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gladesh Works to Prevent Child Drowning Deaths
On a hot day, several 12-year-olds are learning to swim at a park in Dhaka, the capital of Bangladesh. It is a rare sight to see an inflatable swimming pool on the grounds of the park.
For the past seven years, local swim instructors have taught about 360,000 children to swim. Many of the boys and girls come from nearby villages.
The swimming program is a service of a non-profit group called the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Research, Bangladesh. The center says it has taught over 2,700 instructors to obey international swimming guidelines.
Aminur Rahman is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Drowning Research Center in Dhaka. He remembers one tragedy when a boy attempted to rescue his five-year-old brother from a pond.
“Then the villagers actually tried to search [for] the child and thought that he could be in the pond. So they use fishing net and unfortunately they got both the child from the water. They rescued the child by that time and both of them were dead. It was assumed they went to the pond for washing hands and feet and maybe the younger one may have fallen down in the pond and the older one who knew swimming but didn't know how to rescue others Maybe tried to rescue his younger, but unfortunately he couldn't do [it]. So it is a pity that both children drowned.”
Bangladesh sits on one of the world’s largest river deltas, above the Bay of Bengal. It is a country of ponds and other waterways.
Dr. Rahman says people often do not think of water as a threat because it is so close to many homes.
“Somebody says, we used to swim here, we go for bathing, washing, everything nothing happened. And sometimes they often say that it's God’s will we cannot protect him. If the luck is that he will drown, he'll drown [and we] have nothing to do with that. This kind of misperception actually exists in the community.”
Most drowning deaths happen when unsupervised children fall into ponds within 20 meters of their homes.
In recent years, child health has improved in Bangladesh. Deaths from diarrhea and pneumonia have dropped sharply. The two are the largest killers of children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there was no reduction in drowning deaths in Bangladesh.
Most drowning victims are from poor, uneducated families in rural areas. Many children walk around nearby fields, roads and ponds on their own.
At a school in Dhaka, 12-year-old Halima Sadia Tina recalled learning to swim.
“Now I can swim. When I went to my village house, I swim in that area and now I can swim better. The children who lived in rural areas they don’t know what is kick, float, glide and other systemic way of swimming.”
Thirteen-year-old Rezul Islam says learning to kick was the most difficult part.
“The first time I was scared but after some time I became normal with the water. Now I can save myself from drowning and also I can save other children’s life.”
A paper in the journal Pediatrics reported that in three years of the program, drownings among children between five and nine years old dropped 48 percent.
With each child who grows confident in the water, Bangladesh makes progress against a preventable public health threat.
For the past seven years, local swim instructors have taught about 360,000 children to swim. Many of the boys and girls come from nearby villages.
The swimming program is a service of a non-profit group called the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Research, Bangladesh. The center says it has taught over 2,700 instructors to obey international swimming guidelines.
Aminur Rahman is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Drowning Research Center in Dhaka. He remembers one tragedy when a boy attempted to rescue his five-year-old brother from a pond.
“Then the villagers actually tried to search [for] the child and thought that he could be in the pond. So they use fishing net and unfortunately they got both the child from the water. They rescued the child by that time and both of them were dead. It was assumed they went to the pond for washing hands and feet and maybe the younger one may have fallen down in the pond and the older one who knew swimming but didn't know how to rescue others Maybe tried to rescue his younger, but unfortunately he couldn't do [it]. So it is a pity that both children drowned.”
Bangladesh sits on one of the world’s largest river deltas, above the Bay of Bengal. It is a country of ponds and other waterways.
Dr. Rahman says people often do not think of water as a threat because it is so close to many homes.
“Somebody says, we used to swim here, we go for bathing, washing, everything nothing happened. And sometimes they often say that it's God’s will we cannot protect him. If the luck is that he will drown, he'll drown [and we] have nothing to do with that. This kind of misperception actually exists in the community.”
Most drowning deaths happen when unsupervised children fall into ponds within 20 meters of their homes.
In recent years, child health has improved in Bangladesh. Deaths from diarrhea and pneumonia have dropped sharply. The two are the largest killers of children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there was no reduction in drowning deaths in Bangladesh.
Most drowning victims are from poor, uneducated families in rural areas. Many children walk around nearby fields, roads and ponds on their own.
At a school in Dhaka, 12-year-old Halima Sadia Tina recalled learning to swim.
“Now I can swim. When I went to my village house, I swim in that area and now I can swim better. The children who lived in rural areas they don’t know what is kick, float, glide and other systemic way of swimming.”
Thirteen-year-old Rezul Islam says learning to kick was the most difficult part.
“The first time I was scared but after some time I became normal with the water. Now I can save myself from drowning and also I can save other children’s life.”
A paper in the journal Pediatrics reported that in three years of the program, drownings among children between five and nine years old dropped 48 percent.
With each child who grows confident in the water, Bangladesh makes progress against a preventable public health threat.

inflatable 공기나 가스로 부풀리게 되어 있는 / tragedy 비극 / drown 물에 빠져 죽다, 익사하다 / misperception 오인, 오해 / pneumonia 폐렴

아동 익사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글라데시
어느 더운 날, 12살짜리 아이들 몇 명이 방글라데시(Bangladesh)의 수도인 다카(Dhaka)의 한 공원에서 수영을 배우고 있다. 공원에서 공기로 부풀려 사용하는 고무 수영장을 볼 수 있는 일은 흔치 않다.
지난 7년간, 현지 수영 강사들은 약 36만 명의 아이들에게 수영을 가르쳐왔다. 많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들이 근처 마을에서 산다.
이 수영 프로그램(program)은 방글라데시에 소재하고 있는 부상 예방 연구 센터(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Research)라고 부르는 비영리 단체에서 제공한다. 이 단체는 2,700명이 넘는 수영 강사들이 국제 수영 규율을 따르도록 가르쳤다고 말한다.
아미누어 라만(Aminur Rahman) 씨는 다카에 소재한 국제 익사 연구 센터(International Drowning Research Center)의 책임자다. 그는 한 남자아이가 연못에 빠진 5살짜리 동생을 구조하려고 시도했던 한 비극을 기억한다.
“실제로 마을 사람들은 그 소년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그 아이가 연못에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낚시 그물을 이용했는데, 유감스럽게도 물에서 남자아이 둘을 발견했죠. 그들이 아이들을 구했을 땐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손과 발을 씻기 위해 연못에 갔는데, 아마 어린 동생이 연못에 빠졌고, 수영할 줄은 알았지만 다른 사람을 구할 줄은 몰랐던 형이 동생을 구하려고 했으나 불행히도 그렇게 하지 못한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두 아이 모두 익사한 것은 슬픈 일입니다.”
방글라데시는 벵골 만(Bay of Bengal) 위, 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 중 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연못과 다른 수로의 나라다.
라만 교수는 많은 집들이 물과 아주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물을 위험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은 우리가 여기서 수영도 하고, 목욕도 하고, 세척도 하고, 모든 것을 했는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가끔 그들은 이것이 하늘의 뜻이기 때문에 그 소년을 보호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만약 그것이 운이라면 그는 물에 빠져 죽을 것이고, 그건 우리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이죠. 이러한 오인이 사실상 지역 사회에 존재합니다.”
익사 대부분은 어른의 보호가 없는 아이들이 그들의 집에서 20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연못에 빠지면서 생긴다.
방글라데시의 아동 건강 상태는 최근 몇 해 동안 개선되어왔다. 설사와 폐렴으로 인한 사망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 두 요인은 많은 개발도상국의 아동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다. 하지만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하는 익사의 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익사 피해자들의 대부분은 시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가난하고 교육받지 못한 가정에서 생겨난다. 많은 아이가 근처 밭이나 길, 그리고 연못 주위를 혼자 돌아다닌다.
다카에 소재한 한 학교에서, 12살 된 할리마 사디아 티나(Halima Sadia Tina) 어린이가 수영을 배우는 것에 관해 얘기했다.
“이제 저는 수영을 할 수 있어요. 저희 마을에 있을 때 수영을 했는데, 이젠 더 잘할 수 있어요. 시골에 사는 아이들은 발차기, 뜨기, 미끄러지듯 수영하기, 그리고 수영의 다른 방법들을 몰라요.”
13살인 라줄 이슬람(Rezul Islam)은 발차기를 배우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무서웠는데, 어느 정도 지나고 나서는 물에 대해 괜찮아졌어요. 이제 저는 물에 빠져도 죽지 않을 수 있고, 또 다른 아이들의 생명도 구할 수 있어요.”
국제학술지 미국 소아과학 저널(Journal Pediatrics)에 실린 기사는 프로그램이 시작한 지 3년 만에 3살~9살 사이 아이들의 익사 확률이 48%로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물에서 자신감을 키우는 아이들 한 명 한 명과 함께 방글라데시는 예방 가능한 공중위생 위험에 대비하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지난 7년간, 현지 수영 강사들은 약 36만 명의 아이들에게 수영을 가르쳐왔다. 많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들이 근처 마을에서 산다.
이 수영 프로그램(program)은 방글라데시에 소재하고 있는 부상 예방 연구 센터(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Research)라고 부르는 비영리 단체에서 제공한다. 이 단체는 2,700명이 넘는 수영 강사들이 국제 수영 규율을 따르도록 가르쳤다고 말한다.
아미누어 라만(Aminur Rahman) 씨는 다카에 소재한 국제 익사 연구 센터(International Drowning Research Center)의 책임자다. 그는 한 남자아이가 연못에 빠진 5살짜리 동생을 구조하려고 시도했던 한 비극을 기억한다.
“실제로 마을 사람들은 그 소년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그 아이가 연못에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낚시 그물을 이용했는데, 유감스럽게도 물에서 남자아이 둘을 발견했죠. 그들이 아이들을 구했을 땐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손과 발을 씻기 위해 연못에 갔는데, 아마 어린 동생이 연못에 빠졌고, 수영할 줄은 알았지만 다른 사람을 구할 줄은 몰랐던 형이 동생을 구하려고 했으나 불행히도 그렇게 하지 못한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두 아이 모두 익사한 것은 슬픈 일입니다.”
방글라데시는 벵골 만(Bay of Bengal) 위, 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 중 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연못과 다른 수로의 나라다.
라만 교수는 많은 집들이 물과 아주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물을 위험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은 우리가 여기서 수영도 하고, 목욕도 하고, 세척도 하고, 모든 것을 했는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가끔 그들은 이것이 하늘의 뜻이기 때문에 그 소년을 보호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만약 그것이 운이라면 그는 물에 빠져 죽을 것이고, 그건 우리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이죠. 이러한 오인이 사실상 지역 사회에 존재합니다.”
익사 대부분은 어른의 보호가 없는 아이들이 그들의 집에서 20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연못에 빠지면서 생긴다.
방글라데시의 아동 건강 상태는 최근 몇 해 동안 개선되어왔다. 설사와 폐렴으로 인한 사망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 두 요인은 많은 개발도상국의 아동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다. 하지만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하는 익사의 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익사 피해자들의 대부분은 시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가난하고 교육받지 못한 가정에서 생겨난다. 많은 아이가 근처 밭이나 길, 그리고 연못 주위를 혼자 돌아다닌다.
다카에 소재한 한 학교에서, 12살 된 할리마 사디아 티나(Halima Sadia Tina) 어린이가 수영을 배우는 것에 관해 얘기했다.
“이제 저는 수영을 할 수 있어요. 저희 마을에 있을 때 수영을 했는데, 이젠 더 잘할 수 있어요. 시골에 사는 아이들은 발차기, 뜨기, 미끄러지듯 수영하기, 그리고 수영의 다른 방법들을 몰라요.”
13살인 라줄 이슬람(Rezul Islam)은 발차기를 배우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무서웠는데, 어느 정도 지나고 나서는 물에 대해 괜찮아졌어요. 이제 저는 물에 빠져도 죽지 않을 수 있고, 또 다른 아이들의 생명도 구할 수 있어요.”
국제학술지 미국 소아과학 저널(Journal Pediatrics)에 실린 기사는 프로그램이 시작한 지 3년 만에 3살~9살 사이 아이들의 익사 확률이 48%로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물에서 자신감을 키우는 아이들 한 명 한 명과 함께 방글라데시는 예방 가능한 공중위생 위험에 대비하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