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1-07 09:19

Report Says Chinese Officials Bought Ivory in Tanzania

An environmental group says people traveling with China’s President loaded an airplane with illegal ivory during a state visit to Tanzania last year. Th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gency, EIA, reported the finding.

The illegal ivory trade has harmed elephant populations in Tanzania and other Afric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e unlawful trade is to meet a growing demand for ivory in Asia.

The EIA report says a group traveling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bought a large amount of ivory in Tanzania last year. The report says the amount was so big that prices for the elephant tusks increased by 100 percent. It says the price rose to $700 per kilogram.

The EIA reported that the tusks were flown to China on the president’s airplane. In a video released by the group, a Tanzanian ivory dealer discusses the Chinese agreement with an investigator who was working in secret to collect information.

The trader gets the Chinese president’s name wrong. He says, “Mr. Ping…”

The investigator corrects him. “Jinping..” The trader then mentions an illegal agreement.

Trader: (The president), when he was here – many kilos (kilograms) go out. Many kilos go out. Half of his plane goes to that business.”

The trader says he knows this is true because the Chinese buy ivory from dealers in Tanzania. The EIA report says the nation is the biggest source of illegal ivory seized around the world.

Ivory trafficking – the illegal trade – follows established trade routes. It usually begins in the country’s own reserves, or wildlife areas, that are supposed to be protected.

Tanzania’s Selous Reserve is among parks where poachers carry out attacks. These hunters kill the animals inside the parks. The ivory then is collected in villages and taken to the port of Dar es Salaam. The material is shipped to Asia. Finally, in China, people cut and shape the ivory and sell it as a decoration.

EIA wildlife campaigner Shruti Suresh says all these activities would be impossible if Tanzanian officials did not cooperate.

“Because of the scale (size) of this, and seeing that there are several tons of ivory going through government posts, past government officials, it is clear that this corruption permeates through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

The EIA says Tanzania has lost two-thirds of its elephants since 2006, mostly by poaching. In that time, the number of elephants in the Selous Reserve has fallen from 70,000 to just 13,000 in 2013.

Shruti Suresh describes the shrinking population as “dire in the extreme”.

“It’s quite shocking. And if we don’t stop this rate of decline (decrease), we really don’t know if Tanzania will have elephants in the near future.”

China has promised to take steps against ivory trafficking. Officials in one city, Guangzhou, crushed more than six tons of ivory early this year to show their desire to correct the situation. African countries struck hard by poaching sent representatives to the event.
unlawful 불법의 / demand 요구 사항 / tusk 상아, 엄니 / investigator 수사관, 조사관 / decoration 장식, 장식품 / cooperate 협력하다, 합동하다 / permeate 스며들다, 침투하다 / poach 밀렵하다, 밀렵하기 위해 침입하다 / crush 으스러뜨리다, 찧다
중국 관료들이 탄자니아에서 상아를 구매했다는 사실이 보도되다.
한 환경 단체는 중국 대통령과 함께 여행하는 사람들이 작년 탄자니아(Tanzania)를 방문했을 때, 불법 상아를 비행기에 실었다고 말한다. 환경조사국(Environmental Investigation Agency)인 EIA가 이 사실을 보도했다.

불법 상아 무역은 탄자니아와 다른 아프리카(Africa) 국가들에서 서식하는 코끼리들을 해쳤다. 불법 상아 무역의 목적은 아시아에서 증가하고 있는 아이보리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있다.

EIA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시진핑(Xi Jinping) 주석과 같이 여행했던 한 집단이 작년 탄자니아에서 많은 양의 상아를 샀다고 한다. 이 보고서는 그 양이 너무나도 컸기에 코끼리 상아의 가격이 100% 증가했다고 말한다. 그 가격은 1kg당 700달러라고 한다.

EIA는 이 상아가 주석의 비행기에 실려 중국으로 날아갔다고 보도했다. 이 단체가 공개한 동영상은 탄자니아 상아 거래상이 정보를 얻기 위해 비밀리에 일하고 있는 한 수사관과 중국 사람들과 맺은 거래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 사람은 중국 대통령의 이름을 잘못 알고 있다. 그는 “핑 씨는…”이라고 말한다.

조사관이 그의 말을 고친다. “진핑..” 그런 다음 무역상은 불법 합의에 관해 이야기한다.

무역상: “(대통령), 그가 여기 있었어요. 무게가 많이 나갔어요. 많은 킬로그램이 나갔어요. 그의 비행기에 탄 사람들 반이 그 사업을 해요.”

무역상은 중국인들이 탄자니아의 거래상들로부터 상아를 사기 때문에 이것이 사실이라는 걸 안다고 말한다. EIA 보고서는 탄자니아가 세계에서 가장 큰 불법 상아의 원천이라고 말한다. 불법 무역인 상아 밀매는 확실히 자리 잡은 무역 통로를 따른다. 이는 보통 보호받는 것으로 알려진 이 나라 고유의 매장량 또는 야생 지역에서 시작된다.

탄자니아의 셀루스 리저브(Selous Reserve)는 밀렵꾼들이 공격하는 공원 중 하나다. 이 사냥꾼들은 공원 안에서 동물들을 죽인다. 그런 다음 마을에서 상아가 수집되고 이는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의 항구로 운반된다. 이는 아시아(Asia)로 보내진다. 마지막으로 중국에서는 사람들이 상아를 자르고 다듬어 장식품으로 판매한다.

EIA의 야생 동물 운동가인 슈르티 슈레쉬(Shruti Suresh) 씨는 탄자니아의 관료들이 협력하지 않았다면 이 모든 활동은 불가능했을 거라고 말한다.

“이의 규모, 그리고 정부의 우체국을 통과하여 정부의 관계자들을 지나가는 여러 톤(ton)의 상아를 볼 때, 이 부패는 정부의 고위직까지 스며들었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EIA는 대부분 밀렵으로 인해 2006년 이후 탄자니아의 코끼리 수의 2/3를 잃었다고 말한다. 이 기간에, 셀루스 리저브에 있는 코끼리의 수는 7만 마리에서 2013년에는 만 3천 마리로 감소했다.

슈르티 슈레쉬 씨는 감소하는 코끼리의 수를 “극도로 심각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꽤 충격적인 일입니다. 그리고 이 감소율을 멈추지 않으면 가까운 미래에 탄자니아에 코끼리가 살아 있을지는 정말 아무도 모릅니다.”

중국은 상아 밀매에 대한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광저우에 있는 관계자들은 이 상황을 바로잡기 위한 그들의 열정을 보이기 위해 올해 초 6톤이 넘는 상아를 부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밀렵 상황에 보내진 대표자들이 침입하게 함으로써 강력히 대항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1 Report Says Chinese Officials … sim 01-07 2931
480 Swimmers Trading Pools for Ope… sim 01-06 2931
479 The Fall of the Berlin Wall: 2… sim 01-06 3231
478 Study Finds Widespread Abuse o… sim 01-02 2782
477 Is Younger Generation Hurting … sim 12-31 2857
476 North Korea Extends Missile Re… sim 12-31 2869
475 How Did US Miss the Islamic St… sim 12-30 2806
474 Singapore Film Ban Raises Free… sim 12-29 3030
473 Ghana's Bamboo Bikes Hit … sim 12-26 3322
472 US Political Parties Hope to G… sim 12-26 282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