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EAN to Discuss South China Sea, Other Issues
Foreign minister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are gathering in Myanmar this week for two meeting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other countries are sending representatives to the meetings.
The talks are taking place in Naypyidaw, the capital of Myanmar, also known as Burma. They come as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continues preparations to launch its integrated economic community next year. ASEAN officials say the planned system would ease restrictions on trade and labor across borders.
Much of the change in Southeast Asia has come from economic forces. But there are political issues dividing ASEAN member countries. One example is the South China Sea dispute.
Daniel Russel is the top United States diplomat for East Asia. He says China’s temporary deployment of an oil platform in disputed waters has increased tension in the area.
“China, as a large and powerful nation, has a special responsibility to show restraint. There is a big footprint that comes with military strength and it warrants setting your feet very, very carefully -- treading very gingerly when you are in a sensitive area.”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plans to attend the conference in Myanmar. A U.S. diplomat says Secretary Kerry will urge China and its neighbors to agree to voluntarily end actions that increase tensions in the South China Sea.
Panitan Wattanayagorn studies issues of concern to ASEAN. He says progress on major issues will remain slow because of past events.
“This region is, of course, full of, in the past, suspicious intents, lack of trust, especially in terms of military capability, especially in terms of the growth of the big powers. The region has gone through so many decades of turmoil during the colonial period,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ailand has faced diplomatic pressure from Western countries since Thai military officers ousted the civilian government in May. The pressure has included cuts in assistance to the Thai military.
The ouster of the civilian government also has led ASEAN members and others to believe that Thailand could be moving toward a closer relationship with China.
“The Thai representatives need to assure that that will not be the case, that will be a more balanced approach, getting engaged with all countries, like Myanmar, like Cambodia, like most of the rest off the ASEAN members. They have to be more well-rounded, they have to be more multi-dimensional.”
This year, Myanmar is chairing ASEAN meetings for the first time. Some ASEAN officials are not sure the country can provide effective leadership. They note that Myanmar is dealing with ethnic unrest and rebel groups. At the same time, the country is moving away from years of military rule.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was created in 1967. The group has always made a point of not criticizing its members. That has led to results that have earned little praise or general agreements on important issues. This has made some people question the value of ASEAN in a fast-changing world.
The talks are taking place in Naypyidaw, the capital of Myanmar, also known as Burma. They come as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continues preparations to launch its integrated economic community next year. ASEAN officials say the planned system would ease restrictions on trade and labor across borders.
Much of the change in Southeast Asia has come from economic forces. But there are political issues dividing ASEAN member countries. One example is the South China Sea dispute.
Daniel Russel is the top United States diplomat for East Asia. He says China’s temporary deployment of an oil platform in disputed waters has increased tension in the area.
“China, as a large and powerful nation, has a special responsibility to show restraint. There is a big footprint that comes with military strength and it warrants setting your feet very, very carefully -- treading very gingerly when you are in a sensitive area.”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plans to attend the conference in Myanmar. A U.S. diplomat says Secretary Kerry will urge China and its neighbors to agree to voluntarily end actions that increase tensions in the South China Sea.
Panitan Wattanayagorn studies issues of concern to ASEAN. He says progress on major issues will remain slow because of past events.
“This region is, of course, full of, in the past, suspicious intents, lack of trust, especially in terms of military capability, especially in terms of the growth of the big powers. The region has gone through so many decades of turmoil during the colonial period,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ailand has faced diplomatic pressure from Western countries since Thai military officers ousted the civilian government in May. The pressure has included cuts in assistance to the Thai military.
The ouster of the civilian government also has led ASEAN members and others to believe that Thailand could be moving toward a closer relationship with China.
“The Thai representatives need to assure that that will not be the case, that will be a more balanced approach, getting engaged with all countries, like Myanmar, like Cambodia, like most of the rest off the ASEAN members. They have to be more well-rounded, they have to be more multi-dimensional.”
This year, Myanmar is chairing ASEAN meetings for the first time. Some ASEAN officials are not sure the country can provide effective leadership. They note that Myanmar is dealing with ethnic unrest and rebel groups. At the same time, the country is moving away from years of military rule.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was created in 1967. The group has always made a point of not criticizing its members. That has led to results that have earned little praise or general agreements on important issues. This has made some people question the value of ASEAN in a fast-changing world.

minister 장관 / representative 대표 / association 협회 / preparation 준비 / launch 시작하다 / integrated 통합적인 / community 공동체 / ease 완화하다 / restriction 규제 / trade 무역 / border 국경 / diplomat 외교관 / temporary 임시적인 / disputed 분쟁 중인 / restraint 규제 / warrant 타당하게 만들다, 근거, 이유 / tread 디디다, 밟다 / gingerly 조심조심 / intent 의도 / capability 능력, 역량 / turmoil 혼란, 소란 / colonial period 식민 시대 / ethic 도덕, 윤리


남중국해를 포함한 여러 사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인 동남아국가연합(ASEAN)
동남아시아(Southeast Asian) 각국의 외교부 장관들은 이번 주 미얀마(Myanmar)에서 열릴 두 개의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모일 예정이다. 미국(the United States)과 중국(China), 그리고 다른 여러 국가들은 회담에 대표들을 보내고 있다.
회담은 버마(Burma)로 알려진 미얀마의 수도인 네피도(Naypyidaw)에서 열린다. 회담은 내년 통합 경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준비가 이어지는 와중에 열리게 되었다. 동남아국가연합(ASEAN) 관계자들은 이같이 계획된 체계는 각국 간의 무역과 노동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줄 것이라고 말한다.
동남아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대부분은 경제 요인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문제도 존재한다. 한 예가 바로 남중국해(the South China Sea) 분쟁이다.
다니엘 러셀(Daniel Russel) 씨는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대표이다. 그는 중국이 분쟁 수역에 임시 석유 시추 장치를 설치하여 지역에 긴장감이 고조되었다고 말한다.
“강대국으로서 중국은 특히나 자제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군사적 힘과 함께 오는 엄청난 입지가 있는데 이는 발을 굉장히 조심스레 디뎌야 하는 이유가 됩니다. 민감한 부분에는 매우 조심조심 다가가야 합니다.”
미국의 존 케리(John Kerry) 국무장관은 미얀마의 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한-미 외교부 관계자는 리 장관이 중국과 주변국들에 남중국해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멈춰달라는 요청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파니탄 와타나야곤(Panitan Wattanayagorn) 씨는 동남아국가연합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한다. 그는 과거의 사건 때문에 큰 문제에 관한 진전은 여전히 더딜 것이라고 말한다.
“이 지역은 물론 과거에는 군사 능력과 강대국의 성장 측면에서 수상한 의도 및 계획과 신뢰 부족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지역은 너무나 오랜 시간 동안 혼란을 겪어왔습니다. 특히 식민 시대와 냉전 기간 동안 말입니다.”
태국은 5월 당국의 군 관계자들이 민간 정부를 축출한 이후 서방국가들로부터 외교적 압박을 받아왔다. 이 같은 압력은 태국 군사에 대한 지원 삭감이 포함되었었다.
민간 정부의 축출은 또한 동남아국가연합 회원들과 다른 이들로 하여금 태국과 중국의 관계가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믿게 만들었다.
“태국 대표들은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더욱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미얀마, 캄보디아(Cambodia), 그리고 다른 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들과 관계를 맺을 것이라고 확언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균형이 잡혀야 하며, 다차원적이어야 합니다.”
올해 미얀마는 동남아국가연합 회담 의장을 처음으로 맡게 되었다. 몇몇 동남아국가연합 관계자들은 미얀마가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공해줄 수 있을지 의심하고 있다. 이들은 미얀마가 민족적 불안과 반군 단체에 관한 문제를 처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동시에 미얀마는 수년간 이어졌던 군사 통치로부터 점점 벗어나고 있다고 한다.
동남아국가연합은 1967년에 만들어졌다. 이 단체는 회원국을 비판하지 말자는 주장을 해왔다. 이로 인해 중요한 사안에 대한 일반적인 동의나 칭찬은 별로 없었다. 이는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사람들이 동남아국가연합의 가치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다.
회담은 버마(Burma)로 알려진 미얀마의 수도인 네피도(Naypyidaw)에서 열린다. 회담은 내년 통합 경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준비가 이어지는 와중에 열리게 되었다. 동남아국가연합(ASEAN) 관계자들은 이같이 계획된 체계는 각국 간의 무역과 노동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줄 것이라고 말한다.
동남아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대부분은 경제 요인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문제도 존재한다. 한 예가 바로 남중국해(the South China Sea) 분쟁이다.
다니엘 러셀(Daniel Russel) 씨는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대표이다. 그는 중국이 분쟁 수역에 임시 석유 시추 장치를 설치하여 지역에 긴장감이 고조되었다고 말한다.
“강대국으로서 중국은 특히나 자제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군사적 힘과 함께 오는 엄청난 입지가 있는데 이는 발을 굉장히 조심스레 디뎌야 하는 이유가 됩니다. 민감한 부분에는 매우 조심조심 다가가야 합니다.”
미국의 존 케리(John Kerry) 국무장관은 미얀마의 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한-미 외교부 관계자는 리 장관이 중국과 주변국들에 남중국해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멈춰달라는 요청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파니탄 와타나야곤(Panitan Wattanayagorn) 씨는 동남아국가연합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한다. 그는 과거의 사건 때문에 큰 문제에 관한 진전은 여전히 더딜 것이라고 말한다.
“이 지역은 물론 과거에는 군사 능력과 강대국의 성장 측면에서 수상한 의도 및 계획과 신뢰 부족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지역은 너무나 오랜 시간 동안 혼란을 겪어왔습니다. 특히 식민 시대와 냉전 기간 동안 말입니다.”
태국은 5월 당국의 군 관계자들이 민간 정부를 축출한 이후 서방국가들로부터 외교적 압박을 받아왔다. 이 같은 압력은 태국 군사에 대한 지원 삭감이 포함되었었다.
민간 정부의 축출은 또한 동남아국가연합 회원들과 다른 이들로 하여금 태국과 중국의 관계가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믿게 만들었다.
“태국 대표들은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더욱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미얀마, 캄보디아(Cambodia), 그리고 다른 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들과 관계를 맺을 것이라고 확언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균형이 잡혀야 하며, 다차원적이어야 합니다.”
올해 미얀마는 동남아국가연합 회담 의장을 처음으로 맡게 되었다. 몇몇 동남아국가연합 관계자들은 미얀마가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공해줄 수 있을지 의심하고 있다. 이들은 미얀마가 민족적 불안과 반군 단체에 관한 문제를 처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동시에 미얀마는 수년간 이어졌던 군사 통치로부터 점점 벗어나고 있다고 한다.
동남아국가연합은 1967년에 만들어졌다. 이 단체는 회원국을 비판하지 말자는 주장을 해왔다. 이로 인해 중요한 사안에 대한 일반적인 동의나 칭찬은 별로 없었다. 이는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사람들이 동남아국가연합의 가치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