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 More Female Genital Mutilation Than Thought
Millions more girls and women are victim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than previously thought, said the United Nations (UN).
UNICEF is the UN children’s agency. They said in a report released Thursday that at least 200 million girls and women alive today have had ritual cutting. The practice of cutting and stitching a female’s genitals is a cultural practice focused on modesty and chastity.
Half of the victims live in just three countries – Egypt, Ethiopia and Indonesia.
This is nearly 70 million more girls and women than estimated in 2014. New data was collected in Indonesia. The practice has been banned there since 2006.
Somalia has the highest rate of women and girls who have been cut. It affects 98 percent of the female population between the ages of 15 and 49. Guinea, Djibouti and Sierra Leone also have very high rates.
About 44 million victim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around the world are aged 14 or younger. The majority of girls who have their genitals mutilated were cut before they were 5 years old, reported UNICEF.
“In Yemen, 85 percent of girls experienced the practice before their first week of life,” said the report.
UNICEF said exact numbers are hard to find. Few of the 30 countries where it is practiced keep reliable data on the procedure. Most rely on household surveys.
The practice also exists in countries not in the study. This includes India, Malaysia, Oman,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In addition, the practice happens in parts of Australia, North America and Europe, where immigrants from countries with a large number of female circumcisions live.
The report said that total rate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have fallen in the last three decades. But progress has been uneven. Countries that have seen sharp declines include Liberia, Burkina Faso and Kenya.
The UN General Assembly unanimously approved a resolution in December 2012 calling for a ban on female genital mutilation. It is a centuries-old practice stemming from the belief that circumcising girls controls women’s sexuality and increases fertility. Last September, the UN set a goal of eliminating the practice by 2030.
UNICEF is the UN children’s agency. They said in a report released Thursday that at least 200 million girls and women alive today have had ritual cutting. The practice of cutting and stitching a female’s genitals is a cultural practice focused on modesty and chastity.
Half of the victims live in just three countries – Egypt, Ethiopia and Indonesia.
This is nearly 70 million more girls and women than estimated in 2014. New data was collected in Indonesia. The practice has been banned there since 2006.
Somalia has the highest rate of women and girls who have been cut. It affects 98 percent of the female population between the ages of 15 and 49. Guinea, Djibouti and Sierra Leone also have very high rates.
About 44 million victim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around the world are aged 14 or younger. The majority of girls who have their genitals mutilated were cut before they were 5 years old, reported UNICEF.
“In Yemen, 85 percent of girls experienced the practice before their first week of life,” said the report.
UNICEF said exact numbers are hard to find. Few of the 30 countries where it is practiced keep reliable data on the procedure. Most rely on household surveys.
The practice also exists in countries not in the study. This includes India, Malaysia, Oman,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In addition, the practice happens in parts of Australia, North America and Europe, where immigrants from countries with a large number of female circumcisions live.
The report said that total rate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have fallen in the last three decades. But progress has been uneven. Countries that have seen sharp declines include Liberia, Burkina Faso and Kenya.
The UN General Assembly unanimously approved a resolution in December 2012 calling for a ban on female genital mutilation. It is a centuries-old practice stemming from the belief that circumcising girls controls women’s sexuality and increases fertility. Last September, the UN set a goal of eliminating the practice by 2030.

genital 생식기의 / mutilation 절단 / female genital mutilation 여성 할례 / stitch 바느질하다, 꿰매다 / circumcision 할례 / unanimously 만장일치로 / fertility 생식력


통계보다 많은 여성 할례에 관한 유엔의 보고
유엔은 여성 할례의 희생자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다고 발표했다.
유니세프(UNICEF)는 유엔 산하 아동구호기관이다. 목요일에 발표된 유니세프의 보고에 따르면 적어도 실제로 2억 명의 여성들이 할례로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여성의 생식기를 자르고 꿰매는 이 의식은 정숙과 순결을 강조하는 문화적인 관습이다.
희생자들 절반이 이집트,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3개국에 거주한다.
이 통계는 2014년에 추정했던 것보다 7천만 명이나 많은 수이다. 새로운 자료는 인도네시아에서 수집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06년부터 할례가 금지되고 있다.
소말리아는 할례 당한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15세에서 49세 사이 여성인구의 98%가 할례로 고통받는다. 기니, 지부티, 시에라리온에서도 높은 비율로 할례가 행해지고 있다.
약 4천4백만 명의 여성이 14세가 되기도 전에 할례를 받는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이들의 대부분은 다섯 살이 되기 전에 생식기를 절제하게 된다고 한다.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예멘에서는 아이의 85%는 태어난 지 일주일이 되기도 전에 할례가 시행된다”고 밝혔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정확한 숫자를 따지기가 힘들다고 한다. 할례가 시행되는 30개국 중 할례 절차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를 보유한 곳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 가정조사에 의존한다.
이러한 관행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에서도 발견된다. 인도, 말레이시아,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가 여기에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여성 할례가 많이 시행되는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이 거주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일부 유럽지역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이루어진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여성 할례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국가마다 차이가 크다. 라이베리아, 부르키나파소와 케냐가 대표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유엔 총회는 2012년 12월 여성 할례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였다. 할례는 여성의 성욕을 제어하고 출산율을 증가시킨다는 믿음에서 시작된 것으로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관습이다. 지난 9월, 유엔은 2030년까지 할례를 완전히 철폐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유니세프(UNICEF)는 유엔 산하 아동구호기관이다. 목요일에 발표된 유니세프의 보고에 따르면 적어도 실제로 2억 명의 여성들이 할례로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여성의 생식기를 자르고 꿰매는 이 의식은 정숙과 순결을 강조하는 문화적인 관습이다.
희생자들 절반이 이집트,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3개국에 거주한다.
이 통계는 2014년에 추정했던 것보다 7천만 명이나 많은 수이다. 새로운 자료는 인도네시아에서 수집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06년부터 할례가 금지되고 있다.
소말리아는 할례 당한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15세에서 49세 사이 여성인구의 98%가 할례로 고통받는다. 기니, 지부티, 시에라리온에서도 높은 비율로 할례가 행해지고 있다.
약 4천4백만 명의 여성이 14세가 되기도 전에 할례를 받는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이들의 대부분은 다섯 살이 되기 전에 생식기를 절제하게 된다고 한다.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예멘에서는 아이의 85%는 태어난 지 일주일이 되기도 전에 할례가 시행된다”고 밝혔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정확한 숫자를 따지기가 힘들다고 한다. 할례가 시행되는 30개국 중 할례 절차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를 보유한 곳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 가정조사에 의존한다.
이러한 관행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에서도 발견된다. 인도, 말레이시아,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가 여기에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여성 할례가 많이 시행되는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이 거주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일부 유럽지역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이루어진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여성 할례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국가마다 차이가 크다. 라이베리아, 부르키나파소와 케냐가 대표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유엔 총회는 2012년 12월 여성 할례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였다. 할례는 여성의 성욕을 제어하고 출산율을 증가시킨다는 믿음에서 시작된 것으로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관습이다. 지난 9월, 유엔은 2030년까지 할례를 완전히 철폐한다는 목표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