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vorce Rates High for Korea's Migrant Brides
Marrying someone from a different culture is very common. People do it all the time. And many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earn large profits by playing matchmaker for people. But what happens when the marriage business starts to resemble the selling of women? Some experts are examining the situation of migrant brides in South Korea.
Tens of thousands of South Korean men have married foreign women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the government reports that many of those marriages end in divorce. And women’s rights experts are concerned about how these immigrant women are being treated. They are asking the Korean government to make rules for these marriages.
Lee Soo-yeon is a Vietnamese migrant bride. Six years ago, she left Vietnam to marry a South Korean man. Now 36-years old, she works as a translator at a center for immigrant women in Asan, a city 48 kilometers south of Seoul. She speaks Korean and uses a Korean name, but Ms. Lee is no longer with her Korean husband.
“At first we could not communicate well. And later we began to fight a lot. He hit me. I do not hate him now, but I realized he has a drinking problem”
The couple’s young child now lives with Ms. Lee’s mother-in-law. She says it is unlikely she will reunite with her husband. She blames the marriage agency that introduced them in Vietnam.
“Marriage agencies do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men they introduce to the women. We need to know more about these men, their personalities and their financial stability.”
Divorces among international couples are on the rise.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made new rules for giving marriage visas. There are new financial requirements and the couple must demonstrate that they can actually talk to each other.
Chung Chin-sung is a sociology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advises the Korean government o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he says a language requirement could help improve marriages. But, she adds, the new visa rules do not deal with the main problem of these marriages. She says women are being sold like a product.
“That kind of marriage market where, especially women, become a product, like a product, not a human being, should be corrected.”
Ms. Chung suggests banning agencies that arrange quick marriages between people who barely know each other.
Jolly Regacho is a counselor at the Asan migrant center. She says i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ally wants to make stronger marriages, more education is important. The husband, she feels, should also learn about his wife’s culture.
“They should also make a project for the husband to learn the culture of their wife as well.”
Even with the break-up of her marriage, migrant bride Lee Soo-yeon says she does not plan to go back to Vietnam. She says Korea is her new home.
This report was written by VOA reporters in Korea, Jason Strother and Malte Kollenberg.
Tens of thousands of South Korean men have married foreign women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the government reports that many of those marriages end in divorce. And women’s rights experts are concerned about how these immigrant women are being treated. They are asking the Korean government to make rules for these marriages.
Lee Soo-yeon is a Vietnamese migrant bride. Six years ago, she left Vietnam to marry a South Korean man. Now 36-years old, she works as a translator at a center for immigrant women in Asan, a city 48 kilometers south of Seoul. She speaks Korean and uses a Korean name, but Ms. Lee is no longer with her Korean husband.
“At first we could not communicate well. And later we began to fight a lot. He hit me. I do not hate him now, but I realized he has a drinking problem”
The couple’s young child now lives with Ms. Lee’s mother-in-law. She says it is unlikely she will reunite with her husband. She blames the marriage agency that introduced them in Vietnam.
“Marriage agencies do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men they introduce to the women. We need to know more about these men, their personalities and their financial stability.”
Divorces among international couples are on the rise.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made new rules for giving marriage visas. There are new financial requirements and the couple must demonstrate that they can actually talk to each other.
Chung Chin-sung is a sociology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advises the Korean government o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he says a language requirement could help improve marriages. But, she adds, the new visa rules do not deal with the main problem of these marriages. She says women are being sold like a product.
“That kind of marriage market where, especially women, become a product, like a product, not a human being, should be corrected.”
Ms. Chung suggests banning agencies that arrange quick marriages between people who barely know each other.
Jolly Regacho is a counselor at the Asan migrant center. She says i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ally wants to make stronger marriages, more education is important. The husband, she feels, should also learn about his wife’s culture.
“They should also make a project for the husband to learn the culture of their wife as well.”
Even with the break-up of her marriage, migrant bride Lee Soo-yeon says she does not plan to go back to Vietnam. She says Korea is her new home.
This report was written by VOA reporters in Korea, Jason Strother and Malte Kollenberg.

divorce 이혼 / rate 비율 / migrant 이주민 / culture 문화 / international marriage 국제결혼 / broker 중개인 / resemble 닮다, 비슷하다 / profit 이익 / matchmaker 중매쟁이 / translator 통역사 / communicate 의사소통하다 / reunite 다시 만나다 / financial 경제적, 재정적 / stability 안정 / requirement 요구, 필요한 것 / demonstrate 보여주다, 나타내다 / sociology 사회학 / multicultural 다문화의


한국 내 이민자 신부들의 높은 이혼율
다른 문화권의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국제결혼을 하는 사람들은 많다. 그리고 국제결혼 중개인들은 사람들에게 중매쟁이 역할을 해줌으로써 큰돈을 번다. 하지만 결혼 사업이 여성의 매매와 비슷해지기 시작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 몇몇 전문가들은 한국의 이민자 신부들의 현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수만 명의 한국 남성들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했다. 그러나 정부 보고에 의하면 이 같은 결혼 대부분이 이혼으로 끝난다고 보고한다. 그리고 여성 인권 전문가들은 이러한 여성 이주민들이 어떤 대우를 받는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그들은 한국 정부에 국제결혼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한다.
이수연(Lee Soo-yeon) 씨는 베트남에서 온 이주민 신부다. 6년 전 그녀는 베트남을 떠나 한국 남자와 결혼했다. 이제 36살인 그녀는 서울에서 48km 떨어진 안산시의 여성 이주민 센터에서 통역사로 일하고 있다. 그녀는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국 이름을 갖고 있지만, 이 씨는 더는 자신의 한국인 남편과 함께 살지 않는다.
“처음에 저희는 의사소통을 잘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는 많이 싸우기 시작했어요. 그는 저를 때렸습니다. 지금은 그를 미워하진 않지만, 그가 알코올 의존증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이 부부의 아이는 지금 이 씨의 전 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다시 합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베트남에서 자신을 남편과 소개해준 결혼 업체를 탓한다.
“결혼 업체는 여성들에게 소개할 남성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남자들의 성격과 재정 상태에 대해 더 많이 알 필요가 있어요.”
국제결혼을 한 부부간의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정부는 결혼 비자 발급에 대한 규정을 만들었다. 새로운 재정적 요구 사항이 생겼고, 남녀는 서로 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정진성(Chung Chin-sung) 씨는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의 사회학 교수다. 그녀는 한국 정부에 다문화 가족 정책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그녀는 언어 요건이 도입되면 결혼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새로운 비자 규정이 이 같은 결혼의 주된 문제를 대처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덧붙인다. 그녀는 여성들이 마치 물건처럼 팔리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특히 여성이 인간이 아닌 상품이 되고 또 상품처럼 취급되는 그런 결혼 시장은 시정되어야 합니다.”
정 씨는 서로 거의 알지도 못하는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속전속결 결혼을 주선하는 업체의 영업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졸리 레가초(Jolly Regacho) 씨는 안산 이주민센터의 상담 전문가다. 그녀는 한국 정부가 정말로 더욱 안정된 결혼을 장려하고 싶다면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남편이 아내의 문화에 대해 배워야 한다고 그녀는 느낀다.
“정부는 또한 남편을 위해 아내의 문화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과제를 만들어야 합니다.”
결혼이 파경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민 신부 이수연 씨는 다시 베트남에 돌아갈 계획이 없다고 한다. 그녀는 한국이 자신의 새로운 고향이라고 이야기한다.
지난 10년간 수만 명의 한국 남성들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했다. 그러나 정부 보고에 의하면 이 같은 결혼 대부분이 이혼으로 끝난다고 보고한다. 그리고 여성 인권 전문가들은 이러한 여성 이주민들이 어떤 대우를 받는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그들은 한국 정부에 국제결혼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한다.
이수연(Lee Soo-yeon) 씨는 베트남에서 온 이주민 신부다. 6년 전 그녀는 베트남을 떠나 한국 남자와 결혼했다. 이제 36살인 그녀는 서울에서 48km 떨어진 안산시의 여성 이주민 센터에서 통역사로 일하고 있다. 그녀는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국 이름을 갖고 있지만, 이 씨는 더는 자신의 한국인 남편과 함께 살지 않는다.
“처음에 저희는 의사소통을 잘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는 많이 싸우기 시작했어요. 그는 저를 때렸습니다. 지금은 그를 미워하진 않지만, 그가 알코올 의존증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이 부부의 아이는 지금 이 씨의 전 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다시 합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베트남에서 자신을 남편과 소개해준 결혼 업체를 탓한다.
“결혼 업체는 여성들에게 소개할 남성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남자들의 성격과 재정 상태에 대해 더 많이 알 필요가 있어요.”
국제결혼을 한 부부간의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정부는 결혼 비자 발급에 대한 규정을 만들었다. 새로운 재정적 요구 사항이 생겼고, 남녀는 서로 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정진성(Chung Chin-sung) 씨는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의 사회학 교수다. 그녀는 한국 정부에 다문화 가족 정책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그녀는 언어 요건이 도입되면 결혼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새로운 비자 규정이 이 같은 결혼의 주된 문제를 대처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덧붙인다. 그녀는 여성들이 마치 물건처럼 팔리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특히 여성이 인간이 아닌 상품이 되고 또 상품처럼 취급되는 그런 결혼 시장은 시정되어야 합니다.”
정 씨는 서로 거의 알지도 못하는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속전속결 결혼을 주선하는 업체의 영업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졸리 레가초(Jolly Regacho) 씨는 안산 이주민센터의 상담 전문가다. 그녀는 한국 정부가 정말로 더욱 안정된 결혼을 장려하고 싶다면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남편이 아내의 문화에 대해 배워야 한다고 그녀는 느낀다.
“정부는 또한 남편을 위해 아내의 문화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과제를 만들어야 합니다.”
결혼이 파경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민 신부 이수연 씨는 다시 베트남에 돌아갈 계획이 없다고 한다. 그녀는 한국이 자신의 새로운 고향이라고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