
It was the performer’s appearance that made news. Conchita Wurst is a man who wears women’s clothing. He has hair covering his face and reaching over his shoulders. The performer said he was honored to win the contest. He called it a victory for European values.
It was a victory not just for me, he said, but also for those people who believe in a future without discrimination and which is based on tolerance and respect.
Those words were widely seen as a criticism of Russia. Last year, the Russian government approved laws against what it called “homosexual propaganda.” The laws bar public events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about non-traditional sexual relations to the very young.
In Moscow, there was widespread disbelief at Conchita Wurst’s victory at the Eurovision Song Contest.
Russia finished seventh in the competition. Many people in the crowd expressed their disapproval of the performers from Russia. The Russian judges gave all their votes to countries that once belonged to the Soviet Union.
Last Sunday, Russian conductor Valery Gergiev organized a concert in London. The musician is a supporter of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About 30 anti-Putin protesters demonstrated for a short time as the show began. Among them was human rights activist Peter Tatchell.
“We thought it was very important to challenge Valery Gergiev over his support for President Putin; his endorsement of Russia’s anti-gay law, and his approval of Russia’s actions in Ukraine.”
Some people would say Russia is facing the beginnings of a cultural backlash in Europe. But there was one surprising result -- both Russia and Ukraine voted for each other in the Eurovision song contest.
The Eurovision Song Contest was held last weekend in Copenhagen, Denmark. An estimated 180 million people in 45 countries watched the event. As we hear from Katherine Cole, the winner was from Austria.
That was Conchita Wurst performing the song “Rise Like a Phoenix.” The act received more votes than the 25 other finalists in the competition this year.
It was the performer’s appearance that made news. Conchita Wurst is a man who wears women’s clothing. He has hair covering his face and reaching over his shoulders. The performer said he was honored to win the contest. He called it a victory for European values.
It was a victory not just for me, he said, but also for those people who believe in a future without discrimination and which is based on tolerance and respect.
Those words were widely seen as a criticism of Russia. Last year, the Russian government approved laws against what it called “homosexual propaganda.” The laws bar public events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about non-traditional sexual relations to the very young.
In Moscow, there was widespread disbelief at Conchita Wurst’s victory at the Eurovision Song Contest.
Russia finished seventh in the competition. Many people in the crowd expressed their disapproval of the performers from Russia. The Russian judges gave all their votes to countries that once belonged to the Soviet Union.
Last Sunday, Russian conductor Valery Gergiev organized a concert in London. The musician is a supporter of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About 30 anti-Putin protesters demonstrated for a short time as the show began. Among them was human rights activist Peter Tatchell.
“We thought it was very important to challenge Valery Gergiev over his support for President Putin; his endorsement of Russia’s anti-gay law, and his approval of Russia’s actions in Ukraine.”
Some people would say Russia is facing the beginnings of a cultural backlash in Europe. But there was one surprising result -- both Russia and Ukraine voted for each other in the Eurovision song contest.

upset 속상하게 하다, 불쾌하게 하다 / cross-dressing 복장 도착, 남장 또는 여장을 하는 것 / reaction 반응 / worsen 악화시키다 / relation 관계 / estimated 추정되는 / vote 표, 투표, 투표하다 / finalist 결승 진출자 / competition 대회 / appearance 외모 / victory 승리 / discrimination 차별 / tolerance 용인, 관용 / respect 존중 / widely 널리 / criticism 비판 / homosexual 동성애자 / propaganda 선전 / non-traditional 비전통적인 / disbelief 불신감 / protester 시위자 / human rights 인권 / cultural 문화적 / backlash 반발


러시아를 불쾌하게 만든 크로스 드레싱 가수
최근 열렸던 유로비전 가요제(Eurovision Song Contest)의 결과는 러시아에서 격한 반응을 일으켰다. 또한, 이는 러시아(Russia)와 유럽(Europe)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유로비전 가요제는 지난 주말 덴마크(Denmark)의 코펜하겐(Copenhagen)에서 열렸다. 45개국에서 약 1억 8,000명으로 추정되는 시청자들이 이번 행사를 지켜봤다. 캐서린 콜(Katherine Cole) 기자의 말에 따르면, 우승자는 오스트리아(Austria)에서 왔다고 한다.
이 사람은 바로 “불사조처럼 일어서(Rise Like a Phoenix)”라는 노래를 부른 콘치타 부어스트(Conchita Wurst) 씨였다. 그의 무대는 올해 가요제에 출전한 다른 25명의 결승 진출자들보다 더 많은 표를 얻었다.
논란이 되었던 것은 바로 이 참가자의 외모였다. 콘치타 부어스트 씨는 여장을 하는 남자다. 그의 머리는 얼굴을 덮으며, 어깨를 넘는다. 이 가수는 자신이 대회에서 우승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승을 유럽의 가치관을 위한 승리라 불렀다.
그는 “이것은 단지 저를 위한 승리가 아닌, 관용과 존중을 바탕으로 차별 없는 미래를 기대하고 믿는 사람을 위한 승리입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말은 러시아(Russia)에 대한 비판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지난해 러시아 정부는 소위 “동성애 선전(homosexual propaganda)”에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공적 행사 및 젊은 사람들에게 종래와는 다른 성관계에 대한 정보의 확산을 금지한다.
모스크바(Moscow)에서는 많은 이들이 유로비전 가요제에서 콘치타 부어스트가 승리한 사실에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대회에서 7위를 했다. 관중 중 많은 이들은 러시아에서 온 가수들에 대한 반감을 나타냈다. 러시아 심사위원들은 모두 자신의 표를 소련에 속했던 국가들에 줬다.
지난 일요일, 러시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Valery Gergiev) 씨는 런던(London)에서 열린 콘서트를 기획했다. 이 음악가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Vladimir Putin)의 지지자이다.
약 서른 명의 반 푸틴 시위자들이 쇼가 시작되었을 때 잠깐 동안 시위를 벌였다. 이 중에는 인권 활동가인 피터 탯첼(Peter Tatchell) 씨도 포함되어있었다.
“우리는 러시아의 반 동성애 법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우크라이나(Ukraine)에서 러시아의 군사행위를 승인한 푸틴 대통령에 대한 발레리 게르기예프 씨의 지지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러시아가 유럽의 문화적 반발의 초기 단계에 직면했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매우 놀라운 결과가 있었다. 바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유로비전 가요제에서 서로에게 투표했다는 사실이다.
유로비전 가요제는 지난 주말 덴마크(Denmark)의 코펜하겐(Copenhagen)에서 열렸다. 45개국에서 약 1억 8,000명으로 추정되는 시청자들이 이번 행사를 지켜봤다. 캐서린 콜(Katherine Cole) 기자의 말에 따르면, 우승자는 오스트리아(Austria)에서 왔다고 한다.
이 사람은 바로 “불사조처럼 일어서(Rise Like a Phoenix)”라는 노래를 부른 콘치타 부어스트(Conchita Wurst) 씨였다. 그의 무대는 올해 가요제에 출전한 다른 25명의 결승 진출자들보다 더 많은 표를 얻었다.
논란이 되었던 것은 바로 이 참가자의 외모였다. 콘치타 부어스트 씨는 여장을 하는 남자다. 그의 머리는 얼굴을 덮으며, 어깨를 넘는다. 이 가수는 자신이 대회에서 우승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승을 유럽의 가치관을 위한 승리라 불렀다.
그는 “이것은 단지 저를 위한 승리가 아닌, 관용과 존중을 바탕으로 차별 없는 미래를 기대하고 믿는 사람을 위한 승리입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말은 러시아(Russia)에 대한 비판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지난해 러시아 정부는 소위 “동성애 선전(homosexual propaganda)”에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공적 행사 및 젊은 사람들에게 종래와는 다른 성관계에 대한 정보의 확산을 금지한다.
모스크바(Moscow)에서는 많은 이들이 유로비전 가요제에서 콘치타 부어스트가 승리한 사실에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대회에서 7위를 했다. 관중 중 많은 이들은 러시아에서 온 가수들에 대한 반감을 나타냈다. 러시아 심사위원들은 모두 자신의 표를 소련에 속했던 국가들에 줬다.
지난 일요일, 러시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Valery Gergiev) 씨는 런던(London)에서 열린 콘서트를 기획했다. 이 음악가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Vladimir Putin)의 지지자이다.
약 서른 명의 반 푸틴 시위자들이 쇼가 시작되었을 때 잠깐 동안 시위를 벌였다. 이 중에는 인권 활동가인 피터 탯첼(Peter Tatchell) 씨도 포함되어있었다.
“우리는 러시아의 반 동성애 법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우크라이나(Ukraine)에서 러시아의 군사행위를 승인한 푸틴 대통령에 대한 발레리 게르기예프 씨의 지지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러시아가 유럽의 문화적 반발의 초기 단계에 직면했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매우 놀라운 결과가 있었다. 바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유로비전 가요제에서 서로에게 투표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