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ghting South Africa’s Jobless Crisis
Unemployment remains high in South Africa. It is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for the country’s youth. So, many young people are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But not everyone who opens a business is successful.
Job creation was a top goal of the South African government during the first ten years after the end of the policy of racial separation in 1994. However, little progress has been observed in the struggle to create enough jobs.
Officials reported last month that the unemployment rate was 25.2% nationwide. That was up from a rate of 24.1% last year. More than five million South Africans are unemployed. If the people who stopped looking for work were included in the report, the rate would be 35.1%.
Twenty-four year old Sibusiso Ngcobr says he can no longer wait for the government to create a job for him.
“It’s hard to find a job. You can’t sit and maybe your brains would blast out of your mind, because, like, you can’t sit and do nothing. You can’t wait, I have to eat, I have brothers to support, I have a family to feed.”
Instead, he and other South Africans like him are creating their own companies. But he says the government’s attempts to help small-business owners like him -- people with just a basic education -- are hurt by too many rules.
“Coming back from a previously-disadvantaged background, you don’t have security, your house is just a small house, and then you go to the bank -- you have a great, brilliant idea, they say they want surety, they want collateral -- what do you have? You have nothing. You can’t say ‘I have got my high school diploma, here is it -- you can’t say that. So you actually have to start from the grassroots.”
Beginning from "grassroots” is what Ludwick Marishane did. As a young man, he started businesses in the northern province of Limpopo -- a place with high levels of poverty. Some of his businesses failed.
But one day, as he and a friend were lying in the sun, he had an idea. His friend did not want to wash up, and wondered why no one had created a product to help those who could not, or did not want to, bathe. A few years later, with little money, Ludwick Marishane created “Dry Bath Gel.” It saves time for some, and helps those who do not have use of clean water themselves.
“I scraped (together) whatever, whatever resource(s) I had available. I didn’t have a computer or resources like that so I would have to use the local computer café, or internet café, where it cost me about $2 an hour to use the internet in all day. And my allowance per week was about five dollars -- that was my pocket money and lunch money.”
In his last year of high school, he wrote an 8,000-word business plan on a simple telephone, and sent it to 80 investors. But none of them would agree to risk their money on a young inventor with a product that they believed mostly helped poor people. So he began looking in other places.
“I looked at different sources -- the different banking loans and the different development loans that government had made available in South Africa for small businesses, and I was unsuccessful -- part of it was the red tape and the amount of bureaucracy involved in trying to access those types of funds and at the same time my business wasn’t a bankable idea.”
So he entered the product into competitions, and slowly gained investors. Now, Mr. Marishane holds legal rights to his invention. In fact, he is the youngest patent-holder in South Africa.
Job creation was a top goal of the South African government during the first ten years after the end of the policy of racial separation in 1994. However, little progress has been observed in the struggle to create enough jobs.
Officials reported last month that the unemployment rate was 25.2% nationwide. That was up from a rate of 24.1% last year. More than five million South Africans are unemployed. If the people who stopped looking for work were included in the report, the rate would be 35.1%.
Twenty-four year old Sibusiso Ngcobr says he can no longer wait for the government to create a job for him.
“It’s hard to find a job. You can’t sit and maybe your brains would blast out of your mind, because, like, you can’t sit and do nothing. You can’t wait, I have to eat, I have brothers to support, I have a family to feed.”
Instead, he and other South Africans like him are creating their own companies. But he says the government’s attempts to help small-business owners like him -- people with just a basic education -- are hurt by too many rules.
“Coming back from a previously-disadvantaged background, you don’t have security, your house is just a small house, and then you go to the bank -- you have a great, brilliant idea, they say they want surety, they want collateral -- what do you have? You have nothing. You can’t say ‘I have got my high school diploma, here is it -- you can’t say that. So you actually have to start from the grassroots.”
Beginning from "grassroots” is what Ludwick Marishane did. As a young man, he started businesses in the northern province of Limpopo -- a place with high levels of poverty. Some of his businesses failed.
But one day, as he and a friend were lying in the sun, he had an idea. His friend did not want to wash up, and wondered why no one had created a product to help those who could not, or did not want to, bathe. A few years later, with little money, Ludwick Marishane created “Dry Bath Gel.” It saves time for some, and helps those who do not have use of clean water themselves.
“I scraped (together) whatever, whatever resource(s) I had available. I didn’t have a computer or resources like that so I would have to use the local computer café, or internet café, where it cost me about $2 an hour to use the internet in all day. And my allowance per week was about five dollars -- that was my pocket money and lunch money.”
In his last year of high school, he wrote an 8,000-word business plan on a simple telephone, and sent it to 80 investors. But none of them would agree to risk their money on a young inventor with a product that they believed mostly helped poor people. So he began looking in other places.
“I looked at different sources -- the different banking loans and the different development loans that government had made available in South Africa for small businesses, and I was unsuccessful -- part of it was the red tape and the amount of bureaucracy involved in trying to access those types of funds and at the same time my business wasn’t a bankable idea.”
So he entered the product into competitions, and slowly gained investors. Now, Mr. Marishane holds legal rights to his invention. In fact, he is the youngest patent-holder in South Africa.

jobless 실직의 / crisis 사태 / unemployment 실업 / successful 성공적인 / creation 창출 / racial 인종의 / separation 분리 / progress 진보 / struggle 노력 / nationwide 전국적인 / support 지지, 후원 / previously-disadvantaged 과거에 인종차별로 부당 대우를 받던 남아공 사람 / security 안정 / surety 보장 / collateral 담보 / diploma 학위 / grassroots 밑바닥, 풀뿌리, 기초 / poverty 빈곤 / scrape together 긁어 모으다 / loan 대출 / bureaucracy 관료 체제 / red tape 관공서의 불필요한 요식 / bankable 돈이 되는 / patent 특허


남아프리카의 실업 사태 다루기
남아프리카(South Africa)의 실업률은 아직도 높은 상태다. 이는 이 나라의 청년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다. 그래서 많은 젊은이들이 자신만의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을 하는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직업 창출은 1994년 인종분리정책이 끝난 후 첫 10년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의 최대 명제였다. 그러나 충분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힘겨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큰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다.
관계자들은 지난달 전국적인 실업률은 25.2%였다고 한다. 이는 지난해의 24.1%보다 증가한 수치다. 현재 남아공 국민 중 500만 명이 실업 상태이다. 보고서에 직업을 찾다가 포기한 사람들이 포함된다면 이 비율은 35.1%로 증가할 것이다.
24세의 시부시소 느코브(Sibusiso Ngcobr) 씨는 정부가 자신을 위한 일자리를 만들어줄 때까지 더는 기다릴 수 없다고 한다.
“일자리를 찾기가 너무 힘들어요. 그냥 앉아만 있을 순 없어요. 그러면 머리가 터져버릴지도 몰라요. 왜냐하면, 그냥 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을 수 없어요. 기다릴 수 없어요. 저는 먹어야 하고 뒷바라지해야 할 형제들도 있어요. 저는 먹여 살려야 하는 가족이 있습니다.”
직업을 구하는 대신 시부시소 씨 및 그와 같은 상황에 처한 다른 남아공 사람들은 자신만의 회사를 차리고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이 기초 교육만 받은 소기업 경영주를 돕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너무 많은 규제로 오히려 피해를 받고 있다고 한다.
“과거 인종차별로 부당한 대우를 받던 배경에서는 담보로 제공할 만한 게 없습니다. 당신 집이 작아요. 그런데 당신이 정말 뛰어난 사업 계획을 가지고 은행에 간다 해도 은행 측에서는 보증과 담보를 원합니다. 그럼 당신에게는 뭐가 있죠? 아무것도 없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졸업장이 있어요. 여기 있습니다.’라고 말할 수는 없잖아요. 그러니까 결국은 밑바닥부터 시작해야 하는 거죠.”
러드윅 마리셰인(Ludwick Marishane) 씨가 바로 이렇게 “밑바닥”부터 시작한 경우다. 젊은 시절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북부의 빈곤율이 높은 지역인 림포포(Limpopo)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그가 운영하던 몇몇 사업은 실패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는 친구와 햇볕 아래에 누워있다가 갑자기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그의 친구는 씻는 것을 싫어했는데 ‘씻을 수 없거나 씻기 싫어하는 사람을 위한 제품을 왜 아무도 만들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몇 년 후 적은 돈으로 러드윅 마리셰인 씨는 “건식 배쓰젤”을 개발했다. 이는 어떤 이들에게는 시간을 절약해주고,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이들에게는 도움을 준다.
“저는 제가 가지고 있던 자원을 모두 끌어모았습니다. 저는 컴퓨터나 장비가 전혀 없어서 한 시간에 약 2달러 정도의 비용이 드는 인근의 컴퓨터 카페나 인터넷 카페에서 온종일 있었습니다. 제 일주일 용돈이 약 5달러 정도였어요. 그게 제 용돈이자 점심을 사 먹을 돈 전부였어요.”
고등학교 졸업반 시절 그는 8,000자짜리 사업 계획서를 단순한 전화로 작성해서 80명의 투자자에게 보냈다. 하지만 그 누구도 가난한 사람에게만 도움이 될 것 같은 제품을 개발한 젊은 발명가에게 돈을 투자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다른 방법을 찾아 나섰다.
“저는 다양한 은행 대출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정부가 소기업을 위해 제공하는 여러 개발 융자와 같은 다른 출처를 찾기 시작했어요. 그래도 저는 실패했습니다. 원인 일부는 관공서의 불필요한 양식과 이러한 자금을 받기 위한 노력에 수반되는 관료 체제였죠. 이와 함께 제 사업은 별로 돈벌이가 안되는 것으로 보였죠.”
그래서 그는 자신의 제품을 여러 대회에 출품하기 시작했고 점점 많은 투자자가 모이기 시작했다. 이제 마라셰인 씨는 발명품에 대한 법적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실은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연소 특허 보유자다.
직업 창출은 1994년 인종분리정책이 끝난 후 첫 10년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의 최대 명제였다. 그러나 충분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힘겨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큰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다.
관계자들은 지난달 전국적인 실업률은 25.2%였다고 한다. 이는 지난해의 24.1%보다 증가한 수치다. 현재 남아공 국민 중 500만 명이 실업 상태이다. 보고서에 직업을 찾다가 포기한 사람들이 포함된다면 이 비율은 35.1%로 증가할 것이다.
24세의 시부시소 느코브(Sibusiso Ngcobr) 씨는 정부가 자신을 위한 일자리를 만들어줄 때까지 더는 기다릴 수 없다고 한다.
“일자리를 찾기가 너무 힘들어요. 그냥 앉아만 있을 순 없어요. 그러면 머리가 터져버릴지도 몰라요. 왜냐하면, 그냥 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을 수 없어요. 기다릴 수 없어요. 저는 먹어야 하고 뒷바라지해야 할 형제들도 있어요. 저는 먹여 살려야 하는 가족이 있습니다.”
직업을 구하는 대신 시부시소 씨 및 그와 같은 상황에 처한 다른 남아공 사람들은 자신만의 회사를 차리고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이 기초 교육만 받은 소기업 경영주를 돕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너무 많은 규제로 오히려 피해를 받고 있다고 한다.
“과거 인종차별로 부당한 대우를 받던 배경에서는 담보로 제공할 만한 게 없습니다. 당신 집이 작아요. 그런데 당신이 정말 뛰어난 사업 계획을 가지고 은행에 간다 해도 은행 측에서는 보증과 담보를 원합니다. 그럼 당신에게는 뭐가 있죠? 아무것도 없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졸업장이 있어요. 여기 있습니다.’라고 말할 수는 없잖아요. 그러니까 결국은 밑바닥부터 시작해야 하는 거죠.”
러드윅 마리셰인(Ludwick Marishane) 씨가 바로 이렇게 “밑바닥”부터 시작한 경우다. 젊은 시절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북부의 빈곤율이 높은 지역인 림포포(Limpopo)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그가 운영하던 몇몇 사업은 실패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는 친구와 햇볕 아래에 누워있다가 갑자기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그의 친구는 씻는 것을 싫어했는데 ‘씻을 수 없거나 씻기 싫어하는 사람을 위한 제품을 왜 아무도 만들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몇 년 후 적은 돈으로 러드윅 마리셰인 씨는 “건식 배쓰젤”을 개발했다. 이는 어떤 이들에게는 시간을 절약해주고,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이들에게는 도움을 준다.
“저는 제가 가지고 있던 자원을 모두 끌어모았습니다. 저는 컴퓨터나 장비가 전혀 없어서 한 시간에 약 2달러 정도의 비용이 드는 인근의 컴퓨터 카페나 인터넷 카페에서 온종일 있었습니다. 제 일주일 용돈이 약 5달러 정도였어요. 그게 제 용돈이자 점심을 사 먹을 돈 전부였어요.”
고등학교 졸업반 시절 그는 8,000자짜리 사업 계획서를 단순한 전화로 작성해서 80명의 투자자에게 보냈다. 하지만 그 누구도 가난한 사람에게만 도움이 될 것 같은 제품을 개발한 젊은 발명가에게 돈을 투자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다른 방법을 찾아 나섰다.
“저는 다양한 은행 대출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정부가 소기업을 위해 제공하는 여러 개발 융자와 같은 다른 출처를 찾기 시작했어요. 그래도 저는 실패했습니다. 원인 일부는 관공서의 불필요한 양식과 이러한 자금을 받기 위한 노력에 수반되는 관료 체제였죠. 이와 함께 제 사업은 별로 돈벌이가 안되는 것으로 보였죠.”
그래서 그는 자신의 제품을 여러 대회에 출품하기 시작했고 점점 많은 투자자가 모이기 시작했다. 이제 마라셰인 씨는 발명품에 대한 법적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실은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연소 특허 보유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