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9-19 16:47

Astronauts Train in Underwater Laboratory

Four astronauts recently completed training to help prepare for a planned visit to an asteroid, or space rock. The four trained in a special laboratory five kilometers from Key Largo in southern Florida. They worked and lived 19 meters below the sea surface in the world’s only underwater research laboratory.

The astronauts spent nine days in the “Aquarius” laboratory.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perates the 37-square meter lab.

The training came as part of a project of NASA --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he project is called NEEMO, for NASA’s Extreme Environment Mission Operations.

The name may lead some people to think of Captain Nemo, the star of Jules Verne’s book,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And a little fish called Nemo was the hero of the 2003 family film “Finding Nemo.”

The four NEEMO astronauts lived in conditions like those that they would face on a visit to a near-Earth asteroid. The astronauts tested the ability of human beings to exist and work in difficult conditions. And they left their underwater home only to go into surrounding ocean waters.

American astronaut Jeanette Epps said she and another astronaut did a kind of spacewalk under the water.

“That took a little bit of time to get up and running because we had a few issues with the communication in our helmets so that we can be able to talk to the crew inside the habitat and the topside.”

Their temporary underwater home was not deep enough to require them to decompress each time they left Aquarius. That meant their dives could last longer. Decompression involves reducing air pressure on a person who has been under high pressure while diving deep underwater. Decompression sickness can be deadly.

European Space Agency astronaut Thomas Pesquet of France said the crew tested human health and behavior inside the lab. They wore badges, devices that recorded their positions or social interaction. The French astronaut described the goal as gaining better understanding of reactions among people in such close surroundings, like those in space.

The four astronauts received help from people who have worked in the undersea lab before. Japanese astronaut Akihiko Hoshide said these technical experts care for all operating systems on the lab, including the space suits that the astronauts wore. He said the technicians know everything about the laboratory.

“They are the people behind the scenes. We just do the mission but without their help we can’t do anything.”
astronaut 우주비행사 / laboratory 실험실 / asteroid 소행성 / research 연구 / extreme 극심한, 극도의 / condition 상태 / ability 능력 / surrounding 주변의 / spacewalk 우주 유영 / communication 의사소통 / habitat 서식지 / temporary 임시적인 / decompress 기압을 줄이다 / decompression 감압 / deadly 치명적인 / device 장치 / reaction 반응
수중 실험실에서 훈련하는 우주비행사
네 명의 우주비행사들이 최근 계획된 소행성 혹은 우주 암석 방문에 대비하기 위한 훈련을 최근 완료했다. 이 네 명은 플로리다(Florida) 주 남부 지역의 키 라고(Key Largo)에서 5km 떨어진 특수 실험실에서 훈련했다. 이들은 해수면 19m 아래에 위치한 세계 유일의 수중 연구소에서 일하며 지냈다.

우주비행사들은 “아쿠아리어스(Aquarius)” 실험실에서 9일을 보냈다. 플로리다 국제대학교(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에서 37제곱미터 크기의 실험실을 운영한다.

이번 훈련은 나사(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진행하는 한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이 프로젝트는 NEEMO라 불렸는데 이는 나사의 극한 환경 미션 수행(Extreme Environment Mission Operation)을 말한다.

이 같은 이름을 듣고 질 베른(Jules Verne) 작가의 해저 2만 리(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속 주인공 캡틴 니모(Captain Nemo)를 떠올리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니모라는 이름의 작은 물고기는 2003년 가족 영화 “니모를 찾아서(Finding Nemo)” 속 영웅이기도 했다.

네 명의 니모 우주비행사들은 지구와 근접한 소행성에 방문하게 될 경우 맞이할 곳과 비슷한 환경에서 지냈다. 우주비행사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살아가며, 일 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시험했다. 그리고 해저 집을 떠나 주변의 바다로 들어가 보기도 했다.

미국인 우주비행사 지넷 엡스(Jeanette Epps) 씨는 자신과 다른 한 우주비행사가 물속에서 우주유영과 비슷한 산책을 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하는 데에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왜냐하면, 서식지 속에 있던 팀과 표면에 있던 팀원들과 이야기할 수 있게 해주는 헬멧 내부의 소통 장치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거든요.”

이 임시 수중 집은 아주 깊지 않았기 때문에 아쿠아리어스를 떠날 때마다 기압을 줄일 필요가 없었다. 이 때문에 이들은 다이빙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었다. 감압 과정은 해저에서 다이빙하는 동안 높은 기압에 노출되었던 사람의 공기압을 줄이는 과정을 말한다. 감압증은 치명적일 수도 있다.

유럽 우주 기관(European Space Agency) 소속 우주비행사인 프랑스인 토마스 페스퀘(Thomas Pesquet) 씨는 팀원들이 실험실 안에서 인간의 건강 및 행동을 검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위치와 사회적 소통 정도를 기록하는 장치인 배지를 달았다. 프랑스 우주비행사는 이 배지의 목적은 우주에서처럼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 간의 반응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네 명의 우주비행사는 예전에 해저 실험실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 일본에서 온 우주비행사인 아키히코 호시데(Akihiko Hoshide) 씨는 이 같은 기술 전문가들이 우주복과 같은 실험실 속 모든 운영 체계를 관리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자들은 실험실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바로 무대 뒤에서 일하는 사람들입니다. 저희는 미션만 수행할 뿐, 그들의 도움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411 Vietnam Working to Improve Its… sim 09-30 2804
410 Cambodia Wants China's He… sim 09-29 3211
409 Pope to Visit S. Korea on Firs… sim 09-26 3107
408 Increase in Algae Population I… sim 09-25 3082
407 ASEAN to Discuss South China S… sim 09-24 2656
406 Nixon Resignation Remembered… sim 09-23 2885
405 China's River Turns Red… sim 09-19 2880
404 Astronauts Train in Underwater… sim 09-19 2943
403 Hollywood Movies Used to Teach… sim 09-19 2818
402 War in Gaza Is Also on the Int… sim 09-17 293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