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ailand to Return Myanmar Refugees
Thailand’s military government says it has reached an agreement with Myanmar, also known as Burma, for the return of refugees. The agreement calls for as many as 130,000 people to be sent back to Myanmar. The refugees fled violence and conflict in that country over many years.
Rights activists oppose the move. They say refugees should not be returned until security and Myanmar’s economy have improved.
General Prayuth Chan-ocha leads Thailand. He has said Thailand would work with Myanmar to help the refugees that live in camps along their shared border. The General says human rights laws will be respected in the action.
The refugees are mostly ethnic Karen from Myanmar. Others are members of the Karenni and Shan groups. The groups have fought the Myanmar government for more self-rule. Most groups have reached agreements with the government to end the conflicts. But not all members feel it is safe for them to return.
Rights groups also say they are worried about the refugees’ return. They say some of the land traditionally held by the groups has been seized. Land mines are also a danger in these areas.
Bo Kyi is an activist who has campaigned for the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in Myanmar. Bo Kyi says the border areas are not secure.
“Sending back refugees to Burma is really dangerous for most of the refugees because Burma did not get peace and we don’t know then there will be another conflict in Karen state. Burma is not ready for job creation for those returning refugees.”
Thailand’s former civilian government had talked about returning refugees. But the little progress made only followed strong international criticism.
Debbie Stothard is a spokeswoman for the rights group Alternative ASEAN Network. She says the Thai military has shown it wants to solve the refugee problem since it seized power in May.
“Now I think there’s quite a strong fear that this is going to happen especially because the U.N. and international agencies have been working on this. But the situation is still extremely fragile and dangerous. We’re actually seeing more people displaced. And if you happen to be a refugee of Muslim background then you are particularly vulnerable.”
Violence began two years ago in ethnic Rohingya areas of Myanmar. Tensions have increased between Buddhists and Muslims since that time.
Ms. Stothard says refugees fear they will be harmed by the Myanmar military. She says the military violates the rights of members of ethnic groups and has not been punished for such actions. She says that is why many people fled in the past.
Blooming Night Zan is a spokesperson for the Karen Refugee Committee. She says the group is worried about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plans to return the refugees to Myanmar.
Rights groups are calling on the United Nations refugee agency to closely watch the situation. They say it may be too early to return the refugees to Myanmar because of cuts in aid to that country. They also say there need to be more political reforms in Myanmar.
Rights activists oppose the move. They say refugees should not be returned until security and Myanmar’s economy have improved.
General Prayuth Chan-ocha leads Thailand. He has said Thailand would work with Myanmar to help the refugees that live in camps along their shared border. The General says human rights laws will be respected in the action.
The refugees are mostly ethnic Karen from Myanmar. Others are members of the Karenni and Shan groups. The groups have fought the Myanmar government for more self-rule. Most groups have reached agreements with the government to end the conflicts. But not all members feel it is safe for them to return.
Rights groups also say they are worried about the refugees’ return. They say some of the land traditionally held by the groups has been seized. Land mines are also a danger in these areas.
Bo Kyi is an activist who has campaigned for the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in Myanmar. Bo Kyi says the border areas are not secure.
“Sending back refugees to Burma is really dangerous for most of the refugees because Burma did not get peace and we don’t know then there will be another conflict in Karen state. Burma is not ready for job creation for those returning refugees.”
Thailand’s former civilian government had talked about returning refugees. But the little progress made only followed strong international criticism.
Debbie Stothard is a spokeswoman for the rights group Alternative ASEAN Network. She says the Thai military has shown it wants to solve the refugee problem since it seized power in May.
“Now I think there’s quite a strong fear that this is going to happen especially because the U.N. and international agencies have been working on this. But the situation is still extremely fragile and dangerous. We’re actually seeing more people displaced. And if you happen to be a refugee of Muslim background then you are particularly vulnerable.”
Violence began two years ago in ethnic Rohingya areas of Myanmar. Tensions have increased between Buddhists and Muslims since that time.
Ms. Stothard says refugees fear they will be harmed by the Myanmar military. She says the military violates the rights of members of ethnic groups and has not been punished for such actions. She says that is why many people fled in the past.
Blooming Night Zan is a spokesperson for the Karen Refugee Committee. She says the group is worried about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plans to return the refugees to Myanmar.
Rights groups are calling on the United Nations refugee agency to closely watch the situation. They say it may be too early to return the refugees to Myanmar because of cuts in aid to that country. They also say there need to be more political reforms in Myanmar.

refugee 난민, 망명자 / flee 달아나다, 도망치다 / self-rule 자치 / land mine 지뢰 / fragile 취약한, 허술한 / vulnerable 취약한, 연약한


태국, 미얀마 난민 송환
태국(Thailand) 군사 정부가 난민들을 돌려보내기 위해 버마(Burma)로도 알려진 미얀마(Myanmar)와 합의점에 도달했다고 말한다. 이 합의는 130,000명의 많은 사람을 미얀마로 송환할 것을 요구한다. 이 난민들은 수년간 폭력과 충돌을 피해 도망 다녔다.
인권 운동가들은 이 송환에 반대한다. 이들은 안보와 미얀마의 경제가 개선될 때까지 난민들을 돌려보내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쁘라윳 찬오차(Prayuth Chan-ocha) 장군이 태국을 이끌고 있다. 그는 태국이 미얀마와 힘을 합쳐 공동 국경 지역에 위치한 캠프에 사는 난민들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찬오차 장군은 이 조치가 취해지는 동안 인권 규범이 존중될 것이라고 말한다.
난민들은 대부분 미얀마 출신의 카렌(Karen) 족이다. 나머지는 카렌 족의 소집단인 카렌니(Karenni)의 사람들과 샨(Shan) 족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다. 이 집단들은 더 큰 자치권을 위해 미얀마 정부와 싸워왔다. 집단 대부분은 충돌을 끝내기 위해 정부와 합의점을 찾았다. 하지만 모든 부족 사람들이 돌아가는 것을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은 아니다.
인권 단체들은 또한 난민들의 귀환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원래 이들 집단이 보유하고 있던 땅 일부분이 압수되었다고 그들은 말한다. 지뢰 또한 이 지역들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다.
보치(Bo Kyi) 씨는 미얀마에 있는 정치범들의 석방을 위해 캠페인(campaign)을 펼쳐온 운동가다. 보치씨는 국경 지역들이 안전하지 않다고 말한다.
“버마로 난민들을 돌려보내는 것은 대부분의 난민들에게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버마에는 평화가 없었고, 저희는 카렌 주에 또 다른 충돌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버마는 귀환하는 난민들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태국의 이전 문민정부가 귀환하는 난민들에 대해 의논했다. 하지만 미미한 진전은 강한 국제적 비평만을 가져왔다.
데비 스토더드(Debbie Stothard) 씨는 알트세안(Alternative ASEAN Network) 권리 단체의 여성 대변인이다. 그녀는 타이(Thai) 군대는 권력을 장악한 5월부터 난민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보여왔다고 말한다.
“지금 저는 이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꽤 강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고 봅니다. 특히, 유엔(U.N.)과 국제단체들이 이 일에 착수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상황은 아직 굉장히 불안정하고 위험합니다. 사실 저희는 더 많은 사람이 추방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이슬람교(Muslim) 출신의 난민이라면 특히 추방당할 확률이 높다고 보면 됩니다.”
2년 전에 미얀마의 로힝야족이 사는 지역에서 폭행이 시작되었다. 그 당시 후로 불교도들과 이슬람교도들 간의 긴장감이 증가했다.
스토더드 씨에 따르면 난민들은 그들이 미얀마 군대에 의해 해침을 당할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한다. 그녀는 군대가 종족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지만, 이러한 행동에 대해 처벌받지 않고 있다고 언급한다. 그녀는 이 때문에 과거에 많은 사람들이 도망왔다고 얘기한다.
블루밍 나이트 잰(Blooming Night Zan) 씨는 카렌 난민 의회의 대변인이다. 그녀는 이 집단이 난민들을 미얀마로 돌려보내는 계획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권리 단체는 유엔 난민 기관(United Nations refugee agency)에 이 상황을 주의 깊게 관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들은 난민들을 미얀마로 보내기엔 아직 너무 이른데, 이는 그 나라에 지원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언급한다. 또한, 그들은 미얀마에 더 많은 경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인권 운동가들은 이 송환에 반대한다. 이들은 안보와 미얀마의 경제가 개선될 때까지 난민들을 돌려보내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쁘라윳 찬오차(Prayuth Chan-ocha) 장군이 태국을 이끌고 있다. 그는 태국이 미얀마와 힘을 합쳐 공동 국경 지역에 위치한 캠프에 사는 난민들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찬오차 장군은 이 조치가 취해지는 동안 인권 규범이 존중될 것이라고 말한다.
난민들은 대부분 미얀마 출신의 카렌(Karen) 족이다. 나머지는 카렌 족의 소집단인 카렌니(Karenni)의 사람들과 샨(Shan) 족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다. 이 집단들은 더 큰 자치권을 위해 미얀마 정부와 싸워왔다. 집단 대부분은 충돌을 끝내기 위해 정부와 합의점을 찾았다. 하지만 모든 부족 사람들이 돌아가는 것을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은 아니다.
인권 단체들은 또한 난민들의 귀환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원래 이들 집단이 보유하고 있던 땅 일부분이 압수되었다고 그들은 말한다. 지뢰 또한 이 지역들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다.
보치(Bo Kyi) 씨는 미얀마에 있는 정치범들의 석방을 위해 캠페인(campaign)을 펼쳐온 운동가다. 보치씨는 국경 지역들이 안전하지 않다고 말한다.
“버마로 난민들을 돌려보내는 것은 대부분의 난민들에게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버마에는 평화가 없었고, 저희는 카렌 주에 또 다른 충돌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버마는 귀환하는 난민들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태국의 이전 문민정부가 귀환하는 난민들에 대해 의논했다. 하지만 미미한 진전은 강한 국제적 비평만을 가져왔다.
데비 스토더드(Debbie Stothard) 씨는 알트세안(Alternative ASEAN Network) 권리 단체의 여성 대변인이다. 그녀는 타이(Thai) 군대는 권력을 장악한 5월부터 난민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보여왔다고 말한다.
“지금 저는 이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꽤 강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고 봅니다. 특히, 유엔(U.N.)과 국제단체들이 이 일에 착수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상황은 아직 굉장히 불안정하고 위험합니다. 사실 저희는 더 많은 사람이 추방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이슬람교(Muslim) 출신의 난민이라면 특히 추방당할 확률이 높다고 보면 됩니다.”
2년 전에 미얀마의 로힝야족이 사는 지역에서 폭행이 시작되었다. 그 당시 후로 불교도들과 이슬람교도들 간의 긴장감이 증가했다.
스토더드 씨에 따르면 난민들은 그들이 미얀마 군대에 의해 해침을 당할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한다. 그녀는 군대가 종족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지만, 이러한 행동에 대해 처벌받지 않고 있다고 언급한다. 그녀는 이 때문에 과거에 많은 사람들이 도망왔다고 얘기한다.
블루밍 나이트 잰(Blooming Night Zan) 씨는 카렌 난민 의회의 대변인이다. 그녀는 이 집단이 난민들을 미얀마로 돌려보내는 계획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권리 단체는 유엔 난민 기관(United Nations refugee agency)에 이 상황을 주의 깊게 관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들은 난민들을 미얀마로 보내기엔 아직 너무 이른데, 이는 그 나라에 지원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언급한다. 또한, 그들은 미얀마에 더 많은 경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